삼각산 14성문 이야기
① 대서문(大西門)
의상봉(義相峯) 서북쪽 해발 150m 높이의 낮은 구릉지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중 서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인 동시에 북한산성의 정문(正門)입니다.
지금 문루(門樓)는 1958년에 당시 경기도 지사였던 최헌길이라는 분의 주도로 복원된 것이라고 합니다.
② 가사당암문(袈裟堂暗門)
의상봉(義相峯)과 용출봉(龍出峯) 사이 산능선 해발 488m 지점에 위치한 성문으로서 부근 산성안에
국녕사(國寧寺)가 있다고 하여 국녕문(國寧門) 또는 국령사암문(國靈寺暗門)으로도 불리웠답니다.
※ 암문(暗門)이란 노출을 꺼리는 출입통로로 출입문위에 문루(門樓)를 세우지 않고 눈에 띄지 않게
몰래 출입 할 수 있도록 만든 문입니다.
성안에 필요한 병기 및 식량등을 운반하고 적에게 포위당했을 때 극비리에 구원을 요청하거나
적을 역습할 때 이 통로를 사용한답니다.
참고로 현재 북한산성에는 모두 7개의 암문(暗門)이 남아있습니다.
③ 부왕동암문(扶旺洞暗門)
나월봉(蘿月峯)과 증취봉(甑炊峯) 사이 산 능선 해발 521m 지점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의 7개 암문(暗門)중 가장 규모가 크고 정식 홍예(虹霓)는 아니지만
위쪽 성돌을 둥글게 파서 홍예문(虹霓門)처럼 만든 아름다운 성문입니다.
최근까지 성문 우측에 '소남문'이라는 현판이 붙어 있었듯이
이 암문(暗門)은 처음에는 소남문(小南門)으로 불리웠던 것으로 추정되며
근처에 원각사(圓覺寺)가 있었기 때문에 원각사암문(圓覺寺暗門)이라고도 불리우기도 했답니다.
그리고 부왕동(扶旺洞)이란 이름은
성안 동쪽에 있는 부왕사(扶旺寺)로 내려 가는 계곡 일대를 일컫던 이름으로 보입니다.
※ 홍예(虹霓)란 성문 얼굴의 윗머리가 무지개같이 반원형(半圓形)이 되게 만든 구조물 또는
그러한 구조로 만든 문 즉, 홍예문(虹霓門)을 말합니다.
④ 청수동암문(靑水洞暗門)
문수봉(文殊峯)과 나한봉(羅漢峯) 사이 해발 694m 에 위치한 성문으로
산성주능선과 의상능선 그리고 비봉능선으로 향하는 갈림길이 나있습니다.
⑤ 대남문(大南門)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중 남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처음 축조 당시는 문수봉암문(文殊峯暗門)으로 불리웠던 성문입니다.
해발 715m 의 보현봉(普賢峯)과 해발 727m 의 문수봉(文殊峯)이라는
두 거봉을 잇는 해발 663m 능선 한가운데 안부(鞍部)에 위치 해 있습니다.
⑥ 대성문(大城門)
보현봉(普賢峯) 동북쪽으로 이어지는 산성 능선 해발 625m 지점에 위치한 성문으로
북한산성 성문 가운데서 가장 큰 문입니다.
원래 처음에는 소동문(小東門)으로 불리우는 작은 암문(暗門)이었으나
성문 위치가 문 북쪽 기슭 행궁(行宮)이 있는 곳에서 이곳을 통과하여
형제봉과 보토현(輔土峴-현재 북악터널 위쪽)을 경유하여 경복궁으로 이어지는 편리한 코스에 위치하고 있어서 임금이 이문을 출입하게 됨으로써 뒤에 성문을 더욱 성대하게 개축하여 임금이 출입하는 성문으로 위용을 갖추고 이름도 대성문(大城門)으로 바꾼 것이 아닌가 추측된답니다.
※ 행궁(行宮)이란 임금이 국도(國都)의 왕궁 밖에서 머물던 별궁(別宮)으로
북한산성 내 행궁은 산성을 축조하던 조선 숙종37년(1711년)에 지어졌답니다.
⑦ 보국문(輔國門)
정확한 본래 이름은 동암문(東暗門)으로 대동문과 대성문 사이의 해발 567m 되는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그 아래에 보국사(輔國寺)가 있었다고 하여 지금은 보국문(輔國門)이라 불리우고 있습니다.
