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한국의 소리-동영상 (듣고 싶은 곳에 클릭해 보세요)


제 1편 :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 100선




<제 1 편> 사계


<봄>

1. 고드름 낙수소리
2. 얼음장 물 흐르는 소리
3. 동굴 낙수소리

<여름>
4. 여름폭포소리
5. 몽돌 휩쓸리는 소리
6. 대나무 부딪히는 소리
7. 천둥 소리
8.장마 비바람 소리
9.우박떨어지는 소리
10. 가시연꽃밭 폭우소리
11.불어난 계곡물 쏟아져
내리는 소리



<가을>

12. 벼이삭 부딪히는 소리
13. 낙엽지는 소리
14. 싸리비로 낙엽쓰는 소리
15. 낙엽 밟는 소리
16. 바람에 낙엽 구르는 소리
17. 억새 부딪히는 소리
18. 갈대 부딪히는 소리

<겨울>
19. 눈보라
20.설피 신고 눈 밟는 소리
21. 겨울 얼음장 깨지는 소리

<제2편>향토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 100선




<제 2 편>향토


36. 해녀 숨비소리
37. 연평도 풍어제(豊漁祭)소리

≪일터≫
38. 논두렁 태우는 소리
39. 모내기하는 소리
40. 밭가는 소리
41. 산나물 캐는 소리
42. 베틀짜는 소리
43. 탈곡기로 탈곡하는 소리
44. 키질하는 소리
45. 콩도리 깨질 소리
46. 콩깍지 타는 소리
47. 맷돌가는 소리
48. 절구 찧는 소리
49. 떡치는 소리

<제3편>추억 <제4편>생명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 100선




<제 3 편>추억


- 향수

62. 대장간 소리
63. 참숯 익는 소리
64. 노젓는 소리
65. 개울가 빨래 소리
66. 염전 수차 소리
67. 통방아 소리
68. 물레방아 소리
69. 디딜방아 소리
70. 다담이질 소리
71. 마지막 비둘기호 정선선

<제1편>사계 <제2편>향토 <제3편>추억 <제4편>생명

한국의 아름다운 소리 100선




<제 4 편>생명


≪새≫
72.괭이갈매기 우는 소리
73. 가창오리 군무 소리
74. 새끼제비들의 소리
75. 딱따구리 나무파는 소리
76.보리밭 종달새 우는 소리
77. 백로 새끼 키우는 소리
78. 소쩍새 우는 소리
79. 둥지 떠난 꾀꼬리 새끼,
어미 찾는 소리

80. 삼광조 새끼 키우는 소리
81 큰유리새 우는 소리
82. 붉은배새매 새끼 소리
83. 파랑새 새끼 소리
84. 두루미 구애하는 소리
85. 참매미 짝 찾는 소리
86.쓰름매미 우는 소리
87.애매미 우는 소리


≪풀속≫
88.쇠똥구리 경단 굴리는 소리
89. 토종벌 일하는 소리
90. 귀뚜라미 짝 찾는 소리
91. 여치 우는 소리
92. 방울벌레 노래소리
93. 베짱이 우는 소리
94. 긴꼬리 우는 소리
95. 누에 뽕잎 갉아먹는 소리

≪물가≫
96. 개구리 울음소리
97. 두꺼비 우는 소리
98. 맹꽁이 울음 소리

≪강ㆍ바다≫
99. 섬진강 동자개 우는 소리
100.연어 돌아오는 소리

출처 : 사랑과 우정의 교차로
글쓴이 : 핫♥초코 원글보기
메모 :

728x90
728x90
/ / / / / / / / / / / / /


사랑과 우정의 교차로
NO
대상산(M)
소재지
NO
대상산(M)
소재지
1 가덕산(858m) 경기 가평 북면, 강원 춘천
2 가라산(580m) 경남 거제 남부면
3 가령산(654m) 충북 괴산
4 가리봉(1,519m) 강원 인제
5 가리산(774m) 경기 포천 이동면
6 가리산(1,051m) 강원 홍천 두촌면
7 가리왕산(1,561m) 강원 정선 북면
8 가마봉(1,192m) 강원 홍천 상남면, 내촌면
9 가 산(902m) 경북 칠곡 가산면, 동명면
10 가섭산(710m) 충북 음성
11 가야산(1,430m) 경남 합천 가야면, 거창, 경북
12 가야산(678m) 충남 예산 봉산 덕산면, 서산
13 가야산(497m) 전남 광양
14 가야산(189m) 전남 나주
15 가은산(575m) 충북 제천 수산면
16 가지산(1,240m) 경남 밀양, 울산 울주
17 가칠봉(1,240m) 강원 홍천, 인제
18 가학산(575m) 전남 영암, 해남
19 각호산(1,176m) 충북 영동 용화면, 상촌면
20 각화산(1,177m) 경북 봉화 춘양면, 소천면
21 각흘산(838m) 경기 포천 이동면, 강원 철원
22 각희산(1,083m) 강원 정선
23 간월산(1,083m) 경남 양산
24 간현봉(386m) 강원도 원주시 지정면
25 갈기산(585m) 충북 영동 양산면
26 갈기산(685m) 경기도 양평, 강원도 홍천
27 갈두산(155m) 전남 해남 송지면
28 갈모봉(582m) 경북 문경, 충북 괴산
29 갈미봉(595m) 강원 원주, 충북 충주
30 갈미봉(638m) 전남 순천 황전면
31 감악산(675m) 경기 파주 적성면, 양주 남면
32 감악산(945m) 강원도 원주시 신림면, 충북
33 감악삼봉(925m) 강원 원주 신림면, 충북
34 감암산(834m) 경남 합천군 가회면
35 감투봉(715m) 경남 산청
36 갑장산(806m) 경북 상주 낙동면
37 갑하산(469m) 대전 유성
38 갓거리봉(688m) 전남 순천 서면
39 강씨봉(830m) 경기 포천 일동면, 가평 북면
40 강천산(583m) 전북 순창 북흥면, 전남
41 개이빨산(345m) 전북 고창
42 개인산(1,341m) 강원 인제, 홍천
43 거류산(571m) 경남 고성 거류면
44 거망산(1,245m) 경남 함양 안의면, 서하면
45 거문산(1,175m) 강원 평창 용평면
46 거문산(543m) 부산 기장 철마면
47 경운산() 오봉산
48 검각산(505m) 강원 영월 남면
49 검단산(650m) 경기 하남 창우, 광주 동부읍
50 검마산(1,017m) 경북 영양 수비면
51 검봉산(530m) 춘천 남산면 강촌
52 검 산(480m) 전북 완주 구이면, 임실
53 검은오름(718m) 제주도 제주시 연동
54 격자봉(430m) 전남 완도 보길도
55 경각산(660m) 전북 완주 구이면, 임실 신덕면
56 경수산(444m) 전북 고창
57 경옥봉(461m) 북 완주 동상면
58 계관산(736m) 경기 가평, 강원 춘천
59 계룡산(845m) 충남 공주 반포 계룡면, 논산
60 계룡산(566m) 경남 거제 신현읍
61 계명산(774m) 충북 충주
62 계방산(1,577m) 강원 홍천 내면, 평창 진부면
63 계방산(450m) 경남 함안 군북면, 진양 수지면
64 계족산(890m) 강원 영월 영월읍
65 계족산(429m) 대전 대덕구 동구
66 계족산(481m) 전남 순천 서면
67 고고산(854m) 강원 영월 영월읍, 신동읍
68 고대산(832m) 경기 연천 신서면, 강원 철원
69 고덕산(603m) 전북 전주시 완산구, 완주군
70 고동산(591m) 경기 양평 서종면
71 고동산(769m) 전남 순천 낙안면
72 고두산(1030m) 강원 평창 대화면
73 고락산(335m) 전남 여수
74 고래산(543m) 경기 양평 지제면, 여주 북내면
75 고려산(436m) 인천시 강화군 강화읍, 내가면
76 고령산(622m) 경기 파주시 광탄면, 양주군
77 고루포기산(1,238m) 강원 강릉, 평창
78 고리봉(708.9m) 전북 남원 주생면, 금지면
79 고양산(1,151m) 강원도 정선군 정선읍과 북면
80 고원견산(504m) 부산서구, 부산진구
81 고헌산(1,033m) 경남 울산 울주 두서면, 상북면
82 곡달산(628m) 경기 가평 설악면
83 곧은봉(499m) 강원 춘천시
84 곰넘이봉(721m) 경북 문경 가은읍
85 곰바위봉(627m) 강원 원주
86 곰배령() 강원 인제
87 곰봉(1015m) 강원 영월
88 공덕산(912m) 경북 문경 산북면, 동로면
89 공작산(887m) 강원 홍천 화촌면
90 관룡산(740m) 경남 창녕 창녕읍, 고암면
91 관 산(556m) 경기 광주 퇴촌면
92 관악산(632m) 서울 관악, 경기 시흥, 과천, 안양
93 관암산(324m) 전남 순천 황전면
94 관음봉(433m) 전북 부안 변산, 상서면
95 관음산(733m) 경기 포천 이동면
96 관인봉(710m) 경기 포천
97 관주산(500m) 전북 장수 장수읍
98 광교산(582m) 경기 수원시 용인 수지면
99 광덕산(1,046m) 경기 포천 이동면, 강원 철원
100 광덕산(699m) 충남 아산 배방 송악면, 천안
101 광려산(720m) 경남 함안 여항면,창원 내서면
102 괘관산(1,252m) 경남 함양군 병곡면, 지곡면
103 괘방산(339m) 강원도 강릉시 강동면
104 교룡산(518m) 전북 남원
105 구곡산(961m) 경남 산청
106 구나무산(858m) 경기 가평
107 구녀산(484m) 충북 청원 북이 미원면, 괴산
108 구담봉(330m) 충북 제천 수산면, 단양군
109 구덕산(562m) 부산 북구, 사하구
110 구두산(618m) 경남 남해
111 구룡산(479m) 강원 원주 지정면
112 구룡산(955m) 강원 영월
113 구룡산(283m) 서울 서초
114 구만산(785m) 경남 밀양시 산내면
115 구미산(594m) 경북 경주시 현곡면
116 구병산(876m) 충북 보은 내속리
117 구봉대산(870m) 강원 영월 수주면
118 구봉산(178m) 인천 옹진군 북도면 신도
119 구봉산(465m) 경기 용인, 안성
120 구봉산(264m) 대전 서구
121 구봉산(1,002m) 전북 진안, 무주
122 구봉산(387m) 전남 여수
123 구성산(488m) 전북 김제시 금구면, 금산면
124 구수산(351m) 전남 영광 백수읍
125 구왕봉(877m) 충북 괴산 연풍면, 경북 문경
126 구절산(750m) 강원 춘천 동산면
127 구천산(620m) 경남 삼랑진
128 구천산(888m) 경남 밀양
129 구학산(971m) 강원 원주 신림면, 충북
130 구현산(581m) 경남 창녕
131 구황봉(298m) 전북 고창 아산면
132 국기봉(578m) 전남 순천 외서면
133 국망봉(1,168m) 경기 포천 이동면, 가평 북면
134 국망봉(1,420m) 충북 단양 가곡 영충 대강면
135 국망산(770m) 충북 충주
136 국봉(628m) 충북 단양, 제천
137 국사봉(230m) 인천시 중구 무의도
138 국사봉(727m) 경북 문경 동로면
139 국사봉(462m) 경남 거제 신현읍
140 국사봉(613m) 전남 영암, 장흥
141 국사봉(547m) 전남 순천 서면, 상사, 용수동
142 군유산(403m) 전남 함평, 영광
143 군자산(948m) 충북 괴산 칠성면
144 굴암산(662m) 경남 진해
145 궁성산(484m) 전남 영암, 나주
146 귀목봉(1,036m) 경기 가평 북면, 하면
147 금강산(1,638m) 강원 화양, 통천, 고성, 인제군
148 금골산(135m) 전라남도 진도군 군내면
149 금귀봉(827m) 경남 거창
150 금단산(767m) 충북 괴산 청천면
151 금당산(1,173m) 강원 평창 대화면
152 금대봉(1,418m) 강원 태백, 정선, 삼척
153 금물산(780m) 강원 횡성 서원면, 경기 양평
154 금병산(652m) 강원 춘천 신동면, 동내면
155 금봉산(636m) 충북 충주
156 근 산(505m) 강원도 삼척시 미로면
157 금 산(681m) 경남 남해, 이동면 삼동면
158 금성산(451m) 전남 나주 경현동 대호동
159 금수봉(531m) 대전 유성
160 금수산(1,016m) 충북 제천수산면, 단양 적성면
161 금오산(977m) 경북 구미, 김천 남면, 칠곡
162 금오산(730m) 경남 양산 삼랑진
163 금오산(849m) 경남 하동 진교면, 금남면
164 금오산(323m) 전남 여수 돌산읍
165 금원산(1,352m) 경남 거창군 위천면, 함양
166 금적산(652m) 충북 보은 삼승면
167 금전산(668m) 전남 순천 낙안면
168 금정산(801m) 부산 북구, 동래구, 경남
169 금주산(569m) 경기 포천 영종면
170 금학산(947m) 강원 철원 동송읍
171 금확산(655m) 강원 홍천 북방면, 남면
172 기백산(1,331m) 경남 거창 위천 북상 마리면
173 기양산(706m) 경북 상주시 청리면
174 길매봉(735m) 경기 포천, 가평
175 깃대봉(644m) 경기 가평
176 깃대봉(910m) 경기 가평 가평읍 두밀리
177 깃대봉(835m) 충북 괴산 연풍면
178 깃대봉(368m) 전남 신안군 흑산면 홍도
179 깃대봉(1,015m) 경남 함양 서상면, 전북
180 깨정산(250m) 전남 순천 서면
181 꼭두봉(860m) 강원 영월
182 꼭두바위봉(838m) 경북 문경시
183 꽤꼬리봉(890m) 충북 제천 덕산면

/ / / / / / / / / / / / /

사랑과 우정의 교차로
출처 : 사랑과 우정의 교차로
메모 :
728x90

'◆ 국내 산행 > 산행지도'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지역권별 등산지도  (0) 2007.08.18
주요산행지도  (0) 2006.07.16
[스크랩] 백두대간 종주지도  (0) 2006.05.09
[스크랩] 백두대간 종주지도  (0) 2006.05.09
[스크랩] 백화산  (0) 2006.05.07
728x90
. 고관절
고관절(엉덩이관절) 이상(대부분은 틀어진다)은 만병의 근원이 됩니다. 우리는 척추가 바로 서고 공명이 숨을 쉬며 오장육부가 본디 자리에서 제 기능을 하면, 건강하게 자기 수복을 누릴 수 있다고 누차 강조했습니다. 척추가 틀어지고 휘면서 이상이 생김으로 해서 서서히 내부 장기의 기능이 약화되고 질병 상태로 발전하게 되는 근본적인 이유가 바로 고관절의 이상에서 비롯됩니다.

사원에 가면 볼 수 있는 탑은 기단석을 바탕으로 해서 층층이 올라갑니다. 우리 몸도 마찬가지로 엉치등뼈(천추)를 비롯한 골반을 기단석으로 해서 1층 허리등뼈(요추), 2층 가슴등뼈(흉추), 3층 목등뼈(경추)로 돼 있습니다. 문제는 사람의 몸은 땅에 고정돼 있는 것이 아니라 뿌리(다리뼈)를 내려 움직임(앉고 서고 걷고 등)이 생기면서 기단석(엉치 및 골반)과 뿌리(다리뼈)의 이음새(고관절)가 균등한 힘으로 좌·우 양쪽을 지탱하며 수평추 역할을 해야 한다는 데 있습니다. 여기에서 이음새, 즉 고관절에 이상이 생기면 몸의 균형이 무너져 척추가 기울거나 틀어지면서 오장육부에 나쁜 영향을 미치게 되고, 그로 인해 한 걸음씩 질병에 다가서게 됩니다.

고관절, 아니 그뿐 아니라 우리의 몸은 오히려 수렵이나 농경 및 어로에 적합하게 진화한 산물입니다. 산행(山行)이나 수영 등의 운동을 꾸준히 함으로써 몸의 좌·우 밸런스를 유지하고 필요한 근육이 형성되도록 해야 합니다.


  


① 우측 고관절에 이상이 있는 경우는 몸을 오른쪽 옆으로 눕히고 오른손으로 머리를 받칩니다.

② 왼쪽 무릎을 90도 각도로 굽혀 발바닥이 바닥에 닿도록 하고, 오른쪽 무릎을 구부려 발목을 왼쪽 대퇴부 위로 당겨 올려놓습니다.

③ 왼손으로 오른쪽 발목을 감싸 쥔다. 오른 무릎은 최대한 아래로 내린다. 허리를 구부리지 않고 펴야 제대로 된 자세가 됩니다.

④ 그리고 왼쪽 대퇴부로 오른발을 밀면서 오른쪽으로 살짝 구르면 고관절에 힘이 가면서 교정이 됩니다. 왼쪽 고관절은 위의 동작과 같은 요령으로 손발을 바꾸어 합니다.


☞ 교정 후 조치

찬물요법을 실시합니다. 찬물에 들어가 허리 아래를 15분 정도 담급니다.  

    

① 한손으로 의자를 잡고 섭니다.

② 의자를 잡은 쪽의 다리를 옆으로 들어올려 가볍게 흔들면서 긴장을 풀어주다가 순간적으로 강하게 들어 올립니다.

③ 이 때 무게 중심이 손을 짚은 반대편으로 쏠리지 않도록 주의하도록 합니다.  

 

    


고관절의 뼈가 제자리를 잡은 후(약 1주일 후) 주변 근육을 잘 풀어 주어 탄력 있게 만들어야 재발을 방지할 수 있습니다. 그 운동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벽에서 한 걸음 물러나 벽을 바라보고 섭니다.

② 두 발을 모으고 두 손을 어깨 높이로 들어올려 손바닥을 벽에 고정시킵니다.

