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철원 한탄강 물윗길 트래킹을 위해 태봉대교 매표소에서 입장권을 구매한다
입장료는 10,000원인데 철원상품권 5,000원이 포함되었으며, 일부 경로우대

 

ㅇ 일자 : 2022.2.2(화). 기온은 낮으나 햇빛이 내리쬐는 날 인원 5명(강태공, 최윤정, 솔로몬, 박도영, 타잔)

ㅇ 코스

    (물윗길) 태봉대교-송대소-은하수교-승일교-고석정-순담계곡

    (주상절리 잔도길) 순담매표소-순담계곡 스카이전망대-한탄강 스카이전망대-드르니 스카이전망대-드르니매표소

ㅇ 기록 : 거리(13.4km), 소요시간(5시간 2분: 10:00~15:02), 평균속도(3.3km/h), 고도(123m~193m) 

 

트래킹 기록(트랭글)

철원군_한탄강물윗길_잔도길_20220202_095940.gpx
0.21MB

 

매표소가 있는 주차장에서 태봉대교를 바라본다

 

태봉대교 아래로 내려가자 새해 기원리본들과 호랑이해 새해인사 걸게그림이 걸려 있다

 

주차장 방향을 올려다 보면 주차장 한 켠에 있는 팔각정이 보인다

 

태봉대교 아래 물위길로 가는 진입로

 

조심스럽게 내려간다

 

철원 한탄강 물윗길 입구로 이어지는 길을 따라서

 

한탄강 물윗길로 진입하여 태봉대교를 뒤 돌아 본다

 

송대소 방향으로 이어지는 물윗길

 

한탄강에는 얼음이 적고 최근 내린 눈만 돌들과 흙 위에 하얗게 쌓여있을 뿐

 

강가로 이어지는 트래킹길을 따라간다

 

길 옆으로는 쌓아놓은 돌탑들이 자리하고 있다

 

다시 물윗길로 들어가자 얼음이 적어 길 아래로는 물이 흐르고 있어 출렁거린다

 

강 벽에 얼어있는 폭포같은 고드름을 바라보며

 

송대소위 풍경은 너무 조용하고 아름답다

 

송대소의 주상절리가 힐품

 

얼음벽을 지난다

 

포토죤에서 인증사진

 

폭포같은 고드름 얼음벽

 

송대소 인증샷

 

은하수교 아래를 통과

 

은하수교에서 승일교로 이어지는 물윗길은 미끄러워 툴입을 통제하고 은하수교를 이용하라고 한다

 

지나온 물윗길

 

미끄러움으로 출입을 통제하고 있는 승일교 방향의 물윗길

 

승일교로 오르기 시작한다

 

전망좋은 곳에서 송대소 방향의 지나 온 물윗길을 내려다 본다

 

인증

 

인증

 

인증

 

태봉대교에서 1.3km 지나왔다

 

은하수교를 건넌다

 

은하수교 뒤로는 철원의 진산 금학산이 하얀눈으로 덮혀 조망된다

 

은하수교 아래를 내려다 보니 강바닥이 조그맣게 보일정도로 높아서 아찔하여 다리가 후들거린다

 

은하수교를 건너서 인증

 

인증

 

은하수교를 건너면 자리한 카페 은하수의 포토죤

 

은하수교에서부터 승일교까지는 한여울길로 이어진다

 

한여울길에서 내려다 보면 한반도 지형이 나타난다

 

안내도

 

오른쪽으로는 흰준으로 덮힌 금학산이 뚜렷하게 조망된다

 

한여울길을 따라서

 

한탄강 한여울길 안내

 

포장도로를 따라서

 

승일교 도착

남북 합작으로 만들어진 독특한 다리, 한탄강을 가로지르고 있는 승일교

승일교는 한탄강을 가로질러 철원군 동송읍과 갈말읍을 잇는 높이 35m, 길이 120m, 폭 6m의 다리다. 승일교는 절반은 북한측이 절반은 우리측이 만든 다리로 유명한데 본래 승일교를 먼저 건설한 것은 북한측이었다. 1948년 8월, 북한은 이 다리를 군사적 용도로 활용하기 위해 철원과 김화의 지역 주민들을 동원해 동송읍 쪽에서부터 공사를 진행했다.

그러나 다리가 절반 정도 완성된 상태에서 6.25 전쟁이 발발해 건설이 중단되었다. 이후 이 지역을 수복한 우리 정부는 1958년 북한과는 다른 공법으로 다리의 나머지 구간을 완성해 ‘승일교’라 이름 지었다. 따라서 승일교의 교각을 자세히 보면 북한측과 우리측이 공사를 진행했던 부분의 모양이 다른 것을 알 수 있다.


‘승일교’라는 이름에는 두 가지 이야기가 전해진다.

하나는 남북 합작으로 완성한 다리라 하여 이승만 초대 대통령의 ‘승(承)’자와 김일성의 ‘일(日)’자를 합쳐 ‘승일교(承日橋)’라는 것이고,

다른 하나는 6.25 전쟁 당시 한탄강을 건너던 중 전사한 고 박승일(朴昇日)대령을 기리기 위해 ‘승일교’라 명명했다는 것이다. 현재 승일교 옆에는 1999년 현대식 공법에 의해 아치형 철근구조로 건설된 ‘한탄대교’가 나란히 서 있으며, 승일교는 등록문화재 제26호로 관리되고 있다.

 

승일교에서 나무계단을 따라 물윗길로 내려간다

 

승일교 쉼터

 

인증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