⑧ 대동문(大東門)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중 동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우이동 진달래능선이 끝나는 해발 54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금의 문은 1993년에 문루(門樓)를 갖추는 등 화려하게 복원되었습니다.
※ 장대란 장수의 지휘소로 성안의 지형이 높은곳에 설치한 건물이다.
성안 각 국문별로 동장대 남장대 북장대를 두었는데 그중 동장대 규모가 제일 크고
성의 안팎을 모두 살필수 있는 지점에 위치해 있다.
⑨ 용암문(龍岩門)
본래 이름은 용암봉암문(龍巖峰暗門)으로 무인대피소인
지금의 북한산장 부근 용암봉 기슭 해발 580m 지점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과거 이 일대의 수비를 담당하던 용암사(龍巖寺)가 부근에 있었답니다.
⑩ 위문(衛門)
본래 이름은 백운봉암문(白雲峰暗門)으로 백운대와 만경대 사이의 안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북한산성 성문 가운데 가장 높은 곳에 자리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위문(衛門)이라 일컫고 있는데, 일제시대 때부터 그렇게 불리어 왔다고 합니다.
⑪ 북문(北門)
북한산성 성문 중 동서남북, 4개 방위중 북쪽을 대표하고 있는 성문으로
원효봉(元曉峰)과 영취봉(靈鷲峰-현재 염초봉의 본래 이름) 사이의 해발 430m 지점 안부(鞍部)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지금 현재는 문루(門樓)가 폐기되어 없어진 상태로 남아 있습니다.
※ 문루(門樓)는 성문 위에 지은 다락집으로 유사시 장수의 지휘소가 되며
성 밖의 적을 조기에 발견하고자 감시하는 기능을 가진 건축물입니다.
⑫ 시구문(尸柩門)
본래 이름은 서암문(西暗門)으로 대서문 북쪽, 수문(水門)에서 원효봉으로 오르는 해발 180m 기슭에 위치하고 있습니다. 성안에서 생긴 시신을 내보내던 문이라 하여 주민들에게 시구문(尸柩門)이라고 불리웠고 이 이름이 원래 성문이름인 서암문(西暗門)을 대신하여 고착화(?) 되어 현재도 성문에 '시구문'이라 쓴 현판이 걸려있습니다.
⑬ 수문(水門)
대서문 북서쪽 근처 산성계곡에 있었던 폭 50척(15.5m)에 높이 16척(5m)인 큰 규모의 수문(水門)으로 1925년 8월 을축년대홍수(乙丑年大洪水)때 성돌과 장대석 하나 남기지 않고 완전히 유실되었다고 합니다. 현재는 수구산장이라는 음식점에서 보이는 시구문과 대서문으로 오르는 계곡 양옆 산비탈에 남아있는 성곽의 흔적만이 이 두 성곽 사이의 협곡에 웅장했던 수문(水門)이 있었음을 추측하게 할 뿐입니다.
※ 성곽의 배수를 위한 시설로 규모가 크고 문의 형식을 갖춘 경우
수문(水門)이라고 하고 규모가 작은 것을 수구(水口)라 합니다.
⑭ 중성문(中城門)
원효봉(元曉峯)과 의상봉(義相峯)을 직선으로 그은 중간 지점에 해당되는 현재 산성주차장 일대에서
산성안 중심부에 위치한 중흥동 계곡을 향하여 오르는 중간 지대 길목에 위치한 성문입니다.
특이한 점은 문 이름에 가운데 중(中)자를 써 중성문(中城門)이지만 이곳에 쌓았던 중성(重城)은
무거울 중(重)자를 쓴다는 것 입니다.
중(重)자는 "겹"이란 뜻도 있기 때문인데 북한산성에서 가장 수비가 취약한 부분인 대서문(大西門)
방면의 수비를 보강하기 위해서 안쪽에 쌓은 내성(內城)을 뜻하고 그 내성의 성문이 중성문입니다.
중성문(中城門)은 1998년 문루를 올리고 성벽도 말끔히 복원됐습니다.
'◆ 국내 산행 > 산행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남원 만행산 (천황봉) (0) | 2018.11.06 |
---|---|
북한산 주요 봉우리와 지명유래 (0) | 2018.11.04 |
경기 오지산 (0) | 2018.10.24 |
장성 방장산 쓰리봉 벽오봉 <영산기맥> (0) | 2018.10.22 |
금산 서암산(630m) 백암산(654m) 신선봉(755m) 선야봉(758.7) (0) | 2018.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