③ 발끝과 양 무릎을 모으고 발꿈치를 들면서 무릎을 구부려 천천히 앉습니다.

④ 손바닥을 벽에 고정시킨 채 충분히 내려간 다음 잠시 멈추고(2~3초 정도) 다시 천천히 일어선다. 이를 5회 정도 반복해서 합니다.

 
2. 목

목뼈는 경추라 하여 척추 중에서 단면이 가장 작고 약하며, 목의 움직임은 좌우 회전 및 앞으로 숙이고 뒤로 젖히기에 용이하게 돼 있습니다. 약한 만큼 쉽게 틀어지거나 삐게 되며, 교정 또한 어렵지 않습니다.

목뼈의 이상은 여러가지 증상을 일으킵니다. 목뼈 왼쪽에 이상이 있을 경우 시각, 후가, 청각 등 얼굴에 있는 감각 기관에 이상이 생기고 오른쪽에 이상이 있을 경우 기억력 저하, 언어 능력 저하, 사고력 저하 등이 일어납니다. 또한 목뼈에 이상이 있는 쪽으로 두통이 생깁니다.

목의 이상은 삔 것과 접질린 것 두가지로 나누어 볼 수 있는데 접질렸을 때에 증상이 더 심하게 나타납니다. 또한 접질려 있는 것은 자가교정으로 바로잡기 어렵습니다.


  


① 바닥에 편안히 누운 후 양 팔은 몸과 수직이 되게 벌리고 손바닥이 천장을 향하도록 합니다.

② 목을 좌우로 가볍게 흔들며 긴장을 풀어 줍니다.

③ 오른 쪽 목이 불편하시다면 목을 왼쪽으로 최대한 당겼다가 순간적으로 쳐 주듯이 오른쪽으로 돌립니다.

④ 이 때 목에 힘을 완전히 뺀 상태에서 하셔야 합니다.

⑤ 왼쪽이 불편하실 경우 반대로 하시면 됩니다.


 

   

    
     

이들 기관은 목(경추)에서 좌측으로 올라오는 신경과 관련이 있으므로, 목뼈가 왼쪽으로 삐거나 접질리면 신경이 눌리고 자극돼 눈이 침침해지거나, 귀에 이명 현상이 오고, 비염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도 있는 등 기능이 약화됩니다. 이때에는 먼저 경추의 이상을 바로 잡고 머리의 독맥을 자주 풀어 줄 필요가 있습니다.


1) 왼쪽 귀 위 독맥 다스리기

척추를 바로 세우고, 목을 편안히 하고, 왼쪽 ‘귀 위 독맥’을 손가락으로 두드려 줍니다. 요령은 손가락을 구부려 손목의 힘을 빼고 두드리며, 위치는 왼쪽 귀 위에서 손가락 두 개 굵기 위에 신경이 지나는 길목인데, 만져 보면 약간 볼록하게 튀어나와 있습니다. 이곳이 긴장돼 있으면 신경의 소통이 원활하지 못해 뻣뻣한 줄기가 만져지기도 하고, 누르거나 두드리면 심한 통증을 느낍니다. 


2)왼쪽 귀 뒤 독맥 다스리기

척추를 바로 세우고, 목을 편안히 세우고, 양손의 손가락을 펴서 머리 뒤를 감쌉니다. 엄지손가락을 귀 뒤의 독맥(후두골 바로 및 움푹 패인 곳)에 닿게 하고, 나머지 손가락은 머리 뒤에 대고 고정합니다. 그곳을 누르면서 약간 올리듯이 풀어 줍니다. 그 부분이 뭉치거나 굳어 있으면 신경이 자극돼 누르면 통증이 옵니다. 굳은 독맥이 풀어지면 신경의 흐름이 원활해지면서 얼굴 부위 각 기관의 기능도 향상됩니다.  

    

뇌와 연관되는 신경의 줄기는 목(경추)의 오른쪽으로 올라오는 신경입니다. 목뼈가 오른쪽으로 삐거나 접질리면 기억력, 판단력, 집중력 등 뇌의 기능에 이상이 생깁니다. 따라서 목뼈를 바로잡아준 후 머리의 독뱍을 풀어주어야 합니다. 신경은 오른쪽 귀 뒤 및 귀 위 독맥을 다스리면 됩니다. 방법은 앞의 얼굴 신경 다스리는 것과 동일하며 위치만 오른쪽으로 하면 됩니다.

 
3. 어깨

견관절(어깨관절)은 고관절(엉덩이관절)과 함께 우리 몸의 절구관절입니다. 전후좌우 및 회전운동 등 우리 몸에서는 가장 운동범위가 크며 안정성, 운동성, 유연성의 특성을 가졌을 뿐 아니라 그 주위는 잘 조화된 근육으로 싸여 있습니다. 다른 관절과 달리 어느 정도 신축성이 있는 관절주머니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자유자재로 360도 회전이 가능합니다.

넓은 어깨는 짐을 지기에 용이합니다. 남아메리카 인디오들은 끈을 머리에 달아 짐을 지지만, 우리는 지게를 이용해 어깨로 짐을 져 날랐습니다. 그뿐 아니라 한 집안을 책임져야 할 책무도 어깨로 졌습니다. 그러한 어깨가 타박이나 교통사고 등의 외상을 당하면 관절 자체나 인대 또는 근육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지만, 특별한 외상의 기억이 없는데도 갑자기 어깨가 아프고 제대로 움직일 수 없으며 밤잠까지 설쳐야 하는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럴 때에는 다음과 같은 동작으로 풀어 보도록 합시다.



  

① 왼쪽 어깨가 틀어진 경우 바닥에 누운 후 왼팔을 몸과 수직이 되도록 벌립니다.

② 오른 주먹을 가볍게 말아 쥔 후 왼쪽 어깨를 45도 각도로 내려 칩니다.

③ 오른손 검지 손가락으로 왼쪽 겨드랑이를 짚은 후 바로 위로 어깨선을 따라 올라가다 보면 평평한 부분이 만져 지는데 이곳이 타점 입니다.

④ 왼쪽 어깨는 같은 요령으로 반대 편으로 실시하면 됩니다.

 


    

① 오른쪽 어깨가 약간 틀어진 경우에는 서서 왼팔로 오른쪽 등뒤의 견갑골(겨드랑이 근처의 활배근 부근)을 잡아 고정시킵니다.

② 오른손 손목을 안으로 틀어 손날이 하늘로 향하도록 하고 오른팔을 앞에서 뒤로 돌립니다.

③ 왼쪽 어깨는 같은 요령으로 손을 바꾸어 실시하면 됩니다.



    


① 왼쪽 어깨의 경우에는 옆으로 누운 자세에서 왼 무릎은 구부려 편안하게 바닥에 대고, 고개는 왼쪽 어깨 앞으로 누이고 왼팔은 위로 뻗습니다.

② 손등을 바닥에 대고 손바닥을 뒤집어 팔을 비틀어 줍니다.

 

☞ 교정 후 조치

찬물요법: 교정 후 어깨에 찬물을 5분에서 10분 정도 뿌리거나 냉수포(찬물에 적신 수건)를 함으로써 부기를 다스  리고 뼈가 자리를 잘 잡도록 한다.

운 동 법: 어깨를 교정한 후 어깨를 싸고 있는 근육을 풀어 주어야 한다. 요령은 깍지를 낀 양손을 뒤통수에 대고  (손날이나 손등 둘 다 무난하다), 가슴을 펴고, 양팔을 좌우로 벌리고, 머리를 뒤로 살짝 젖힌 채 10여 분 동안 유지한다.

가슴근육 풀어 주기: 교정한 어깨의 앞가슴 위쪽(쇄골과 어깨가 닿는 부분)을 두 손가락으로 살짝 누르면서 옆으  로(쇄골과 평행하게) 문질러 주어 긴장돼 있는 근육을 풀어 주어야 한다. 어깨에 이상이 생기면 이 부분의 근육이 수축돼 굳어지기 쉬우며, 어깨가 굽어 있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이를 잘 풀어 주어야 어깨 움직이기가 수월하다.

팔의 맥자리 풀어 주기: 아래팔의 맥자리(팔목과 팔꿈치의 3/4 부분에 있는 뭉쳐진 근육) 및 위팔의 이두근 및 삼  두근, 그리고 그 사이의 신경을 오른손 엄지로 꾹꾹 누르면서 근육을 풀고 신경을 터 주어야 한다.

 
4. 등뼈

예전부터 우리는 남이 토하거나 배가 아파하면 아무 생각 없이 등을 토닥거려 주었습니다. 그러다 보면 일순간 ‘꺽’ 하고 트림을 하면서 복통이 사라지는 경험을 했습니다. 따지고 보면 이는 우리가 본능적으로 몸을 보호하고 이상을 바로잡는 방법을 행했던 것입니다. 사실 등뼈 3번에서 5번 사이는 위(胃)로 가는 자율신경이 갈라져 나오는 곳이다. 우리는 무의식중에 그곳을 침으로써 신경을 틔워 주었던 것입니다.

등뼈(흉추)는 척추 중에서 갈비뼈가 붙어 있는 척추를 말하는데, 등뼈에서 분기하는 자율신경은 우리 몸의 내장기관 및 내분비계통과 밀접한 관계가 있어 아주 중요합니다. 따라서 등이 구부러지거나 옆으로 휘는 것을 예방해야 스스로 건강을 지킬 수 있습니다.


  



① 천장을 보고 누운 다음 팔을 머리 위로 뻗어 올립니다. 이때 들이마신 숨을 공명(아랫배 배꼽과 불두덩이 사이)에 보내 멈추고, 어깨와 엉덩이만 바닥에 닿아 척추는 전체적으로 아치 형태가 되도록 합니다.

② 머리 위로 올렸던 손을 바닥에서 떼지 말고, 팔꿈치가 90도 각도가 되도록 상완(위팔)이 어깨와 평행할 때까지 내립니다. 머리를 살짝 들어올립니다(척추의 아치 형태를 계속 유지합니다).

③ 다리(하체)의 움직임은 최소화하고 상체만 좌우로 흔들어 등뼈를 교정합니다.


    


두 손을 뒤로 모아 등뼈를 쳐올려 주는 동작으로 손이 닫지 않는 곳까지 연쇄적으로 교정이 가능합니다. 숙달되면 웬만큼 떠 있는 등뼈는 가볍게 교정할 수 있습니다.

① 두 발을 약간 벌리고 서서 몸의 긴장을 풀어 등의 근육이 이완되도록 합니다.

② 두 손으로 뒷짐을 지고 오른손(왼손잡이는 왼손) 손등을 등뼈의 가는 돌기에 댑니다.

③ 두 손에 가볍게 힘을 주어 순간적으로 쳐올립니다.

④ 가슴등뼈 12번부터 위로 가능한 범위까지 실시합니다.

    

교정을 통해 틀어져 있던 등뼈를 바로 잡았다고 해도 오랫동안 틀어진 상태로 살아 오면서 굳어진 근육을 풀어주지 않으면 완전한 교정이 되지 않을 뿐더러 다시 틀어지게 될 가능성이 높습니다. 뒷짐 지고 걷기를 매일 하면 굽어 있던 등뼈도 펴지고 굳어있던 근육도 풀리게 됩니다. 또한 고관절의 근육을 강화시켜 몸이 다시 틀어지는 것을 막아줍니다.

방법은 간단합니다. 뒷짐을 져서 두 손을 등뼈에 댄후 손에 약간 힘을 주어 등뼈을 위로 밀어 올려주는 느낌으로 걸으시면 됩니다. 단 이때 허리를 세우고 시선은 먼곳을 보도록 해야 합니다. 매일 20분에서 30분 정도 걸으시면 됩니다.

    

뒷짐 지고 걷기와 비슷한 효과를 내는 운동입니다. 두 가지 다 병행해서 하시면 효과가 더 증폭됩니다. 잠자리에 드시기 전에 방석 대고 누워 있기를 하시면 온 몸의 긴장이 풀리면서 숙면을 취하시는 데 도움이 됩니다.

① 이상이 있어 교정됐던 부분 바로 밑에 이등분이나 삼등분으로 방석을 접은 뒤 접은 선이 위로 가도록 하여 등에 대고 눕습니다.

② 두 손은 머리 위로 쭉 뻗는 것이 좋으나, 어깨가 굽어 힘든 경우에는 팔꿈치를 구부려 편안한 자세를 취하도록 합니다.

③ 몸에서 힘을 빼고 편안히 누어야 하는데, 혹 등이 굽어 있어 몸이 긴장되면(등이나 어깨가 불편하면) 방석의 높이를 낮추어 줍니다.  

 

 
5. 엉치뼈

엉치뼈는 허리뼈(요추 5번) 바로 아래 있으면서 척추라는 기둥을 받치고, 척추에서 전달되는 힘을 받아서 골반에 전해 주는 역할을 합니다. 이 뼈는 위로는 넓고 아래로는 좁아 꼬리뼈가 연결되는 역삼각형의 구조를 하고 있으며, 위의 넓은 곳 좌우에는 동글동글한 돌기가 있습니다. 엉치뼈의 구조상 허리뼈, 즉 요추 5번과 만나는 곳에서 앞뒤로 밀리면서 어긋나 심한 통증을 유발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또 좌우 돌기의 높이가 틀려지는 것은 고관절의 이상에 그 원인이 있다. 엉치뼈가 전후로 어긋나 있을 때에는 수영의 접영(蝶泳) 동작으로 교정하기도 합니다.


  



① 두 발을 모으고 상체의 힘을 빼고 편안하게 섭니다.

② 상체의 힘을 뺀 상태에서 순간적으로 허리를 굽히고 상체를 밑으로 떨어뜨립니다.

③ 천천히 허리를 세워 처음의 자세로 돌아간다. 같은 동작을 3회 정도 되풀이합니다.


    


① 두 발을 벌리고 서서 두 손으로 엉치뼈를 받쳐 준다. 이때 손끝을 아래로 향하게 하고 두 손은 좌우의 엉치뼈 돌기 위에 얹어 놓습니다.

② 상체를 뒤로 순간적으로 젖혀 줍니다. 같은 동작을 3회 정도 반복해서 합니다.  

 

 
 
6. 무릎

무릎은 대퇴골과 정강이뼈가 만나는 복합적인 관절이며, 슬개골은 다른 두 뼈 위에 위치하면서 관절을 보호하는 기능을 합니다. 인대는 뼈를 연결하면서 전방 및 측면의 회전운동을 제한함으로써 관절을 잡아 주고, 근육은 뼈와 연결돼 움직이는 힘을 제공합니다. 무릎은 구부리는 동작이 쉽고 고관절의 움직임과 연동돼 책상다리를 할 수 있게 돼 있습니다. 그러나 바깥쪽으로 꺾이는 범위는 아주 제한적입니다. 민속놀이 중 제기차기를 연상하면 이해하기가 쉬울 것입니다.

무릎 통증에는 무릎관절로 인한 것, 한쪽 고관절의 이상으로 동일한 다리나 다른 쪽 다리의 무릎에 이상이 오는 것, 무릎관절 주위에 원인이 있는 것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간혹 무릎연골 조각이 두 개의 뼈 사이에 끼어 심한 통증과 함께 무릎을 움직일 수 없을 수도 있습니다.



  


왼쪽 무릎에 이상이 있을 경우 두 다리를 펴고 앉아서 왼쪽 무릎(아픈 무릎)을 구부려 발목을 오른발 허벅지에 올려놓습니다. 왼손으로 무릎관절 밑 부분을 받치고 오른손 주먹의 손날로 관절의 밑, 즉 정강이뼈 제일 위의 뭉툭한 곳을 내려칩니다. 오른쪽 무릎은 같은 요령으로 손발을 바꾸어 하면 됩니다.

 

    


오른쪽 무릎의 이상은 두 다리를 펴고 앉아 오른 발목을 왼쪽 허벅지에 얹어 놓고 양손을 포개 오른발 무릎에 올린 다음 순간적으로 힘을 주어 두세 번 눌러 줍니다. 왼쪽 무릎은 같은 요령으로 손발을 바꾸어 하면 됩니다.



    


무릎을 눌러 주거나 내려쳐 교정한 후 공통적으로 종지뼈(슬개골)를 바로잡아 주어야 합니다. 교정 동작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앉은 자세에서 이상이 있는 무릎을 구부려 양손의 손날로 종지뼈 밑의 파인 부분을 눌러 살짝 위로 치켜 줍니다.

② 다리의 힘을 빼고 가볍게 위로 ‘툭’ 하고 두서너 번 펴 줍니다.

 

☞ 주의사항
다리를 펼 때 종지뼈를 받쳐 준 손이 떨어지지 않도록 합니다.
건강한 사람도 오랫동안 서 있거나 무리한 운동을 하면 무릎이 아플 수 있습니다. 이때 종지뼈를 올려 주는 동작을 하면 다리가 편합니다.

☞ 교정 후 조치
무릎에 찬물에 적신 수건을 대고 10여 분 있거나, 찬물에 담근 채 종지뼈를 엄지와 검지를 이용해 여러 번 위로 치켜올려 줍니다.


 
7. 발목

발목관절은 앉고 서고 걸어다니기에 편하도록 밑으로 숙일 수 있는 범위가 크고(발등과 정강이의 각이 약 160도 미만), 몸이 앞으로 쏠리는 것을 막기 위해 쭈그리고 앉을 때에도 발등과 정강이의 각이 약 50도 이상 됩니다. 그리고 양옆으로 꺾이는 각은 상당히 제한적이며 약간의 회전운동도 가능합니다. 복숭아뼈 안쪽으로는 두꺼운 두 겹의 인대가, 그리고 바깥쪽으로는 얇은 한 겹의 인대가 가운데 뼈를 중심으로 좌우에서 마치 부챗살처럼 관절을 둘러싸 연결하고 있으면서 무거운 체중을 지지하고 충격을 완화시켜 줍니다.


따라서 삐는 경우의 90% 이상은 바깥쪽으로 나타납니다. 삐거나 접질린 경우 혼자 바로잡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부기가 심한 경우에는 2~3일 기다려 부은 것이 가라앉은 다음 실시하도록 합니다. 며칠이 지나도 부기가 빠지지 않고 통증이 지속되면 복숭아뼈 위와 아래에 붙어 있는 가느다란 뼈가 부러졌을 가능성이 높습니다.


  

 


① 오른쪽 발목이 불편할 경우 왼 다리를 편 후 왼쪽 허벅지 위에 오른 다리를 접어서 올려 놓습니다.

② 오른손으로 오른쪽 발목을 잡아서 고정시키고 왼손으로 오른발 끝을 말아 쥡니다.

③ 왼손으로 오른 발목을 가볍게 돌리며 긴장을 풀어 주다가 순간적으로 왼손을 잡아 당깁니다..

④ 제대로 동작이 이루어지면 소리가 나면서 발목이 제자리를 잡게 됩니다.


    

무릎을 꿇고 대퇴부와 상체를 일으켜 세운 다음, 몸의 힘을 뺀 채 순간적으로 발뒤꿈치를 깔고 앉습니다. 같은 동작을 2~3회 반복합니다. 이상이 있으면 ‘뚝’ 소리가 나면서 교정됩니다.

☞ 주의사항
대부분 두려움 때문에 살짝 앉거나 앉을 때 발뒤꿈치가 양옆으로 벌어지게 되는데, 발뒤꿈치를 오므려야 좌골과 정확하게 맞닿아 발목이 아래로 눌리면서 접혀 있거나 삔 발목이 펴져 제자리를 잡습니다. 그리고 발목이 꺾이는 각도도 무릎을 꿇고 앉아 있는 자세 이상이 아니며, 방바닥의 수평면, 즉 180도를 초과할 수 없으므로 무서워할 필요는 없습니다.

    


발뒤꿈치를 깔고 앉아서도 교정이 안 되는 경우는 심하게 삐거나 접질린 것이므로 엎드린 자세로 발목을 잡아 줍니다.

① 엎드려 발목에 이상이 있는 다리의 무릎을 뒤로 구부려 올립니다.

② 두 손으로 발등을 가볍게 잡습니다.

③ 두 손에 힘을 주어 엉덩이 쪽으로 순간적으로 당겨 꺾어 줍니다.

④ 제대로 동작이 이루어지면 소리가 나면서 발목이 제자리를 잡게 됩니다.

 

☞ 교정 후 조치
찬물에 발목을 10여 분 담가 부기를 가라앉히고, 1주일 정도 무리한 사용을 피합니다. 그리고 다리를 쭉 펴고 발목을 위아래로 움직여 주는 운동으로 발목관절이 제자리를 잡도록 합니다.

 
8. 발가락

발가락의 마디는 상하로 움직임이 자유롭습니다. 가끔 책상다리나 의자에 앉은 자세에서 왼발을 오른발 허벅지 위에 얹어 놓고 오른손으로 왼발 발가락을 교정하면 됩니다. 오른발의 경우에는 반대로 하면 됩니다.

특히 통풍이 왔을 때 엄지발가락을 교정해 주면 낫습니다.


  



오른손 엄지로 왼쪽발바닥의 용천혈(엄지발가락 끝에서 둘째 마디의 안쪽 튀어나온 부분과 직각으로 둘째 발가락의 중심선이 만나는 지점)을 누르면서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엄지발가락부터 하나씩 아래 방향(발바닥 쪽)으로 순간적으로 꺾어 줍니다.

이상이 있는 경우는 ‘뚝’ 소리가 나면서 교정이 됩니다.

    


엄지로 용천혈을 누른 채 나머지 네 손가락으로 발가락 전체를 위에서 감싸 쥐고 3번 정도 아래로 꺾어(눌러) 줍니다. 그 다음은 다섯 손가락 모두를 이용해 발가락 전체를 밑에서 거머쥐고 위로 꺾어(올려) 줍니다.

 

☞ 교정 후 조치
찬물에 발가락을 10분 정도 담그고 발가락을 살살 움직여 자리를 잘 잡도록 합니다.

 
9. 손목

일상생활 속에서 무거운 물건을 든다거나, 혹은 길을 가다가 넘어지면서 땅바닥을 손으로 짚을 경우, 손목이 삐끗하면서 주먹을 쥐기도 힘들 뿐 아니라 방바닥을 짚을 때마다 고통을 느끼게 됩니다. 또한 손목에 이상이 생기면, 아래팔 맥자리 부근의 근육이 굳어지면서 팔꿈치 통증이 유발되는데 이것을 흔히 테니스엘보라 부르기도 합니다. 손목의 이상을 스스로 다스리는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① 이상이 있는 손목을 ‘다른 손’의 엄지와 검지로 감싸 쥡니다(이때 교정될 손의 손등에 ‘다른 손’의 손바닥을 얹어 놓습니다).

② 순간적으로 위로 제켜 올렸다가 아래로 꺾은 다음 처음의 위치로 돌아옵니다. 위로 제켜 올릴 때 삐거나 접질린 뼈가 바로 잡히면서 손목을 아래로 꺾어 주면 제자리로 돌아갑니다.



☞ 교정 후 조치

찬물요법: 교정 후 손목을 찬물에 5분 정도 담가 부기를 다스립니다. 운 동 법: 손목을 위아래로 움직이거나 주먹을 쥐락펴락하면 손목관절 주변 근육이 풀어집니다.

☞ 주의사항
손목은 비트는 경우에 가장 약하므로 손목이 자리잡히기 전까지 비틀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10. 손가락

일상생활에서 손가락을 삐거나 접질릴 경우 유용하게 쓸 수 있는 방법입니다. 오랫동안 컴퓨터 키보드를 사용하거나 손목이나 손가락을 많이 사용한 후에 손마디를 풀어 주는 동작으로도 이용할 수 있습니다.


  




① 왼손가락 교정은 오른손으로 왼손가락을 하나씩 말아 쥐고 살짝 잡아당기면서 좌우로 비틀어 줍니다. 엄지부터 새끼손가락까지 차례로 실시합니다.

② 손가락의 제일 윗마디에서 ‘뚜둑’ 소리가 나면서 교정이 됩니다.

③ 오른손가락은 같은 요령으로 손을 바꾸어 실시하면 됩니다.

    


손가락 꺾기 손가락이 접질리면 비틀어 주는 것만으로 교정이 잘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때는 꺾어 주어야 손가락이 관절에서 제자리를 잡을 수 있습니다.

① 이상이 있는 손가락을 반대쪽 손으로 쥐는데, 요령은 검지로 방아쇠를 당기듯 걸고 엄지로 고정시키면서 잡습니다.

② 살짝 잡아당긴 상태에서 좌우로 비틀어 주거나 아래로 꺾어 주어 접질린 뼈를 바로잡으면 됩니다.

 

☞ 교정 후 조치
찬물에 손가락을 5분 정도 담가 부기를 가라앉히고, 손가락을 쥐었다 폈다 하는 동작을 반복해 관절과 근육이 제자리를 잡도록 도와줍니다.

출처 : http://blog.naver.com/anyray/50001038957
728x90
728x90

 

 
고 비 술(狗 脊 酒)
특 성
◁ 고비과 다년생 양치식물로서 산속,계곡,숲속에 자란다. 땅속 줄기는 짧고 굵으며 비스듬이 자라고 밑둥은 마른 잎으로 덮혔으며 커다란 덩이 모양이다.
◁ 봄에 포자엽이 먼저 나오고 다음에 영양잎이 나온다. 연한 줄기를 따서 나물로 먹으며 뿌리는 허리 및 무릎, 통증, 풍병, 수종, 임병등에 약용되고 있다.
◁ 고비에는 섬유질이 많이 들어있고 단백질, 지방, 당질, 칼슘, 인, 비타민B2 등이 함유되어 있고 아네우리아제라는 효소가 들어있어 비타민 B1 을 파괴하는 성질이 있다.
이용부위
◁ 봄에 갓나온 새순을 채취
담그는 법
◁ 고비는 새순이 갓 올라오면 덩어리가 되어 하얀막이 감싸고 있다. 이것을 채집하여 물에 깨끗이 씻어 물기가 빠지면 항아리에 넣고 재료의 2 -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부어 밀봉한다. 술이 익으려면 3 - 4개월 걸린다.
효 과
◁ 방광염이나 소변불리, 소변을 참지 못하고 질끔거리는데 좋으며, 오래 상음하면 양기에 좋다고 한다. 특히 조루증, 발기불능에 효과가 크다.
 
고 비 뿌 리 술(金 毛 狗 脊 酒)
이용부위
◁ 고비뿌리를 구척 (狗脊) 이라하며 이 뿌리를 가을에 채취하여 사용한다.
담그는 법
◁ 뿌리를 채집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한후 사용해야 하는데 불에 살짝 구우면 수염뿌리가 제거된다. 깨끗이 씻어 물기가 빠지면 적당한 크기로 썰어 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재료의 2 - 3배 가량 독한 술을부어 밀봉하여 지하실이나 땅속에 보관한다.
대개 3 - 4개월이면 먹을 수 있으나 6개월 이상 두었다가 먹으면 약효가 더욱 뚜렷하다.
◁ 고비, 모과, 두충, 오갈피를 같은 양을 베자루에 담아 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술을 재료의 2 - 3배 가량 붓고밀봉하여 6개월 이상 보관한후에 먹는다.
◁ 고비, 녹용, 백봉령, 사상자를 합해서 담그는 방법이 있다. 이 방법은 위의 재료와 같은 양으로 넣은 다음 술을 2 - 3배 가량 부어 밀봉하고 냉암소에 6개월이상 보관한다.
효 과
◁ 여성에게는 생리불순, 백대하증을 치료하고 산전,산후요통, 골절통, 신경통, 관절염에 효력이 있으며 남성이 먹으면 습기, 냉기, 풍기를 제거하고 조루증, 발기불능, 낭습등 남성의 고민을 해결해 준다. 특히 신경통, 관절염,요통등에 좋은 효과가 있다.
 
구 기 자 술(枸 杞 子 酒)
특 성
◁ 가지과의 낙엽, 활엽, 관목으로 구기자나무 열매를 구기자라 하며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하고 있다.
◁ 한방에서는 잎을 구기엽, 열매를 구기자, 뿌리를 지골피라 하며 아미노산, 비타민등이 함유되어 있어 정력감퇴, 결막염, 피로회복, 현기증 등에 이용되고 있다.
◁ 옛날 중국 어느 고을 우물가에 여인들이 모여 우리 마을에는 100세가 넘는 노인들이 많아 시집살이가 고달프다는 이야기를 듣고 우물주변을 살펴보니 구기자가 우물에 떨어져 우물색이 변해있는 것을 보고 이물을 먹고 장수하고 있다는 고사가 말해주듯 불로장수의 명약으로 알려져 있다.
이용부위
◁ 열매, 뿌리의 껍질, 줄기, 잎
담그는 방법
◁ 구기자의 잎과 줄기를 물에 씻은 다음 칼로 2 - 3cm정도로 썰어서 그늘에 말린다음 말린 열매와 같이 독이나 항아리에 넣고 독한 술을 재료의 2 - 3배 가량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서 4 - 5개월간 보관후에 먹는다.
◁ 구기자를 솥에 넣고 넉넉히 물을 부어 뭉근한 불에 오래동안 졸이면 엿기름처럼 되는데 푹 고아서 그릇에 담아놓고 아무 술이나 타서 먹어도 좋다.
마시는 법
◁ 하루 1 - 2잔씩 매일 마시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스트레이트로 마셔도 좋지만 다른 과실주와 칵테일하면 마시기에 부담없어서 매우 좋다.
효 과
◁ 예로부터 불로장생의 묘약으로 불리워져 왔으며 강장, 강정, 건위에 효과가 있고 늙어서도 언제까지나 젊은 몸을 유지할 수 있다고 불리워지는 술이다.과다한 성관계로 허리부터 하체까지 아픈증세에 좋으며 허약체질개선, 현기증 등에도 좋다.
 
국 화 주( 菊 花 酒 )
특 성
◁ 국화의 원종에 대해서는 여러설이 있어서 정확하지는 않지만 우리나라에는 오랜 옛날 중국에서 들어온 것만은 사실이다.
◁ 관상용의 국화라도 백색, 황색 같은 담색계의 국화는 이용할 수 있으나 농색계(濃色系)의 국화는 떫은맛과 쓴맛이 강하기 때문에 쓸수가 없다.
이용부위
◁ 국화의 꽃이나 잎
담그는 방법
◁ 국화는 황색, 백색의 담색종을 쓰고 작은꽃은 송이째 큰것은 꽃잎을 따서 가아제 주머니에 넣도록 한다. 꽃을 씻으면 수분이 들어가 곰팡이가 생기므로 젖은 천으로 가볍게 먼지를 딱아낸후 용기에 넣고 재료의 2 - 3배가량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2개월 정도 보관한다. 2개월후 국화꽃은 꺼낸후 다시 밀봉하여 1 - 2개월 동안 숙성시킨후 음용한다.
마시는 법
◁ 탐스러운 황금색으로 은은한 국화의 향기가 나는 술이된다. 쓴맛이 있기 때문에 마시기가 어려울때는 물을 타고 꿀을 가미토록 한다. 연한 과실주와의 칵테일도 좋다.
1일 작은잔에 1 - 2잔이 알맞다.
효 과
◁ 국화주는 옛부터 강장주로서 중히 이용되어 왔다. 고혈압증에도 좋고 숙취로 머리가 무거울때 효과가 있다.
 
궁 궁 주( 芎 窮 酒 ), 천 궁 주
특 성
◁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초로 전국 각지에서 재배하고 있으며 근경은 특유의 방향이 있고 알코올, 페롤, 에스텔, 휘발성유 등의 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 뿌리는 순혈, 청혈, 강장, 진정과 두통, 월경불순, 산전산후, 어혈, 토혈, 소변출혈, 반신불수, 배농시 진통 작용도 하며 통경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가을에 채취한 뿌리를 사용한다.
담그는 법
◁ 채집한 천궁뿌리를 깨끗이 씻어 껍질을 갉아 버린다음 끓는 물에 담가 하룻밤 지난후에 건져 물기가 빠지면 하룻밤 술에 담갔다 다시 건져 시루에 푹 찐다.
이것을 말려서 적당하게 썰은 다음 탁주를 빚을때 술밥에 썩어 발효시키는 방법이 있다고 한다. 술밥 한말에 천궁 찐것 한근 정도를 넣어서 발효시킨다.
효 과
◁ 두통으로 인한 일체의 병에 아주 효과가 좋다고 한다. 고혈압, 저혈압을 조정하며 심장병, 현기증 특히 머리속이 텅 비어 흔들거리며 아픈 증세에 조금씩 마시면 통증이 없어지고 개운하다.
 
[ 香肉酒(향육주)~개소주 "만병회춘"]
배합방법: 향육(개고기)~한마리, 행인(살구씨)~1근, 소주~7되
제조방법: 먼저 1년생 황구(黃拘) 즉 누런 개 한 마리를 잡아 내장을 제거하고 고기를 잘 게 썰고, 뼈는 부수어, 속껍질을 벗긴 살구씨를 찧어서 소주 4되를 붓고 고기가 흐물흐물 하도록 중탕으로 고은 후 고기가 고약처럼되면 나머지 소주 3되를 녛어 항아리에 담고 밀봉한뒤 30여일을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식후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 40~50cc씩 복용한다.
효능: 양기가 부족하고 기혈이 허한데 또 수족이 냉하고 기운이 없는데 또 위장이 냉하고 아프며 소화에 이상이 있을 때 효험이 있다.
더위가 심한 삼복(三伏)에 마시면 더욱 좋으며 유익하다. 검은염소고기, 새끼돼지고기, 양고기, 사슴고기, 자라고기, 거북이고기도 위와 같은 요렁으로 술을 담근다.
 
[ 黃拘肉酒(황구육주)~개술 "민간경험방"]
배합방법: 황구(黃拘)~1마리, 찹쌀, 누룩~적당량
제조방법: 누런 개 한 마리를 내장을 제거하고 아주 흐물흐물하게 삶아 뼈를 빼고 살만을 잘 찧어서 놓는다. 그리고 삶은 개고기의 2~3배의 찹쌀로 되게 밥을 지어 누룩을 섞어 혼합한 후에 개고기를 섞어서 개고기 삶은 국물을 약간 덥게하여 술을 빚어 숙성 발효시킨다. 위에 누런 물이 떠오르면 술이 된 것이다.
용법과 용량: 하루 세번 식전 식후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 한 두잔씩 복용한다.
효능: 양기부족과 조루증, 생식기 발기불능 및 허약체질에 효험이 있다.
 
[ 黃拘鞭酒(황구편주)~개신술 "민간경험방"]
배합방법:黃拘鞭(황구편~누런 숫 개의 생식기)~1구,
              黃拘腎(황구신~누런 숫 개의 신장)~1벌, 소주~5되
제조방법: 먼저 누런 숫개의 생식시와 신장 한벌을 잘 게 썰어서 소주 2되을 붓고 아주 걸죽하게 되도록 중탕을 한 뒤에 항아리에 담고 다시 소주 3되를 부어 밀봉한 다음 30일간을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식후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 30~50cc씩 복용한다.
효능: 양기가 부족한데, 기혈이 허약한데 그리고 여자의 불감증과 허리, 다리가 저리고 아픈데 아주 좋은 약주이다.
참고: 해구편(海拘鞭)은 더욱 효력이 있으며, 녹편(鹿鞭), 우편(牛鞭), 양편(羊鞭),
      저편(猪鞭)도 위와 같은 방법으로 약주를 만든다. 鞭(편)은 짐승의 생식기를 말한다.
 
난 총 주(부추, 정구지)
특 성
◁ 백합과의 다년생 풀로서 솔, 부추, 정구지라 부르며 강렬한 냄새와 매운맛을 지닌다.
단백질, 배당체, 지방, 회분, 비타민C 등이 포함되어 있다.
◁ 양기가 부족하여 발기가 잘 안되고 하복부가 차며 한냉한 증상을 느낄때, 허리와 무릎이 찰때, 이뇨, 건위제, 불감, 조루증에 사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씨앗을 포함한 풀 전체를 여름에 채취하여 사용한다.
담그는 법
◁ 밭에 재배하는 부추 또는 야생부추를 여름에 채취하여 풀 전체를 쓴다.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 뒤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흑설탕이나 꿀을 넣는데 비율은 술 한 되에 흑설탕 200g 정도이며, 술은 재료의 2 - 3배 가량 붓는다.
이 세가지를 함께 넣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하는데 2 -3개월이면 술이 완전히
익는다. 매일 세차례 한 잔씩 마시면 아주 좋은 약주가 된다.
효 과
◁ 성기능을 흥분시키는 강정제로서 조루증, 성기능 장애 에 아주 좋고 설사를 멎게하여 소변을 조절해 주고 여성의 질병에도 좋다고 한다.
즉 여성이 심장이 약하거나 원인도 없이 가슴이 두근 거리거나 잘 놀라는 증세라든가, 잠을 이루지 못하여 화를 잘 낼때 이 난총주를 먹으면 신기하게 좋아 진다고 한다. 부추는 구하기 쉬우므로 술을 담는데 어려움이 없다. 아주 좋은 건강주가 될 것이니 각 가정마다 만들어 놓고 먹도록 하자.
『본초강목』 에 구기자는 맛이 산하니 간병에 마땅히 먹으면 심신의 기능을 크게 돕는다고 기록되어 있다.
 
[ 鹿茸酒(녹용주)~녹용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녹용~300g, 소주~2되
제조방법: 중상(中上)의 녹용을 얇게 편으로 썰어서 소주에 담근후 밀봉하여 100일 이상을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식후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 30~50cc씩 복용한다.
효능: 기혈(氣血)이 쇠약한 것을 보해주며, 양기부족, 조루증, 여자의 불감증과 대하증을 없애주고, 소변이 잦은 것과 허리 및 다리가 아프고 저린 것을 다스린다.

 

[ 當歸 酒(당귀주)~당귀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당귀~반근, 설탕이나 또는 꿀~1근, 소주 2되
제조방법: 당귀를 잘게 썰어 설탕이나 또는 꿀, 술과 같이 항아리에 녛고 밀봉하여 50여일 이상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번 식전 식후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 40~50cc씩 복용한다.
효능: 월경을 순통시키고, 월경통을 없애주며, 보혈하고 활혈하기 때문에 여자들에게 특효하며 장복하면 좋다. 또 각종 신경통을 다스려주고 신기를 보해준다.
 
달 래 술
특 성
◁ 새봄을 느끼게 하는 식물로 백합과의 다년생초로 된장찌개를 끓일때 사용되지만 약으로도 효력을 나타낸다.
◁ 온화한 성질로 혈관 확장 작용을 일으키고 혈액순환을 촉진한다. 복부가 차고, 식욕이 떨어지며,설사를 일으키는 사람에게 좋다. 살균력이 강하여 복무팽만, 눈이 충혈 되었거나, 구내염, 치통, 후질환환자, 토사곽란, 뱀에 물렸을때 약용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달래의 덩이 뿌리
담그는 방법
◁ 봄 또는 가을에 달래를 채취하여 잔털을 손질하여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를 완전히 제거한다. 독이나 항아리에 재료를 넣고 재료의 2 - 3배 가량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한다.
지하실이나 냉암소에서 6개월이상 보관한다.
마시는 방법
◁ 투명하고 마늘 향기가 나는 약술이 된다.
1일 1 - 2회 식사전에 적은 소주잔으로 한 잔씩 마신다.
효 과
◁ 건위, 복부팽만, 소화가 잘 안되는데, 식욕이 없고, 설사 나는데, 피로회복, 정력증진 등에 유효한 약술이 된다.
 
땅 두 릅 술(독 활『獨活』주)
특 성
◁ 땅두릅은 오갈피나무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서, 줄기는 굵고 털이있다. 잎자루가 길며 깃털모양의 복엽으로 되어있다. 여름에 엷은 녹색의 작은 꽃이 줄기의 끝쪽으로 무리를 이루면서 피고, 검게 익으면 구형의 과실이 된다. 어린줄기와 잎은 야채로 사용되고 있으며 맛은 쓰고 매운기가 있으나 향기가 있다.
◁ 뿌리는 독활이라 하여 가을에 채취하며 두통, 전신통, 하지신경통, 진통, 피부염, 치통, 관절염, 중풍등 소염약으로 사용한다.
◁ 『동의보감』에는 모든 적풍(賊風)과 백절의 통풍(痛風)에 신구를 묻지 않고 다스리니 중풍의 실음(失音)과 와사 및 온몸의 마비와 근골의 종통을 다스린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용부위
◁ 어린싹, 체 피지않은 어린잎, 꽃봉오리, 열매, 뿌리
담그는 법
◁ 가을에 야생 뿌리를 채취, 잘 씻어 말린후 1Cm 두께로 썰어 그늘에 말린다.
어린싹, 꽃봉오리, 열매는 깨끗히 씻고 그늘에서 말려 2 - 3Cm 정도 자른다.
말린 재료를 용기에 넣고 2 - 4배의 소주를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서 6개월 이상 1년정도 숙성 시킨다. 3개월이 지나면 뿌리등은 건져내고 이때부터 음용도 가능하다.
◁ 익은 재료를 건져내어 설탕을 발라 그늘에 말리면 맛있는 과자가 된다.
재료가 마르면 다시 설탕을 발라 말린다.
마시는 방법
◁ 담황색의 술로 특유한 향기가 있다.
스트레이트 또는 칵테일로 하여 1회 20㎖ 1일 1 - 2회 식사 사이에 복용한다.
효 과
◁ 독활에는 지텔펜, 알데히드, 아미노산, 탄닌등이 함유되어 있어 예로부터 강장, 진통, 진정에 사용해 왔다. 특히 건위, 정장에 효과가 있다.
 
더 덕 술, 사 삼 주
특 성
◁ 더덕은 깊은 산에서 자라며 잎이나 줄기에 상처를 내면 우유빛 같은 즙이 나오며 냄새가 강하게 난다.
이 뿌리를 식용 및 약용되고 있다.
◁ 더덕에는 사포닌이 함유되어 있어 폐결핵, 해수, 두통, 거담, 흉부신경통, 배농, 소종, 폐열등에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뿌 리
담그는 방법
◁ 가을에 뿌리를 채집하여 깨끗이 씻어 물기가 빠지면 재료를 독이나 항아리에 넣고 재료의 2 - 3배 가량 독한 술을 붓고 지하실이나 냉암소에 보관한다.
3 - 4개월 부터 먹을 수 있으며 시간이 오래 경과 할수록 맛이 순해진다.
◁ 오래된 더덕은 속에 물이 고여 있는데 이물(즙)이 아주좋은 명약이다. 큰 뿌리는 대나무 젓가락으로 몇군데 찔러 두며 공기가 새지 않도록 밀봉하여 보관한다.
마시는 방법
◁ 취침전 작은 잔으로 한 잔쯤 마시는 것이 좋다.
효 과
◁ 거담, 피로회복, 건위정장, 강장, 쾌면, 불면, 불안에 뛰어난 효과가 있으며 남성기능에 자신없는 분도 장복 하면 아내에게 사랑받는 남편이 된다고 하며 남녀 흥분제 역할도 한다고 한다. 또한 열이 많은 사람이 더덕술을 오래 먹으면 열이 풀리면서 정상이 되고 감기환자가 더덕술을 취하도록 마시고 자면 감기가 물러 간다고 한다.
 
도 라 지 술(桔 梗 酒)
특 성
◁ 전국 각지 산야에 자생하는 다년초로 잎과 뿌리는 식용되고 있다.
◁ 줄기에 상처를 내면 흰색즙이 나온다. 이즙은 사포닌으로 인삼과 흡사하여 생약명으로 길경(桔梗)이라 하며 한방에서 기침, 담석, 거담제, 코가 막히는데, 감기, 편도선염, 농증의 약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뿌 리
담그는 방법
◁ 도라지 뿌리는 5 - 6년이상 된것을 채집하여 물에 깨끗이 씻어 사용한다. 단 도라지를 물에 오래 담가 놓으면 약효가 빠져버린다고 하니 재빨리 씻어 물기를 제거하고 적당하게 썰어서 담든가, 통째로 담가도 좋다. 재료의 2 - 3배 분량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하는데 20일 정도면 먹을 수 있으나 2 - 3개월 정도 지나야 술이 완숙된다.
일체의 당분을 넣거나 가미하면 효력이 떨어진다고 하며 건조된 도라지 뿌리를 술에 담가도 효과가 있다
고 한다.
마시는 법
◁ 담황색으로 약간의 쓴맛이 나는 약주가 된다. 스트레이트도 좋고 칵테일로도 이용된다.
효 과
◁ 흰꽃의 도라지 뿌리가 더 높은 약효가 있다고 한다.
폐에 열이 많은 사람은 열을 내리게 하고 기관지,해수, 천식 또는 가래가 목을 막아 갑갑할때도 20일정도만 하루에 세번씩 적당하게 꾸준히 마시면 목이 터지고 가래가 삭어 버린다고 한다.또한 소화가 안되는 사람은 식후에 마시거나 반주로 하면 소화가 잘 되고 대소변이 원활하게 소통된다고 하며 콧물이 많은 감기나 항시 가래를 뱉는 사람들,기침이 심한사람, 입안이 자주허는사람, 양쪽 갈비뼈 밑이 결리는사람, 편도선염이 잘 걸리는사람에게아주 좋은 술이라고 한다.
 
돌 나 물 술 (불갑초술{佛甲草酒})
특 성
◁ 돌나물(돌냉이,불갑초)은 돌나물과의 포복성 다년초로서 줄기가 덩굴 모양으로 뻗어 자라고 마디마디 뿌리가 잘 번식된다. 봄에 꽃이 피기전에 어린줄기를 잘라 무침 또는 물김치를 담아 먹으면 좋다.
◁ 민간요법으로 간염, 간경화, 식욕부진, 타박상 등에 약용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전 초
담그는 방법
◁ 여름, 가을에 걸쳐 채집하며 생것을 술에 담기도 하고 말려서 사용하기도 한다.
깨끗이 씻어 물기가 빠지면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 2 - 3배 가량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지하실이나 냉암소에 저장한후 3 - 4개월후 부터 먹을 수 있다.
효 과
◁ 민간에서는 돌나물을 김치로 담가 먹기도 하나 술에 담가 먹으면 식욕이 증진되고, 해독제 역할을 하며 타박상, 어혈, 담이 결리는데에 좋다. 간질환에는 즙을 내어 먹거나 술에 담가 조금씩 먹기도 한다. 민간요법에는 치암제로도 사용되고 있다
 
동 백 술(冬 栢 酒)
특 성
◁ 동백은 해안지역 산지에 주로 자생하며 열매는 예전에는 동백기름을 짜서 머릿기름과 등잔불 기름으로 사용했으며, 식용으로도 맛이 좋다. 이 동백나무는 가지를 꺾어 냄새를 맡으면 진한 레몬 냄새가 난다.
◁ 동백은 한방에서는 산다화(山茶花)라 하며 경혈, 지혈, 산어, 토혈, 뉵혈, 혈붕, 혈리, 혈림, 타박상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동백꽃
담그는 방법
◁ 동백꽃은 깨끗한 손으로 따고 젖은 천으로 한장한장 정성껏 닦아 내고 꽃잎을 용기에 넣고 독한 소주를 붓는다.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하며 6개월 정도 숙성시킨후 마시는 것이 좋다. 숙성후에도 꽃을 건져 낼 필요가 없다.
마시는 방법
◁ 봄을 알려주는 동백꽃 잎으로 술을 담궈 두면 분위기를 낼때 특히 어울린다. 진한 갈색의 독특한 향기,감칠맛이 일품이다. 용량은 제한이 없으나 지나치지 않도록 마신다.
효 과
◁ 자양, 강장, 미용, 변비, 장출혈 등에 좋은 약주가 된다.
 
마 늘 주, 대 산 주(大蒜酒)
특 성
◁ 마늘의 영양가는 단백질, 당질, 회분, 칼슘, 인, 철,비타민 등이 함유되어 있다.
마늘의 성분은 항균작용을 하는 아리린등 많은 성분이함유되어 있다.
◁ 마늘의 약효는 흥분, 발한, 이뇨, 소화액 분비촉진, 동맥경화, 고혈압증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담그는 방법
◁ 껍질을 벗기고 마늘을 쪽을 낸 다음 물을 한번 뿌려서 물기를 말린다. 일체의 당분을 넣지 않고 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2배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나 땅속깊이 묻어 1년후에 꺼내서 복용한다.
◁ 마늘천일주 만드는법
오골계 또는 토종닭 암수 한마리씩을 준비하여 털과 내장을 제거한뒤 껍질만 벗겨 마늘 한 말과 찹쌀 한말을 같이 섞어 술밥을 찐다음 누룩을 섞어 술을 빚어 담는다.
밀봉하여 땅속에 묻어 3년 (1,000일이 지나서)후에 먹는데 천하 명약주로서 남녀 강정에 최고의 약주이다.
마시는 방법
◁ 오래 숙성하면 냄새가 가셔지고 호박색 빛이 선명하다.
매실주와 칵테일 하면 매우 좋다. 아침, 저녁 한 잔 정도가 적당하다.
효 과
◁ 옛부터 마늘을 백약의 장이라 일컬어지고 있다. 정력증강, 피로회복, 건위, 정장, 정신안정, 여름 더위 타는데, 냉증, 감기의 예방 등에 좋다. 상음하면 최고의 보신,보정주가 된다고 한다.
 
맥 문 동 주( 麥 門 冬 酒 )
여 문 주( 女 門 酒 )
특 성
◁ 백합과의 상록, 다년초로 중부이남의 산지,나무그늘등에 자생한다. 식용으로 요리할때는 주로 가루로 만들어서 쓰며, 비타민 A 를 비롯하여 포도당과 단백질, 전분 등이 함유되어 있어 단맛을 낼 뿐만 아니라 회백색을 띠고 있어 식욕을 느낄 수 있다.
◁ 맥문동은 한방에서 폐열,위장, 거담제, 강정, 심한기침, 갈증, 보음, 보양등 약제로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맥문동의 뿌리중 덩이뿌리
담그는 방법
◁ 여름 또는 가을에 채집한 맥문동 괴근만 잘라낸다.
물에 깨끗이 씻어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담기도 하고 반건조시켜서 담기도 한다. 술의 효능은 반건조 한것이 더욱 좋으며, 그늘에서 5 - 6일간 말리면 된다.항아리나 독에 재료를 담고 재료 2 -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지하실 이나 냉암소에 보관하는데 3 - 4개월 정도면 술이 완숙된다.
마시는 방법
◁ 약간의 쓴맛이 있으나 비교적 마시기는 수월하다.
물을 타서 마시거나 스트레이트로 마시며 기호에 따라 감미하여 마셔도 좋다.
1일 작은 잔으로 1 - 2잔씩 아침, 저녁으로 공복에 마신다.
효 과
◁ 원래 맥문동은 기운이 허약한 체질이나 위장이 냉한 사람은 좋지 않다고 하는데 술에 담가 먹으면 이상이 없다고 한다. 폐가 맑아지고 양기가 되살아나므로 폐에 열이 많고 가래가 많아 기침이 심하거나 입안이 잘 마르고 목이 말라 갈증이 나는 사람등이 맥문동을 이용해서 술을 담가 먹으면 치유가 된다고 한다. 문헌에 맥문동은 폐를 보하고 심장을 맑게하여 강정하게 한다고 나와 있다.
◁ 맥문동 술을 정성껏 만들어 놓고 장기간 먹으면 양기는 물론이요, 피부가 좋아지고 모발이 생겨나며 낙발이 되지 않으며, 젊어지는 불로 강정주가 틀림없다고한다.
주름살이 펴지고 피부미용에 좋다고 하니 여성이 먹으면 더욱 좋은 약주다.
 
머 위 주
특 성
◁ 머위는 국화과 다년생 풀로서 제주도와 울릉도 그리고 남부지방의 습지에 자생한다.
『머우』라고도 하며 굵은 잎자루를 나물로 먹는 향기롭고 독특한 맛이나는 나물이다.
◁ 머위잎에는 비타민 A 를 비롯해서 비타민 성분이 고루 함유되어 있으며 칼슘 성분이 많은 알카리성 식품이다.
◁ 머위의 꽃봉오리는 건위, 진해, 해열의 효과와 식욕을 증진하는 약이 되기도 하고 새순은 기침, 담, 기관지 천식 치료와 차로 만들어 이용하기도 한다.
이용부위
◁ 머위의 꽃봉오리와 줄기
담그는 방법
◁ 암수 딴그루의 다년생 초본으로 꽃이 떨어져야 잎이 나온다. 4월 초순에 꽃봉오리를 채취하여 물에 깨끗이 씻고 그늘에서 물기를 말린다.
줄기와 잎은 3 - 5 Cm 길이로 잘라 꽃줄기는 가볍게 씻어서 물기를 뺀 다음 머위의 줄기와 같이 항아리에 넣어 2 - 3배의 소주를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하였다가 꽃줄기는 15일, 줄기는 1개월이 지나면 건져내고 술은 다른병에 넣어서 1개월간 숙성후 먹는다.
마시는 방법
◁ 특유의 향기와 약간 쓴듯한 풍미를 지닌 술이 된다.
약술로서 스트레이트도 좋지만 과실주와 칵테일이 더좋다. 감미는 취향에 따라 조정한다. 1회 20㎖ 1일 1 - 2회 식사 사이에 마신다.
효 과
◁ 건위,강장,해열, 이뇨, 발한, 기침, 가래에 좋으며 호흡기의 기능을 원활하게 해 준다.
 
미 나 리 술
특 성
◁ 미나리과의 다년생 풀로서 습지에서 자생하며 휘발성의 독특한 향유가 함유되어 있어 나물로 먹으며 매운탕에는 꼭 들어가야 비린내가 제거되고 맛이 좋다.
◁ 약용으로 서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갑작스럽게 열이 있거나, 열로인한 갈증 및 고혈압에 활용된다.
미나리를 먹으면 정신력이 좋아지고 체력이 상승되며 농약중독, 특히 과음한 후에 알코올을 분해하는 성분이 들어 있기 때문에 좋다.
간장이 나쁜 사람은 즙을 내어 상복하면 좋다.
미나리에는 비타민A 2,100IU 와 비타민 55mg 이 들어있다. (100g중)
담그는 방법
◁ 미나리 잎을 깨끗이 씻고 그늘에서 충분히 말린다.
완전히 건조되면 2 - 3Cm 정도로 자른후 재료의 2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음용은 3주일후 부터 가능하나, 1개월 정도 경과후 잎을 건져내고 여과해서 다른병에 담아서 1 - 2개월 숙성시킨후 마신다.
마시는 방법
◁ 미나리 특유의 향기와 약간의 쓴맛이 있다.
스트레이트, 물타기에 좋으며 칵테일의 기본에 적격이다.
효 과
◁ 몸에 갑작스럽게 열이나거나 감기에 좋으며, 불면 치료와 특히 강정 (强精)작용이 있다고 한다.
 
민 들 레 술, 포공영주(蒲公英酒)
특 성
◁ 국화과의 다년초로 전국의 들이나 길가, 산의 양지바른 곳에 자생한다.
오랜 옛부터 산나물로 이용되어 왔으며 잎은 나물이나 국거리로, 꽃은 튀김이나 조림으로 이용되어 왔다.
◁ 민들레 씨앗을 포공영이라 하며 민들레에는 이술린,파루미진, 세로진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한방에서는 이뇨제, 해열제, 기관지, 해수, 천식, 거담제, 유방염, 결막염등 치료에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씨앗을 포함한 풀전체, 꽃은 3 - 5월 사이, 뿌리는 봄, 여름, 가을에 채취하여 사용한다.
담그는 방법
◁ 꽃으로 담글때는 꽃이 활짝피기전에 따다가 씻어 물기가 빠지면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독한 술을 재료 2 -3배 가량 부은다음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하는 기간은 2개월 정도 걸린다.
◁ 뿌리를 이용해서 담글때는 계절이 필요없다.
언제라도 담글 수 있는데 뿌리를 깨끗이 씻어 물기가 빠지면 적당한 크기로 잘라 담는데 재료 2 - 3배가량 술을 붓고 밀봉하여 3 - 4개월 보관한다.
말려서 사용해도 좋고 생것을 사용해도 좋다. 약효면에는 같다.
마시는 법
◁ 보기좋은 담황색의 술이된다. 쓴맛이 강하기 때문에 물을 타서 조정하도록 한다.
매실주 같은 술에 칵테일해도 좋다.
효 과
◁ 민들레 술은 해열제로 유명하다. 그리고 기관지염,천식, 해수, 가래가 많은 사람이 상음하면 효과를 본다.
 
박 하 술( 薄 荷 酒 )
특 성
◁ 박하는 꿀풀과의 상록, 다년초로서 우리와 아주 친근한 식물이다. 박하의 잎에서 추출되는 독특한 맛과 향기는 박하 사탕, 박하유의 원료로 쓰이고 껌이나 박하담배에도 들어 간다.
◁ 박하에는 멘톨 (휘발유)유가 함유되어 있어 교정약, 구풍약, 청향제, 박하 화장품, 음료 등에 쓰인다. 해열, 건위, 축농증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7 - 8월에 채취한 잎, 줄기
담그는 방법
◁ 7 - 8월경에 채취하여 물에 깨끗이 씻어 음지에서 2 - 3일간 말린후 적당히 썰어서 독이나 항아리에 담는다. 재료의 2 - 3배 가량의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후 2 - 3개월후에 먹는다.
◁ 박하 막걸리술도 있다. 탁주를 빚을때 술밥에 박하를 약간 넣어 담거나 일반 탁주에 담가 먹어도 된다. 술밥 한 말에 박하잎 한줌 정도면 된다. 박하술을 마시면 심한 두통이 삽시간에 없어진다. 참으로 신기한 술이다. 그러나 박하를 넣고 만든 술을많이 먹으면 폐가 상한다고 하니 조금씩 마시는 것이좋겠다.
마시는 방법
◁ 담황색으로 산뜻한 향기와 청량한 맛은 각별하다. 마시기가 좋은 약술이므로 스트레이트 또는 다른 약술의 향료용으로서 칵테일 해도 좋다. 1일 작은 잔에 1 - 2 잔이 적량이다.
효 과
◁ 진정, 진통의 작용이 있으며 정신안정, 건위, 정장에도 효과가 있다. 또한 심한 피로가 없어지고 몸이 가볍고 마음과 정신이 상쾌해지며 소화가 아주 잘 된다고 한다. 또한 코감기, 재채기감기, 기관지, 해수, 천식 등으로 가래가 많은 사람, 열이 심한 사람에게 좋은 술이 된다.

 

[ 覆盆子酒(복분자주)~산딸기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복분자(산딸기)~2근 설탕 또는 꿀~1근반 소주 2되
제조방법: 산딸기는 꼭지를 떼고 물기를 없앤 후 약간 이겨서 꿀이나 설탕과 섞어서 항아리에 넣고 소주를 부어 밀봉한 다음 30일 이상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매일 수시로 20~50cc씩 복용한다.
효능: 양기를 보하여 주는데 더욱 좋으며, 식욕을 돋구어주고 소화를 돕는다.
 
백 합 주(참나리술,말나리술)
특 성
◁ 참나리, 말나리는 백합과의 여러해살이 풀로서 인경은 구형이고 7 - 8월에 꽃이 피며 인경을 말린것을 백합또는 권단이라 한다.
참나리는 울릉도 해변 절벽에 많이 자생하고 있으며, 말나리는 울릉도 특종 식물로서 전역에 자생하며 옛날에는 흉년에 구황식량으로 삶아서 간식용으로 이용 되었다.
◁ 한방에서는 해수, 천식, 종기, 혈담등에 사용하며 민간에서는 자양, 강장, 진해 약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꽃, 열매, 뿌리등 전초 전체를 이용한다. 꽃은 개화기, 뿌리는 가을에 채취한다.
담그는 방법
◁ 꽃은 7 - 8월에 채집하여 물에 살짝 씻어 물기를 뺀 다음 술에 담궈 먹는다.
재료를 물에 씻어 그늘에서 말린후 적당하게 썰어 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재료의 2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꽃잎으로 담글때는 2 - 3개월, 뿌리를 사용할때는 4 -5개월 정도 보관했다가 마시면 된다.
효 과
◁ 기관지, 해수, 천식에 효과가 있고 뿌리와 줄기등은 자양강장, 조루, 양기부족에 좋다고 한다. 나리술은 옛날부터 민간에서는 많이 이용해 왔는데 정력제로 좋다하여 가정마다 담궈 먹었을 정도로 알려져 있다.

 

[茯笭酒(백복령주)~백복령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백복령~3근, 꿀~3근, 소주~5되
제조방법: 먼저 백복령을 꿀에 재어서 항아리에 술을 부은 후 밀봉하여 50여일을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또는 씩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 40~50cc씩 복용한다.
효능: 신장을 튼튼하게 하고, 정력을 강화하며, 심신을 안정시키고, 풍병을 엾애주며, 아울러 조루증과 여자의 냉대하에 좋다. 그리고 심신을 안정시키고, 담을 없애준다.

 

[ 蛇酒(사주)~뱀술 "만병회춘"]
배합방법: 백화사(白花蛇)나 또는 오사(烏蛇)~한 마리, 소주~한되병
제조방법: 산 뱀 한자정도가 되는 것 한 마리를 소주가 담긴 항아리에 녛고 밀봉하여 2~3개월간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매일 세차례 식전 또는 씩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 40~50cc씩 복용한다.
효능: 습기가 차거나, 날이 궂거나, 비가 오거나, 밞이 불면 아픈 풍습성 신경통과 반신불수, 수족마비, 구안와사와 피부병을 다스린다. 또 양기를 보해준다. 이 술에 당감초(唐甘草) 10g을 넣으면 더 좋다.

 

[ 山藥酒(산약주)~참마의 뿌리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산약(참마)~반근, 설탕이나 또는 꿀, 소주~2되
제조방법: 생산약을 말린 것을 잘 게 썰어, 설탕이나 꿀에 재어서 항아리에 넣고 술을 부어 밀봉한 후에 30여일 이상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또는 식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40~50cc씩 복용한다.
효능: 설탕을 넣지 않고 꿀에 넣으면 당뇨병에 최고 약주이다. 또 기력을 보하고, 피를 생기게 하며, 체력을 증강시키고, 위장을 튼튼하게 하며, 조루증과 유정에 좋고 여자의 대하증에도 효험이 있다.

 

산 수 유 주( 山 茱 萸 酒 )
특 성
◁ 산수유나무는 낙엽, 교목으로 봄을 알리는 봄꽃중에 빼 놓을 수 없다.
잎이 나오기전 노란 꽃망울을 떠뜨리면서 핀다.
◁ 비타민C, 칼슘, 수산, 판토스, 구연산, 크버드, 단백질, 지방 등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불량, 체증, 요통등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 산수유의 신맛은 근육의 수축력을 높여주고 방광의 조절, 아뇨증을 다스리며 오래 복용하면 과다한 정력소모로 인하여 허리가 아프다거나 근육에 무력감이있는 사람과 조루, 발기부진 등에 효험이 있다.
이용부위
◁ 열 매
담그는 방법
◁ 산수유 열매가 채 익기전에 채집하여 깨끗이 씻어 물기가 빠지면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 2 - 3배가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후 3 - 4개월 지나서 먹는다.
◁ 빨갛게 익은 산수유 열매를 구하여 물에 깨끗이 씻은 다음 물기가 빠지면 꿀이나 설탕에 재어 열흘정도 두었다가 술을 붓고 밀봉하여 3 - 4개월 보관후에 마신다.
◁ 산수유를 깨끗이 씻어 약한불에 뭉근하게 끓여 고약처럼 만들어 여기에 술을 타 먹든가 이것으로 탁주를 담가 먹기도 한다.
마시는 법
◁ 단맛,신맛,떫은맛이 잘 조화된 미색의 좋은 술이된다.
술맛이 좋기 때문에 스트레이트로 마시며 하루에 한두잔 마신다.
효 과
◁ 예로부터 자양, 강장약으로 쓰여져 왔으며 강정, 강장, 요통이 심할때, 소변이 자주보고 싶을때, 땀을 흘리거나 현기증에 좋으며 야뇨증에도 효과가 좋다고 한다.

 

[ 山査肉酒(산사육주)~산사육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산사육~반근, 설탕이나 또는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씨를 뺀 산사육을 설탕이나 꿀에 재어서 항아리에 넣고 술을 부어 밀봉하여 50여일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또는 식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30~50cc씩 복용한다.
효능: 고혈압에 특효하며,식욕을 촉진시키고 소화를 도우며, 음식을 자주 토하는 것을 멎게 하고, 쇠고기 종류등의 소화에 아주 효험이 크다.

 

[ 白朮,酒(백출주)~삽주뿌리술 "동의보감" ]
배합방법: 백출~반근,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삽주뿌리 즉 백출을 잘게 썰어서 꿀에 재어 항아리에 담고 술을 부어서 밀봉하며 40여일 이상 저장한다. 오래 저장할 수록 좋은데 6개월 이상이면 더욱 좋은 약주가 된다.
용법과 용량:하루 세 번 식전 또는 식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 50~60cc씩 복용한다.
효능: 비위를 튼튼하게 하여 주며, 소화흡수가 잘되게 하고, 신을 보하여 기운이 없고
눈 앞에 나타나는 증세와 오줌 누기가 힘든 것을  다스리고, 어지럽고 정액이 절로 흐르는 (유정)도 다스리며, 모든 풍습성 신경통에 특효하다. "산사육주"와 섞어
복용하면 위장에 아주 좋은 약주가 된다.

 

[ 生地黃酒(생지황주)~생지황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생지황~100g, 설탕이나 또는 꿀~1근반, 소주~2되
제조방법: 생지황을 짓 이겨서 설탕이나 또는 꿀에 재어서 항아리에 넣고 술을 부어서 밀봉하여 30여일간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또는 식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20~50cc씩 복용한다.
효능: 몸의 모든 열을 없애주고 , 보혈작용을 하며, 어혈을 풀어주어 혈액 순환을 원활하게 하고, 여성의 월경을 잘 통하게 하며, 지혈작용이 있어, 자궁출혈을 멎게 한다.
 
석 남 주(石南酒,만병초술)
특 성
◁ 철쭉과의 상록, 활엽, 관목으로 남부지방의 높은 산에서 자생하며 꽃은 백색 또는 담황색으로 7월에 피고,과실은 삭과로서 9월에 성숙한다.
◁ 만병초의 말린 잎을 석남엽이라하여 한방에서는 내상음위(內像陰 )를 고친다고 하며 강장과 최음의 효과가 있고 신장병, 이뇨제, 강력한 강정의 효과, 발기불능 치료, 흥분제 등에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가을에 잎을 채취하여 사용한다.
담그는 방법
◁ 9 - 10월에 만병초 잎을 채집하여깨끗이 씻어 그늘에서 말린뒤 적당히 썰어 독이나 항아리에 담는다. 잎에는 유독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호흡중추를 마비시키는 독성이 있으므로 소주 1되에 20개 정도 잎을 사용하며 3 - 4개월 정도 지나서 먹는다.
마시는 법
◁ 석남주는 취하게 먹으면 오히려 해롭다고 한다.
너무나 강한 흥분작용으로 남성기능이 마비될 수 있다고 하므로 하루 세번 한번에 소주잔으로 한 잔씩 먹는데 1개월 정도만 꾸준히 마시면 반드시 효험이 있다고 한다.
효 과
◁ 양기부족으로 허리가 아프고 엉치가 땅기고 아픈데 아주 신효하며 부부 모두에게 강정의 효과가 크다. 남성기능이 약하고 소변에 힘이 없으며 밤일에 자신이 없는 분은 이 석남주야말로 천하 제일의 선물이 아닐까 생각한다.
 
쇠 띄 기 술
특 성
◁ 쇠띄기는 속새과의 다년초로서 전국 각지의 들과 산에서 자생하고 있다.
쇠띄기는 인체에는 독성을 보이지 않는 식물이며, 단지말에는 유독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규산염, 유기산, 규소가 많이 함유되어 있어 이뇨제, 방광염, 고혈압, 요도염, 신장염 등에 이용되고 있으나 배가 차거나 설사가 잦은 사람은 복용를 피하는 것이 좋다.
이용부위
◁ 봄, 가을에 풀전체를 채취한다.
담그는 방법
◁ 쇠뜨기풀을 채집하여 그늘에서 말린뒤 물에 씻어 물기가 빠지면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의 2 -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서 3 - 4개월 보관한 후에 먹는다.
마시는 방법
◁ 하루에 아침,저녁에 맥주잔으로 한 잔씩 마신다.
효 과
◁ 소변이 잘 통하고 방광염, 요도염, 신장염 둥에 좋다고 하며, 특히 혈액순환을 도와 고혈압을 치료할 수 있다고 한다. 어린줄기는 식용으로 할 수 있고 달여서 마실수도 있는데 이뇨제나 혈압약으로 사용할 수 있다.
 
송 엽 주(松 葉 酒 ), 솔 방 울 술
담그는 방법
◁ 어린 솔잎을 따다가 끓는 물에 약 2분정도 넣어 살짝데쳐 낸 다음 솔잎을 건져내어 그늘에 말린다.
이것을 독한 술을 붓고 담그는데 이때 당분을 가하면 두통이 생긴다고 한다. 술은 솔잎의 2 -3배 되게 붓고 6개월간 보관한후에 마신다.
효 과
◁ 고혈압, 중풍, 각종 전염병 예방에 좋다.
솔 방 울 술
담그는 방법
◁ 7 - 8월경 솔방울이 밤톨정도 되었을때 따다가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뒤 재료 2 - 3배 분량의 술을 붓고 밀봉하여 2 - 3개월후에 먹는다.
이 술을 담글때 설탕을 넣으면 발효가스가 생겨 그릇이나 용기가 터져버리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설탕을 넣으려면 술을 붓지 말고 뚜껑도 봉하지 않은채 약 20일 정도 두었다가 술을 붓고 저장 하면 된다
효 과
◁ 소화불량, 수족에 힘이 없을때, 각기병에 좋다.

 

[ 松針酒(송침주)~솔잎술 "만병회춘"]
배합방법: 솔잎~1근, 설탕이나 또는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봄에 새로 돋은 깨끗하고 신선한 솔잎을 잘게 썰어서, 설탕이나 꿀에 섞어서 항아리에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40여일을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또는 식후에 데워서 매번40~60cc씩 복용한다.
효능: 옛날에는 불로장생주라 하였다. 허리와 사지가 저리고 아픈 것을 치료해 주며 대소변을 이롭게 하고, 고혈압에도 특효하다.
그리고 신장을 튼튼하게 해주고 양기를 보해준다.

 

[ 宋荀酒(송순주)~소나무 새순술 "민간처방"]
배합방법: 송순~1근, 설탕이나 또는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4~5월경에 소나무 가지 끝에 돋아난 10~15cm 길이의 송순 즉 소나무 새순을 따서 유지에 꾸덕 꾸덕 말린 다음 꿀이나 또는 설탕에 재어서 항아리에 넣고 소주를 부어 100일 정도 밀봉한 다음 복용한다.
용법과 용량: 하루에 세번 식전 또는 식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번50cc씩 복용한다.
효능: 동맥경화증, 고혈압 및 각종 신경통에 특효하며, 당뇨병에도 좋은데 당뇨병에는 설탕을 넣지 않는다.

 

[ 松珥酒(송이주)~송이버섯술 "경험방"]
배합방법: 송이~반근, 설탕이나 또는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송이버섯을 깨끗이 씻어 물기를 없앤 후에 썰어서 설탕이나 꿀에 재어 항아리에 넣고 소주를 부어 60일 이상 밀봉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하루에 세번 식전 또는 식후에 따끈하게 데워서 매회40~50cc씩 복용한다.
효능: 항암작용이 있으며 식욕증진, 피로회복에 특효하다.
 
쑥 술 (艾葉酒)
특 성
◁ 쑥 (애엽) 은 국화과의 다년초로서 전국 각지에 자생하며 쑥국, 쑥떡등 식용과 길초(吉草)로서 각종 액운을 없애주는 것으로 생각되어 왔다.
◁ 쑥에는 지네올, 세스키테펜, 알코올,아테닌, 골린등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부인병 일체, 지혈의 선약, 위장병 일체, 해수, 천식, 기관지염 등의 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잎, 줄기
담그는 방법
◁ 채취한 쑥 전체를 물에 담근체 씻어낸후 물기를 조심스럽게 뿌리면서 제거한다.
1 - 2일간 햇볕에 말린다음 3 - 5Cm 길이로 잘라서 가제주머니에 넣는다. 이때 깨끗한 조약돌도 몇개 집어 넣는다. 주머니를 병이나 항아리에 넣고 독한 술을 부어 밀봉하며 숙성은 2개월 지나서인데 이때를 한도로 해서 주머니를 건져내어 가볍게 짠다.
마시는 방법
◁ 엷은 녹색을 띤 황갈색이고 독특한 향기와 약간의 쓴맛이 나는 술이 된다.
효 과
◁ 쑥은 신이 여성에게준 최고의 영약이라고 할 만큼 여성질환에 효력이 많다. 매일 장복하면 잡병이 침범하지 않으며, 밤눈이 어두운 사람에게 좋다고 한다.
강장, 정장, 진정, 이뇨 등에 유효하며 응급시의 소염,지혈 등에도 특효하다.
 
십 약 주 (十藥酒), 어 성 초 술
특 성
◁ 삼백초과에 속하며 어성초, 약모밀이라 부르며 고약한 생선 냄새 때문에 잘 알려져 있다. 또 열가지의 약효를 지니고 있다하여 십약초라 부르기도 한다. 삼백초와 어성초는 다른 식물이다.
◁ 어성초는 향균작용이 강하여 폐렴,폐농양, 만성기관지염, 자궁경염, 이뇨, 화농, 종양, 창상, 요도염, 고혈압, 축농증, 습진, 임질매독, 신장염, 늑막염, 기관지염에 이용되고 있다. 근래에는 암치료에 효과가 있다는 발표가 있으며 성인병 예방, 피부미용등 다양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전초, 뿌리담그는 방법
어 성 초 술
◁ 날것일때는 냄새가 고약하여 그대로 술을 담가 먹으면 냄새가 역겨워 다시 마시고 싶은 생각이 없다. 따라서 개화기에 어성초를 채집하여 그늘에 말려 사용하면 냄새가 없어진다. 말린 어성초를 적당히 썰어 독이나 항아리에 가제주머니에 넣어 재료의 2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2 - 3개월 두었다 마신다.
어 성 초 뿌 리 술
◁ 어성초 뿌리는 가을에 채취하여 깨끗이 씻은후 알맞게 잘라서 용기에 넣고 독한 술을 3 - 4배정도 붓고 밀봉하여 1개월가량 두었다가 재료는 제거하고 다시 1개월 정도 숙성 시킨다.
어 성 초 발 효 주
◁ 전초를 채집, 깨끗이 씻은후 길이 2 - 3Cm 로 자른다.이것을 녹즙기에 넣어 주스로 만들어 주스 5컵에 꿀 1컵의 비율로 섞어 항아리에 담아 냉암소에 두면 몇일후 액체는 발효하여 다갈색이 되고 침전물이 생긴다. 2개월후에 먹을 수 있다.
마시는 방법
◁ 1회에 소주잔 1 - 2잔정도 마신다. 이때 냄새는 없다.
효 과
◁ 어성초술은 상처부위에 발라도 좋고 강력한 항균력과 일체의 병독을 몰아내는 약효가 있다. 항균, 이뇨, 항병독, 지혈, 진통, 조직재생, 혈관확장, 무좀, 중풍, 고혈압, 강정 등에 유효하다.
 
엉 겅 퀴 술(야홍화주{野紅花})
특 성
◁ 국화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서 6 - 8월에 자색꽃을 피우며 어린순은 튀김, 무침, 국거리, 찌개거리등 나물로 이용되고, 뿌리는 약용외에 삶아서 떫은맛을 빼고 구이, 볶음으로 사용되고 있다.
◁ 뿌리를 한방에서 대계(大 )라 하여 지혈, 코피나는데 경혈, 소종, 외상, 토혈, 어혈, 생리불순, 항문출혈, 치질등 경혈소종 요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 『동의보감』에는 어혈과 코피날때, 옹종(癰腫),과 옴(疥癬), 여자의 백다하증을 다스리고, 양정(養精)보혈한다 라고 기록되어 있다.
이용부위
◁ 꽃봉오리, 뿌리
담그는 방법
◁ 꽃으로 담글때는 활짝 피기전에 꽃송이째 따서 물에 깨끗이 씻어 물기가 빠지면 항아리에 담고 재료의 2 -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부어 밀봉한 다음 지하실이나 냉암소에 2 - 3개월간 보관한후에 먹는다.
◁ 뿌리를 담글경우 가을에 채집하여 깨끗이 씻은후 물기가 빠지면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독이나 항아리에 넣는다. 재료 2 - 3배 가량의 술을 붓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하는데 3 - 4개월 지나야 술이 완숙된다. 꽃송이와 뿌리를 캐어 같이 담그기도 한다.
효 과
◁ 야홍화 술을 담가 먹으면 효과가 있는 것은 피로회복제로 좋고 소화에 도움을 주어 소화촉진제요, 남성의 정력증강은 물론이고 혈액순환을 원활히 해 준다고한다. 여성의 경우 부인병이 물러가고 몸에서 싱그러운 향기가 나며 냉증, 각종 피부병, 타박상, 어혈 등이 치료 된다고 한다.
◁ 야홍화 술을 담글때 당분을 가미하면 색깔은 좋으나, 약효가 감소되고 술이 빨리 변질된다고 한다. 햇빛이나 밝은 광선이 직접 닿지 않게 해야함도 잊지 않도록 한다.

 

인 삼 주( 人 蔘 酒 )
특 성
◁ 오갈피 나무과의 다년초로서 재배되고 있다.
깊은 산속에 야생하는 것을 산삼이라 하고, 재배종은 가삼(家蔘) 이라 한다.
◁ 인삼에는 사포닌, 비타민 A.B.C, 당원질등이 함유되어 있고 한방에서는 뿌리를 강장제의 약재로 매우 중요하게 여긴다. 예로부터 만능의 약으로 알려져 있다.
◁ 인삼은 옛부로 두뇌의 긴장감을 풀어주고 뇌의 활동을 좋게하며 냉증을 풀어 준다고 전해진다. 강정, 강장, 건위정장에도 효험이 있다고 한다.
그러나 고혈압이 있는 사람에게는 이 술이 안좋다고한다.
담그는 방법
◁ 인삼의 뿌리는 수염뿌리까지 깨끗이 씻어 햇빛에 3일정도 말린후 독이나 항아리에 인삼을 넣고 2 -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6개월 정도 보관후에 먹는다.
마시는 법
◁ 보기좋은 엷은 황색의 술이 되지만 특유의 맛이 강하여 마시기가 곤란하다.
하루에 소주잔으로 3잔 정도가 한도이다.
효 과
◁ 피로회복은 물론이고 강정의 효과와 강장, 건위정장에 좋다고 여겨져 왔다. 고혈압이 있는 사람은 이 술을 마시지 않는게 좋다.

 

배합방법: 음양곽(삼지구엽초)~반근 ,설탕 또는 꿀~반근, 소주~ 2되
제조방법: 음양곽(삼지구엽초)을 잘 게 썰어 설탕이나 꿀과 버무려 항아리에 넣고 술을 부은 후 밀봉하여 50여일 이상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매일 하루 세 번 식전 또는 식후에 따뜻하게 데워서 한번에 30~40cc 복용한다. 또 오랫동안 장복하여야 한다.
효능: 정력을 강화하고, 양기를 보해주며, 생식기 발기 불능에 특효하다.
조혈회춘(造血回春)의 작용이 있고, 건망증을 다스리느데 효력이 있다.
 
우 슬 술( 牛 膝 酒 )
특 성
◁ 우슬은 쇠무릎이라고도 한다. 줄기, 가지끝이 가늘고 이삭이 있으며, 꽃은 담록색으로 눈에 띄지않는 곳에 띄엄띄엄 피어 있다. 해가 잘 들지 않는 숲속 등에서 자라고 있다.
◁ 한방에서 줄기의 마디가 빨갛게 부풀어 올라 마치 소의 무릎같이 보이기 때문에 우슬이라 하며 생리불순, 부종, 류마티스, 각기, 관절염, 요통, 신경통, 염증치료등 치료제로 사용되고 어린잎은 튀김, 지짐, 무침등으로 식용할 수 있다.
이용부위
◁ 줄기, 뿌리
담그는 방법
◁ 가을에 채집하여 깨끗이 씻은후 그늘에 말렸다가 잘 게 부순 우슬을 독이나 항아리에 재료의 2 -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10일이 지나면 개봉하여 천 또는 여과지로 거른후 다시 넣고 밀봉하여 시원한 곳에 보관한다. 1 - 2개월후 개봉하면 적갈색의 독특한 맛을 지닌 약술이 된다.
마시는 방법
◁ 아침, 저녁으로 식사전 한 잔씩 마신다.
효 과
◁ 혈액순환을 조절하고 울혈개선, 관절, 요통, 손발저림에 효과적이다. 우슬술은 자궁을 흥분시키고 수축을 강하게 한다. 상반신의 피를 아래쪽으로 유인하고 요퇴부의 동통(疼痛)을 줄인다. 노인의 보약으로 효과적이며, 쇠약해지는 정력을 되살리고, 하반신의 기능을 강화하여 노인성 무력증을 치료한다. 성기능이 쇠퇴한 노인의 요각통, 부인의 무월경, 월경통 등에도 많이 쓰인다. 다리, 허리, 하복부를 충실하게 하고 힘이나게 하므로 나이가 많은 사람에게 가장 적합한 약술이다.
 
원 추 리 술( 물 망 초 주 )
특 성
◁ 원추리는 백합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로서 꽃은 등황색이고 긴타원형이다. 어린순은 볶음, 국거리 등으로 식용되고 꽃은 중국요리의 향료로 쓴다.
뿌리는 이뇨, 술중독, 강장, 지혈, 소염제로 사용된다. 유기산, 비타민 A. B. C 가 많이 함유되어 있다.
이용부위
◁ 풀전체
담그는 방법
◁ 여름이나 초가을에 원추리를 뿌리째 채집하여 깨끗이 씻어 물기를 뺀뒤 적당히 썰어 독이나 항아리에 담는다. 재료 2 -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지하실이나 냉암소에 3 - 4개월 보관한후에 마신다.
효 과
◁ 이 술은 몸속의 결석을 삭힌다고 한다. 특히 신장결석, 방광결석에 원추리술을 장복했더니 결석이 소변과 같이 나오더라고 한다. 소변불리에 아주 효과가 크며 소화제로도 효과가 뛰어나고 황달에는 원추리를 뿌리째 물에 달여 마시면 풀린다고 한다. 원추리 뿌리를 진하게 달여 마시면 어떠한 결석에도 효과가 있으며 술에 담가 먹으면 결석에 걸릴 염려가 없다고 한다.

 

[芝草酒(지초주)~영지버섯술 "경험방"]
배합방법: 지초 즉 영지 1근, 설탕이나 또는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영지버섯을 깨끗이 씻은 물기를 없애고 잘게 썬 다음 설탕이나 또는 꿀에 재어 항아리에 넣고 소주를 부어 밀봉하여 60일정도 지난 다음 복용한다.
용법과 용량:매일 하루 세차례 식전 또는 식후에 따뜻하게 데워서 한번에 50~60cc 복용한다. 또 오랫동안 장복하여야 한다.
효능: 영지는 지초, 불로초(不老草)라고도 하느데 만병통치하는 약초로 불로초라는 이름이 있다. 이 약주는 일반 허약증, 기허증, 혈허증, 불면증, 간염, 고혈압증, 동맥경화증, 만성기관지염, 협심증, 빈혈, 뇌진탕후유증, 갑상선기능항진에 좋다.
영지는 최근에 들어 항암작용이 있다고 밝혀졌다.
 
익 모 초 술( 益 母 草 酒 )
특 성
◁ 익모초는 순형과의 이년초 풀로서 전국 각지의 들판,야산등지에 자생한다.
전초를 익모초, 종자를 충위자라 한다.
◁ 익모초에는 레오누린, 고미질, 지방유등이 함유되어 있고 월경불순, 복통, 산후의 지혈, 수종, 자궁수축등 부인병 일체를 다스린다.
이용부위
◁ 전 초
담그는 방법
◁ 채집한 익모초를 깨끗이 씻어 그늘에서 5 - 7일간 말린다. 반정도 건조되면 적당하게 썰어서 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재료 2 -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 냉암소에 3 - 4개월 저장후에 마신다.
◁ 익모초를 채집하여 가마솥에 넣고 넉넉히 물을 부어 뭉근한 불에 오래도록 달여 고약처럼 만들어 두고 더운물이나 술에 타서 마셔도 좋다.
효 과
◁ 익모초는 부인에게 제일 좋은 생약이라 한다. 부인의 눈을 맑게하고 정수를 넘치게 하므로 익모라고 하였다고 한다. 여성이 출산후 먹으면 자궁수축에 좋고 분비물도 적당히 조절하는 기능이 있어 월경을 조절해 준다. 여성이 한평생 아프지 않고 남편에게 사랑받고자 하면 익모초 술을 담궈 놓고 매일밤 기분좋게 마신뒤 잠자리에 들면 부인병 일체가 물러가고 남편에게 사랑받게 된다고 한다.
 
인 동 덩 굴 주( 忍 冬 酒 ),
금 은 화 주( 金 銀 花 酒 )
특 성
◁ 인동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서 전국 각지의 산야에 자생한다. 인동은 글자 그대로 춥디추운 겨울을 끈질기게 참고 견디어 나간다는 뜻이 담겨 있다.
◁ 꽃은 처음에는 백색이지만 차차 황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금은화(金銀花)라고도 한다.
과실은 액과로서 까맣게 익는다. 생약의 이름은 건조한 잎을 인동, 꽃은 금은화라 부른다
◁ 정유, 루데오린등이 함유되어 있어 이뇨제, 방광염, 신장병, 각기병, 각종 피부병 등에 약재로 이용되며 인체에 해롭지 않은 강력한 항생재가 함유되어 있다.
이용부위
◁ 잎, 덩굴, 꽃봉오리
꽃은 개화기, 잎은 가을에 채취한다.
담그는 방법
◁ 꽃으로 술을 담글때는 개화기때 따서 물에 깨끗이 씻어 소쿠리 같은 곳에 건져 물기가 빠지면 독이나 항아리에 넣고 독한 술을 재료 2 - 3배 가량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2 - 3개월 이면 술이 완숙된다.
◁ 개화기때 꽃이 붙어 있는 그대로 덩굴째 채집해서 잘게 썰어 그늘에 말린뒤 물에 한번 씻어서 물기가 빠지면 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재료 2 - 3배 분량의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서 3 - 4개월 보관후 먹는다.
마시는 법
◁ 아름다운 담황색으로 달고 신맛이 나는 향기좋은 술이 된다. 감미를 첨가해서 알맞게 마신다.
효 과
◁ 이 술은 부인이 먹으면 혈액순환이 잘 되어 피부가 고와지고 몸에서 은은한 향기가 난다. 냉이 없어지고 신장, 방광 계통의 질환이 치료되며 목욕물에 조금씩 타서 목욕하면 더욱 피부가 고와지고 부인병, 피부병이 없어진다고 한다.
남성이 먹으면 양기가 왕성해지고, 신장, 방광계통의 병이 치료되며 남,여 각기병에 효과가 틀림없다.

 

[ 五味子酒(오미자주)~오미자술 "의학입문"]
배합방법: 오미자~반근 ,설탕 또는 꿀~한근, 소주 ~2되
제조방법: 오미자를 설탕 또는 꿀과 술을 항아리에 넣고 술을 부은 후 밀봉하여 40여일 이상 저장한후 복용한다.
용법과 용량:매일 하루 세 차례 식전 또는 식후에 따뜻하게 데워서 한번에 30~50cc 복용한다.
효능: 몸을 튼튼하게 해주고, 정력을 강하게 해주는 효력이 있어,양기를 보해주며, 생식기 발기 불능, 조루증에 특효하고, 기침과 설사를 멎게하고 담(痰)을 없애주는 효력도 있다.

 

[ 五加皮酒(오가피주)~오갈피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오가피~반근 ,설탕~1근, 소주 ~2되
제조방법: 먼저 오가피를 잘게 썰어 설탕에 재어 항아리에 담고 술을 부어 40여일간 밀봉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모든 신경통과 튿히 사지의 마비증상에 특효하며, 근골을 튼튼하게 하고, 양기와 정력보강에도 크게 효험이 있다.
 
자 귀 나 무 술
특 성
◁ 자귀나무는 콩과에 속하는 낙엽, 활엽, 교목으로 전국 각지의 산기슭 양지쪽에 자생하고 있다.
이 나무의 잎은 밤이되면 서로 붙고 꽃은 화사하게 피어나며 수박 냄새와 향기가 많아 예로부터 부부간에 멀어진 사람들이 이 나무를 심어서 사랑을 끈끈하게 이어갔다는 전설이 있다.
◁ 한방에서 우울증, 불안감, 불면증, 번민 등을 제어할수 없는 갈등이 있는 사람이 복용하면 편안을 되찾게 된다하여 무우환락지제(無憂歡樂之劑)라는 명칭이 있다.
강정제, 이뇨제 등에도 이용되고 있다.
담그는 방법
◁ 꽃은 아름다운 붉은색으로 7월에 핀다. 꽃으로 담글때는 7월에 채집하여 물에 씻어 용기에 담고 재료의 2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3 - 4개월 보관한다.
이 술은 흥분제 역할을 하여 남,여 규방주로서 좋다고 하며 특히 잠을 이루지 못할때 기분좋은 만큼 마시면 불면증이 치료 된다고 한다.
◁ 자귀나무 열매는 콩깍지 같은 모양인 씨앗을 까지말고 10월경에 깍지째 따서 물에 싯은후 물기가 빠지면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 2 -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4 - 5개월이면 술이 완숙된다.
효 과
◁ 오래 먹으면 자양강장의 효과가 크며, 불면증을 다스리고 이뇨의 효과도 좋다.
전신이 쑤시고 아픈 증세에도 좋은데 잠을 이루지 못하는 사람은 잠자기 전에 기분좋은 만큼 마시면 저절로 잠이들며 오래 먹으면 치유 된다고 한다.
 
작 약 주( 芍 藥 酒 )
특 성
◁ 목련과의 낙엽, 활엽, 소교목으로 산야에 자생하나 재배도 하고 있다.
작약은 함박꽃 뿌리를 말한다. 붉은 꽃이 피는 것은 적작약, 흰꽃이 피는것은 백작약으로 한방에서는 효과가 약간 다르다고 한다.
◁ 포도당, 전분, 수지, 안식향산 등이 함유되어 있어 체력보강, 산후병, 사지무력, 피로회복등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뿌리와 꽃으로 뿌리는 가을, 꽃은 활짝 피기전 채취한다.
담그는 방법
◁ 가을에 채집한 뿌리는 썰지 않고 그대로 담거나 돌절구나 나무절구에 짓 찧어 담는것이 좋다.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 2 - 3배 가량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4~5개월 보관한 후에 먹는다. 오래 될수록 더욱 좋다.
마시는 법
◁ 신맛과 쓴맛이 있어서 마시기 곤란하니 다른 약주 또는 감초주와 칵테일해서 마시면 좋다.
효 과
◁ 여성생리통, 설사, 하복통, 속이 더부룩할때 효과가 크다고 한다.
 
죽 순 주( 竹 筍 酒 )
특 성
◁ 대나무는 전국 각지에 자생하며 대나무 뿌리에서 돋아 나는 어린순을 죽순이라 하여 식용하고 있다. 대나무는 신경통 치료, 중풍제거 및 예방, 소변불리 등에 약으로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죽 순
담그는 방법
◁ 대나무 뿌리에서 나오는 새순인 죽순을 채집하여 물에 씻고 겉껍질을 깐 후에 사용한다. 죽순은 독이 없다.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 2 -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지하실이나 냉암소에 1개월 이상 보관한후에 먹을수있으며, 대나무 밭에 깊숙이 파묻어 1년후에 먹으면 더욱 신기한 효력이 있다고 한다. 당분은 일절 넣지 않는다.
마시는 방법
◁ 절대 취하지 않게 하루 세번 식전에 맥주잔으로 한잔씩 먹는다.
3개월 복용하면 신경통이 거짓말 같이 풀린다고 한다.
효 과
◁ 죽순주는 풍습(風濕)을 제거하고 일체의 신경통을 다스리며 혈액순환은 물론이고 중풍, 반신불수, 고혈압 환자를 치료 또는 예방 한다고 하며, 대소변이 불편한 사람에게 아주 좋은 약주가 된다고 한다.
뼈마디가 쑤시고 아픈 관절염 일체에도 효력이 좋다고 한다.

 

지 네 술
특 성
◁ 지네는 전국각지에 서식하는데 특히 돌이 많은 지역에 많다.
동해안 일대에서는 지네를 술에 담갔다가 생강과 함께 달여서 지네는 버리고 물을 마신다.
이렇듯 지방에 따라 이용방법이 서로 다르다.
◁ 지네는 독충이지만 한의학적으로 보면 뛰어난 약효를 지니고 있다고 한다.
독이 있으므로 술에 담가 먹을때는 법제를 해야한다. 살아 있는 지네를 술에다 담는것은 잘못된 방법이다.
담그는 방법
◁ 생강을 얇게 썰어 냄비에 깔아 그위에 지네를 얹어 푹 찌는데 뚜껑을 덮고 생강이 까맣게 탈 때까지 김을 올린다.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냄암소에서 3~4개월 보관한 후 조금씩 마시면 된다.
마시는 방법
◁ 하루에 세번, 한번에 소주잔으로 한 잔씩 상음하면 된다.
효 과
◁ 혈액 순환과 각종해독, 풍독, 열독, 각종 염증에도 좋으며 중풍, 고혈압, 요통, 신경통 등에도 효과가 좋다고 한다. 요통환자가 상음하면 반드시 효력을 본다.또한 독충에 쏘이거나 물려 중독되었을때 한잔 마시면 신기하리 만큼 금새 해독이 된다.
어떤이는 피부암에 지네술을 먹고 고쳤다고 한다.
 
질 경 이 술(女 仙 酒, 뺍쟁이술)
특 성
◁ 질경이과의 다년초로서 전국 각지 들이나 길가에 자생한다.
질경이의 씨앗을 차전차라고 하며 여선주는 질경이 술을 말한다.
◁ 질경이에는 플랜타놀락산, 아테닌, 숄린, 호박산등 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이뇨, 이질, 설사, 심장병, 자양강장제등 약재로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씨와 포기 전초, 가을에 채취하여 사용한다.
담그는 방법
◁ 씨앗으로 담글때는 재료의 2 -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하고 3 - 4개월이 되면 완숙되어 먹을 수 있다.
◁ 질경이 풀 전체를 사용한다. 물에 깨끗이 씻어 소쿠리에 건져두면 물기가 빠진다.
적당하게 썰어서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 2 - 3배의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한다. 2 - 3개월후에 먹을 수 있다.
효 과
◁ 질경이 술은 이뇨, 지사제(止瀉劑)로 좋은데 설사가 심할때 방광의 염증으로 인한 소변불통, 배뇨곤란등 간열, 강풍등에 좋다고 한다. 또 질경이 술은 외상이 있을때 소독용 치료제로 사용했고 차전자로 술을 담아 오줌소태, 소변불리, 방광염에 사용했다.
 
천 문 동 주( 天 門 冬 酒 )
특 성
◁ 천문동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 풀로 넝쿨성 식물이다. 따듯한 지방의 바닷가 풀숲이나 잡목수풀등 모래땅에서 자생한다.
뿌리는 3 - 10Cm 정도로 방추형 감자모양으로 한 포기에 무리로 나고 끝쪽은 가는 털뿌리로 되어 있다.
◁ 뿌리에는 전분, 당분, 아스파라긴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해열, 구갈, 당뇨병, 소변불리, 거담, 반신불수, 폐결핵, 천식, 요통, 강정, 살충 시키는데 유효한 약이다.
이용부위
◁ 뿌 리
담그는 방법
◁ 천문동의 뿌리는 덩어리로 되어 있는데 이 뿌리를 물에 깨끗이 씻어 겉껍질을 갉아 버린뒤 하루밤 미지근한 물에 담궈 놓는다. 건져서 다시 2 - 3일간 그늘에 말렸다가 적당히 썰어서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독한 술을 재료의 2 - 3배 가량 붓는다. 밀봉하여 냉암소나 지하실에 3 - 4개월 보관하며 먹을 수 있다.
1년이상 두면 더욱약효가 좋다고 한다.
마시는 방법
◁ 1일 3회 식전에 마신다, 특히 잠자기전에 마시면 좋다.
효 과
◁ 천문동주는 여러가지 병에 효과가 크다. 단 천문동주는 매일 시간을 정하여 일정량을 부족하지도 넘치지도 않게 변함없이 정성껏 먹어야 한다. 그러면 그것이 무쇠처럼 단단해지고 남자중의 남자가 되며 용기가 솟고 두려움이 없어진다고 한다.
◁ 특히 노인들의 해수, 천식, 기관지염에 효과가 있으며 오래된 변비에도 아주 효과가 뛰어난다. 심한 기관지염으로 가래가 많은 사람이 천문동주를 먹으면 신기하게 가래가 삭아 없어진다. 남녀노소 두루 마실 수 있는 약주라고 하며 천문동과 맥문동은 약효가 비슷하나 생김새가 다르다.
천문동주를 담가서 효능을 바로 알고 먹으면 좋은 약주가 된다.

 

[天麻 酒(천마주)~수자해좃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천마~반근, 설탕이나 또는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먼저 천마를 먼저 잘게 썰어 설탕이나 또는 꿀, 소주와 같이 항아리에 넣고 밀봉한 뒤에 30여일 이상 저장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식후 따끈하게 데워서 매일 50~60cc씩 복용한다..
효능: 중풍으로 말을 더듬는 것과, 입이 삐두는 것, 만성두통 및 어지러움증, 신경쇠약, 깜짝 깜짝 놀라며 정신을 잃는 것에 유효하고, 근골을 튼튼하게 하며, 허리와 무릎에 힘이 솟게 한다. 이 술에 천궁주를 섞어 복용하면 더욱 좋다.
 
칡 술( 갈 근 주『 葛 根 酒 』)
특 성
◁ 칡은 콩과의 낙엽, 활엽, 덩굴나무로서 전국 각지 산야에서 흔히 볼 수 있다. 초가을에 자홍색의 꽃이피고 땅속에 장대한 뿌리가 있으며 이 뿌리에는 전분을 10- 14 % 를 함유하고 갈전분을 갖는다.
◁ 한방에서는 뿌리를 갈근, 꽃을 갈화라 하여 두통, 복통,이질, 설사, 위장장애, 강정 등에 사용되며 특히 술 먹은뒤 주독을 푸는데 이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뿌리, 꽃, 새순
담그는 방법
◁ 꽃으로 술을 담그려면
7 - 8월경 꽃이 활짝 피기전에 따다가 꽃송이를 소쿠리에 담아 물을 끼얹으며 씻어낸다. 바람에 말려서 물기를 없앤 다음 용기에 담아 재료의2 - 3배 가량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에 보관하며 20일 경과후 꽃을 건져내고 여과하여 다른병에 옮겨 1 -2개월 숙성후 먹는다.
◁ 뿌리 (갈근)로 술을 담그려면
가을에 칡뿌리를 채집하여 물에 깨끗이 씻은후에 적당한 크기로 썰어서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의 3배정도 술을 붓고 밀봉하여 냉암소 또는 땅속에 묻어 6개월 이상 보관한후에 먹는다. 칡술은 당분을 가미하지 않아도 단맛이 있으니 일체의 당분을 가미하지 않는다.
◁ 새순으로 담그는 방법 (최상의 정력술)
봄에 새순이 돋을때 따다가 하루정도 그늘에서 말린다음 위와 같은 요령으로 담든지 또는 한약상에서 녹용,사슴음경, 물개음경과 합하여 담는다. 6개월 이상 보관한후에 먹는다.
마시는 방법
◁ 은은한 향기가 일품이며, 스트레이트나 칵테일해서 시음해도 좋다.
효 과
◁ 꽃으로 만들 술은 숙취나 멀미나는데 특효가 있으며,갈근을 이용해서 담근 술은 혈압조정, 견비통, 가슴이 까닭없이 결리는데 등에 아주 좋은 명약이라 한다.
한번에 많은 량을 마시면 위장이 냉해지고, 속이 냉한 사람은 설사가 나고, 복통이 일어나니 조금씩 마시거나 양을 조절해야 한다.
속열이 많은 사람과 비만 환자에게 최상의 약주가 된다.

 

[ 표고버섯술 "경험방"]
배합방법: 표고버섯~1근,설탕이나 또는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표고버섯을 잘게 썰어서설탕이나 꿀에 잰 다음 항아리에 넣고 술을 부어 밀봉한 뒤에 50여일간 저장한후 복용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식후 따끈하게 데워서 매일 40~50cc씩 장복한다..
효능: 항암작용이 있으며, 고지혈증에도 효과가 있고 동맥경화 예방, 위장장애, 신경안정제로도 쓰인다.
 
황 백 주(黃柏酒),황경피나무주
특 성
◁ 운향과의 낙엽, 활엽, 교목으로 섬환경피, 황벽나무,황경피나무, 털황경피 나무라고도 하며 나무의 껍질을 벗기면 속이 선황색으로 눈이 부실 정도다.
웅담을 능가하는 위장약이라 하여 귀중시 여겨온 약용수이다.
◁ 이 나무에는 베르베린, 팔미틴, 리놀산, 오바쿠논 등 유효성분이 함유되어 있다.
내피를 가루로 만들어서 식초로 연하게 하고 관절염이나 좌상 등에 냉습포 한다. 또 점액은 결막염, 소염,건위, 정장작용이 있고 황색염료로도 쓰인다.
종자는 해열, 거담제로 쓰이며 뿌리는 해열, 이뇨, 지갈, 최유, 이질, 설사, 황달, 간병 등에 좋은 약효를 보인다.
이용부위
◁ 껍질 또는 뿌리
담그는 방법
◁ 가을에 껍질을 벗겨 사용하는데 겉껍질을 갉아 버리고 적당하게 썰어서 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재료 2 -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보관한다.
◁ 황경피나무 뿌리를 캐어다 물에 씻어 물기가 제거되면 적당하게 잘라서 담근다.
냉암소나 지하실 또는 땅속에 6개월이상 두어 술이 완숙되면 조금씩 마신다.
마시는 방법
◁ 하루에 세번 식전에 마시며, 소주잔으로 1 -2잔이 알맞다.
효 과
◁ 부인들 적백대하 또는 이질, 설사, 황달에도 좋고 방광염, 요도염, 축농증 같은 데도 효과가 있다고 하며 해독작용이 높다고 한다.
 
황 정 주 ( 黃 精 酒 ),
선인주(仙人酒),죽대주
특 성
◁ 둥글레는 백합과 다년생 풀로서 뿌리를 황정이라 한다.
어린잎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구어서 먹거나 쪄서 먹으면 맛이 있다. 생약의 위유는 근경을 말린 것이다.
※ 둥글레와 윳판나물은 비슷하니 혼돈하지 말것.
◁ 뿌리는 많은 점액질이고 점액질의 80 %는 과당이며, 콘발라린을 비롯하여 강심 배당체, 포도당 등을 함유하고 있어 옛부터 보약으로 써 왔다. 오래 먹으면 피부색이 좋아지고 늙지 않으며 오래 산다고 한다. 자양강장, 허노발열, 강심작용, 혈당저하작용, 부신피질 호로몬작용, 혈압 하강작용등 생약으로 사용되고 있다.
◁ 『동의보감』에는 병후쇠약, 전신쇠약, 부인과 질병에 보약으로 사용되고 해열, 지갈, 해수, 천식 약으로 쓴다. 민간약에서는 기관지염, 폐염, 기침, 감기, 위염,당뇨, 설사, 류마치스, 통풍, 신경통, 치질, 허리아픔등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다.
이용부위
◁ 뿌리
담그는 방법
◁ 둥글레 뿌리를 캐어다 깨끗이 씻어 그늘에서 하룻밤 말린후 잘게 썰어 독이나 항아리에 담고 재료 2 - 3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는다.잘 밀봉하여 냉암소 또는 땅속에 파묻어 보관하며,3개월이 지나면 먹을 수 있는데 6개월 이상 두어야 약효가 좋다.
효 과
◁ 이 술을 오래 먹으면 늙지않고 장수한다 하여 선인주라 하며 성인병 예방, 혈액순환, 병후허약체질, 자양강장, 위장, 비장, 간장 등을 보하며 보신, 보혈한다.
 
후 박 술( 厚 朴 酒 )
특 성
◁ 후박나무는 녹나무과의 상록, 활엽, 교목으로 제주도, 울릉도등 남부지방의 바닷가와 섬지방에서 자생하며 5 - 6월이 꽃이 피고 과실은 이듬해 7월경 암자색으로 익는다.
◁ 한방에서는 후박나무를 후박수, 껍질을 후박피, 꽃을 후박화, 열매를 후박자라 하여 해열, 거습, 거담, 복창, 비위, 파혈, 살충, 두통한열, 경악, 곽란, 익기,이질, 귀울림, 관절염, 소화불량 등에 약용되고 있다.
◁ 『동의보감』에도 오래 쌓인 냉기와 복중(腹中)이 창만(脹滿)하고 소리나는것과 소화불량을 다스리고 위기(胃氣)를 크게 따뜻하게 하고 토사곽란과 소담, 설사, 구역을 제거한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용부위
◁ 후박나무의 껍질, 뿌리, 새순
담그는 방법
◁ 술을 담글때는 껍질이나 뿌리 또는 뿌리의 껍질을 이용한다. 뿌리의 껍질과 나무의 껍질은 같은 방법으로 담는다. 재료의 2 - 3배 가량의 독한 술을 붓고 밀봉하여 지하실이나 냉암소에서 5 - 6개월 보관후에 먹는다.
◁ 4 - 5월경 새순을 따다가 술에 담는데 역시 독이나 항아리에 담아 재료의 3 - 4배 분량의 독한 술을 붓고,2 - 3개월간 보관후 마신다.
효 과
◁ 색소배당체, 루틴등이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 소화불량,위경련, 복통에 한잔 마시면 즉효 한다고 한다. 감기로 인한 두통이나 한열에는 더욱 신효하다고 한다.
오래두고 먹으면 호흡기 계통의 질병, 기관지, 해수,천식에 유효하고 항시 속이 더부룩한데 소화불량 또는체증에 효과가 좋다고 한다.

 

[ 黃蓍酒(황기주)~황기술 "동의보감"]
배합방법: 황기~반근, 꿀~1근, 소주~2되
제조방법: 황기를 먼저 잘 게 썰어 꿀에 재어서 항아리에 넣고 술을 부어 밀봉한 뒤에 50여일간 저장한후 복용한다.
용법과 용량: 매일 세차례 식전 식후 따끈하게 데워서 매일 30~50cc씩 장복한다..
효능: 혈압을 낮취주고, 심장을 튼튼하게 하며, 소변을 잘 토일시키는데 중년이후인 사람에게 좋은 명 약주이다. 또 기력을 높여주고, 피를 맑게 해주며 조루증
728x90

'◆ 건강관리 > 술담그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약초술 담그기  (0) 2021.10.26
술담그기  (0) 2011.02.06
야생화로 술 담그기  (0) 2009.01.11
[스크랩] 약초술..  (0) 2006.05.07
[스크랩] 山과 들에서 나는 나물종류  (0) 2006.05.07
728x90


정말 멋집니다~~이렇게 들으니 참 좋네요~~
출처 : 사랑과 우정의 교차로
글쓴이 : 두루루 원글보기
메모 :
728x90
728x90

아래 싸이트에 접속하면 한국의 야생화 볼 수 있습니다...

 

http://www.wildflower.pe.kr/

728x90
728x90


토종 약초 182가지
글씨 부분을 클릭해 보세요!!
출처 : 워니의방입니다 어서오세요!
글쓴이 : 시이저 원글보기
메모 :
728x90
728x90

<<약먹지 않고 감기 물리치는 법>>

 

식보가 약보보다 낫다는 말이 있듯이......

평소 영양가 있는 음식을 고루 섭취하면 감기에 잘 걸리지않으며 치료도 빠르게 된다.

 

예로부터 우리나라 사람들이 ‘잘 먹고 잘 쉬는 것’을 감기에 제일 좋은 약으로 여긴 것도 이 때문.

 

요리연구가 안승춘씨는 “감기에 걸렸을 때는 비타민과 단백질이 풍부한 음식을 먹어 영양을 충분히 공급해주는 것이 중요하며 수분을 적당히 섭취하면 가래 등 분비물의 용해가 쉬워진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비타민 C가 풍부한 음식은 감, 사과, 귤, 시금치, 양배추, 호박 등이며,

단백질은 쇠고기나 콩류에서 쉽게 얻을 수 있다.


한의학에선 고춧가루를 듬뿍 친 콩나물국을 권하기도 하는데,

이는 고춧가루와 콩나물에 비타민 C가 풍부한데다 고춧가루가 발한 효과를 내기 때문으로 이 매운 콩나물국을 먹고 두터운 이불 속에서 땀을 흘리라고 권한다.


그 외에도 칡이나 표고버섯, 대추, 생강, 우엉, 연근 등도 감기 치료에 효과적인 식품으로 알려져 있다.

 

1. 마늘 된장 덩이


껍질을 벗겨 통째로 구운 마늘을 강판에 갈아 같은 분량의 된장과 섞은 다음 10원짜리 동전 크기로 빚어 다시 한 번 굽는다. 이 구운 마늘 된장 덩이 한 개를 잠자기 전에 찻잔에 넣어 뜨거운 물을 부어 녹여서 복용하면 가벼운 초기 증상의 감기가 달아나 버린다. 목에 통증이 있는 경우에도 효과적이다. 또는 강판에 간 마늘과 된장을 각각 약간씩 찻잔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젓가락으로 잘 휘저어 뜨거울 때 복용하면 몸이 따뜻해지고 초기 감기에 좋다.(역시 잠들기 전에 복용)

 

2. 마늘을 넣은 무즙


강판에 간 무를 즙과 함께 끓여 여기에 마늘 한 조각을 찧어 넣어서 먹으면 재채기와 콧물 감기에 잘 듣는다. 혹은 무즙에 물엿을 넣어 먹어도 좋다.
먼저 무를 얇고 둥글게 썰어 병에 넣고 여기에 물엿을 넣어 섞는다. 이렇게 하여 잠시 두면 무에서 무즙이 나오는데 이 무즙과 물엿이 섞인 것을 스푼으로 한 스푼씩 복용한다.

 

3. 마늘과 벌꿀


1kg의 마늘을 껍질을 벗기고 깨끗이 씻어 소쿠리에 담는다. 다음, 찜통에 행주를 깔고 거기에 마늘을 넣어 3분간 뚜껑을 덮고 찐 다음 다시 2분간, 이번엔 뚜껑을 열고 찐다. 이렇게 하면 마늘 냄새가 완전히 없어지는데 찐마늘을 다른 냄비에 옮겨서 여기에 벌꿀을 430g 넣고 다시 한 번 불에 올려놓고 조린다. 이렇게 완성이되면 이것을 하루에 1∼3회 한스푼씩 먹으면 초기 감기에 좋다.

 

4. 생강탕


생강을 강판에 갈아 설탕이나 벌꿀을 소량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두었다가이것을 자기 전에 마시면 잘 낫는다. 또는 묵은 생강과 무를 강판에 갈아 섞은 다음, 여기에 뜨거운 물을 부어 자기 전에 먹어도 잘 듣는다.

 

5. 표고버섯 술


35도의 소주에 표고버섯을 넣고 4일쯤 지나면 표고를 새로 바꿔 넣는다. 이것을 4~5회 반복한 후 그 술을 한 스푼 정도 마시면 놀랄 만큼 효과가 있다. 이것은 표고의 포자에 함유된 항체물질이 작용해서 감기 등 바이러스를 막아주기 때문이다

 

6. 계란술


정종을 한 잔 정도 부글부글 끓을 정도로 뜨겁게 해서 그 속에 계란을 두세개 넣고 잘 뒤섞어 자기 전에 단숨에 들이마시면 가벼운 감기에 효과적이다. 이런 방법은 비위가 약해 먹기 어렵다면 다음과 같이 해도 좋다. 먼저 정종에 계란을 넣은 다음, 벌꿀을 적당량 넣고 불에 올려 놓는다. 거기에다 귤껍질(바깥쪽의 두꺼운 껍질)즙과 강판에 간 묵은 생강, 잘게 썬 파를 한줌 넣는다. 이것을 잘 섞어서 마신 다음 곧장 잠자리에 들면 효과가 있다.

 

7. 마른 표고버섯 달인 물


시중에서 판매되는 마른 표고버섯 15g에 물 3컵을 넣어 물의 분량이 반이 될 때까지 느긋하게 끓인다. 열이 날 때 이 액체를 하루 2회 복용하면 열이 씻은 듯이 가라 앉는다. 표고버섯엔 단백질, 지방, 비타민, 탄수화물, 미네랄 등이 풍부하고 감기에 매우 효과적이다.

 

8. 무즙과 벌꿀의 혼합액


먼저 무를 1cm 정도 크기로 썰어 주둥이가 넓은 병에 넣고, 그 무가 잠길때까지 듬뿍 벌꿀을 얹는다. 이것을 밀봉해서 어둡고 시원한 곳에 3일쯤 두면 무에서 수분이 배어나와 벌꿀과 섞인다. 이 혼합된 액체를 한 스푼쯤 찻잔에 넣고 뜨거운 물을 부어 마시면 기침이 멎고 목의 통증도 가라앉는다.
이것이 번거로우면, 무즙을 내서 거기에 3분의 1 정도 분량의 벌꿀을 넣은 후 하루에 수차례 한 스푼씩 계속해서 복용한다. 3일 정도 먹으면 열이나 목의 통증이 없어진다. 벌꿀과 무즙만을 섞은 것이 먹기 힘들게 느껴지는 사람은 벌꿀과 강판에 간 무를 혼합, 복용해도 좋다. 혼합비율은 반반으로한다. 더욱더 효과를 올리기 위해선 마늘을 함께 담근 벌꿀(무즙 포함)을 이용하면 된다.

 

9. 말린 귤껍질과 검은 팥


검은 팥은 예로부터 목소리를 좋게 하고 기침을 그치게 하는 작용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이것은 검은 팥에 함유된 미량의 사포닌이 작용하기 때문.귤 따위의 감귤류에 함유된 비타민 C는 감기의 바이러스를 막아주는 작용이 있다. 따라서 이 둘의 혼합은 감기에 효과적이다. 검은 팥은 벌꿀로 달게 졸이거나 혹은 간장으로 조린 다음, 여기에 귤껍질을 잘게 썰어 넣고 다시 조린다. 하지만 요즘 출하되는 귤의 대부분은 농약이 묻어 있으므로 농약을 사용하지 않는 귤(소위‘낑깡’이라 부르는 금귤)을 이용하는 게 좋다.

 

10. 연근탕


미리 무를 주사위 모양으로 썰어 벌꿀에 재운 다음, 병에 넣어 7∼10일쯤 냉장고에 넣어둔다. 이렇게 해서 무엿이 만들어지면 이 무엿을, 연근을 조려서 생긴 액체에 단 맛이 들 때까지 가해서 맛을 내면 연근탕이 된다. 연근을 삶아서 만드는 액체는 다음과 같이 만든다. 먼저 건조시킨 연근을 썰어서 주전자에 넣고 원래의 물이 절반이 될 때까지 바짝 조린다. 그러면 진한 갈색의 액체가 만들어지는데, 이 연근탕을 하루 3회 복용하며 감기가 심하지 않을 때는 잠자기 전에 1회만 복용한다. 한편 생연근을 갈아서 가제에 거른다음 그 즙에 벌꿀을 넣어먹기 쉽게 만들어 하루에 한 스푼씩 5회 먹어도 효과가 있다.

 

11. 감자즙


목이 부어 아프거나, 편도선염이 되면 감자를 강판에 갈아 생긴 즙을 탈지면에 흠뻑 적셔 목에 대고 붕대를 감으면 염증이 사라진다. 열 때문에 붕대가 빳빳하게 마르면 새 것으로 바꿔 붙이도록 한다. 귀찮게 여기지 말고 꾸준히 하면 효과가 점점 빨라질 것이다

출처 : 워니의방입니다 어서오세요!
글쓴이 : 시이저 원글보기
메모 :
728x90
728x90

양파가 몸에 좋은 이유...54가지


1. 양파는 혈액 속의 불필요한 지방과 콜레스테롤을 녹여 없앤다. 그 결과 동맥경화와 고지혈증을 예방하고 치료한다.

2. 양파는 혈관을 막는 혈전 형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혈전을 분해해서 없애버린다. 그 결과 혈전이 심하면 사망에 이르는 순환기장애(협심증, 심근경색, 뇌연화증, 뇌졸중 등)의 질병을 예방, 치료 한다.

3. 양파는 혈액을 묽게 하는 작용(섬유소 용해활성 작용과 지질 저하작용)으로 혈액의 점도(粘度)를 낮춰 끈적거리지 않고 흐르기 쉬우며 맑고 깨끗한 혈액으로 만든다. 그 결과 혈액 순환이 좋아 산소와 영양의 신체 공급이 잘 이루어진다.

4. 양파는 혈압을 내리는 작용도 현저하다. 그 결과 고혈압의 예방과 치료에 탁월하다.

5. 양파는 아주 미세한 모세혈관까지 강화한다.

6. 양파는 말초조직에 쌓인 콜레스테롤을 제거하는 중요한 역할을 하는 HDL(고밀도지단백) 콜레스테롤을 증가시켜 준다. 특히 이것을 많이 필요로 하는 심장병 환자는 자극 이 강한 스트롱 계열의 생양파를 먹어야 효과가 있다. HDL 콜레스테롤과 관련된 것 외 에는 양파를 어떻게 요리하든지 괜찮다.

7. 양파는 혈당을 저하시키는 작용도 뛰어나 당뇨병을 예방한다.

8. 양파는 인슐린의 분비를 촉진시켜 당뇨병을 치료한다.

9. 양파는 당뇨병에 의해 생기는 2차적인 합병증인 동맥경화, 고혈압은 물론, 심근경색이나 신장병, 백내장 등을 예방, 치료한다.

10. 양파는 콩팥의 기능을 증진시켜 신장병을 예방,치료한다.

11. 양파는 정상적인 혈당을 내리는 작용은 없고,이상이 있는 높은 혈당치에만 작용하며 정상 혈당이 되면 신기하게도 작용을 멈춘다. 그 결과 합성약처럼 저혈당이나 신장장애를 일으키는 등의 부작용이 전혀 없다.

12. 양파는 간장의 해독작용을 강화시키는 그루타치온이 많다.

13. 양파는 간장의 해독기능을 강화하기 때문에 임신중독, 약물중독, 알레르기에도 좋다.

14. 양파는 간장 속의 지질도 저하시켜 간장을 건강하고 강하게 하며, 신체의 노곤함을 없애주어 변비통이나 피로회복에도 좋다.

15. 양파는 간장의 조혈기능에도 관여한다.

16. 양파는 알코올 때문에 많이 소모되는 비타민B1의 흡수를 높일 뿐만 아니라, 주독(酒毒)을 중화하여 간장을 보호해 준다.

17. 양파는 눈의 피로로 두통이 생겨 책을 오래 읽지 못하는 상태를 예방하고 치료한다.

18. 양파는 눈의 각막이나 수정체가 흐려지는 백내장을 예방한다.

19. 양파는 각막이나 수정체의 투명도가 나빠져 발생하는 각종 각막질환의 장애 회복에 매우 좋다.

20. 양파는 세균 속의 단백질에 침투하여 살균,살충효과를 낸다.

21. 양파는 대장균이나 식중독을 일으키는 살모넬라균을 비롯한 병원균을 죽인다. 그 때문에 소화 불량에도 좋다.

22. 양파는 살균력이 뛰어나 항패혈증약이라고도 불리는데, 습진이나 무좀등에도 아주 좋다. 또 양파의 살균작용은 익혀도 변함없다 (마늘은 불안정 함.)

23. 양파는 충치로 이가 아플 때, 갈아서 충치 안으로 넣어 두면 통증이 멎는다.

24. 양파는 생 것을 3-8분간 씹으면 입 안이 완전한 멸균상태가 된다.

25. 양파는 결핵이나 콜레라 등의 전염병을 예방, 치료에도 사용된다.

26. 양파는 살균력과 해독력으로 육류의 부패를 막는다.

27. 양파는 현대의학도 해결하지 못하는 체내의 중금속을 해독, 분해시켜 체외로 배출시킨다.

28. 양파는 칼슘도 많을 뿐만 아니라, 자체적으로도 성장호르몬과 같은 작용을하기 때문에 성장기 어린이에 게 아주 좋다.

29. 양파는 지방의 함량이 적으며 채소로서는 단백질이 많은 편이다. 그래서 다이어트에도 좋다.

30. 양파는 칼슘과 철분의 함량이 많아 강장효과를 돋우는 역할을 한다.

▶ 칼슘은 인체내에서 신경의 진정작용이 있고 지구력을 길러주는 중요한 무기질이며, 치아를 형성하고 혈액응고, 세포막의 강도유지, 근육의 수축 등 여러 작용을 하는데 효소의 활성제로도 쓰인다. 발육기에는 뼈의 형성을 위해 많은 칼슘이 필요하며 노년기에는 체내에 칼슘이 부족하면 병이 생기기 쉬우므로 발육기와 노년기에 더욱 중요시 되는 영양소이다.

칼슘은 체내의 칼슘 공급량이 충분할 때는 뼈속에 저장되어 있다가 혈액에
서 필요할 때마다 뼈에서 용출되어 공급된다. 뼈는 칼슘의 저장고인데 뼈에서의 칼슘침착과 용출은 끊임없이 진행되어 혈액의 칼슘농도를 항상 일정하게 유지하고있다. 그 때문에 칼슘의 공급이 부족하게 되면 뼈가 약해지는 것이다. 칼슘의 흡수부족은 설사를 할때, 비타민 D가 부족할 때, 부갑상선 기능이 떨어질 때 일어나기 쉽고, 사지경련, 골연화중, 골다공증 등의 질병을 유발시킨다.

31. 양파는 감기 퇴치 기능이 있는데, 생으로든, 익히든 끓이든지 해서 실제로 지난 수세기 동안 감기약으로 사용되었다.

32. 양파는 목의 식도나 폐의 기도에 달라붙은 불필요한 점액들을 몸 밖으로 제거하는 거담작용을 한다. 그 때문에 해소천식에도 좋다.

33. 양파는 코가 막힐 때, 즙을 내서 조금씩 마시면 트인다.

34. 양파는 기도의 가래를 제거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기침에도 좋다.

35. 양파는 소화촉진, 변비, 생리불순, 유방종양, 대머리 등의 예방과 치료에도 탁월한 효능을 발휘한다.

36. 양파는 불면증에도 좋은데, 양파를 먹어도 되지만, 생양파를 썰어서 머리맡에 놓고 자도 효과가 있다.

37. 양파는 아기들이 경풍을 일으킬 때, 양파를 잘라 입에다 대주면 씻은 듯 가라앉는다.

38. 양파는 진정제나 신경안정제 역할도 하는데, 너무 마음이 긴장될 때 생양파를 먹으면 된다. 날양파의 매운맛과 향기가 연수에 작용하여 정신을 안정시킨다.

39. 양파는 허약체질이나 신경쇠약에도 아주 좋아, 원기회복이 필요한 환자의식이로 적 당하다.

40. 양파는 혈액을 정화하기 때문에 피부미용에 좋고 잔주름을 예방한다.

41. 양파는 자궁수축에 의한 분만 촉진에도 작용하기 때문에 임산부의 산고에도 좋다.

42. 양파의 성분 중, 비타민 A는 정자의 생성에 필수이며,비타민 B1는 성활동을 장악하는 부교감신경의 기능을 왕성하게 한다는 것이 밝혀져 남성들의 정력강장제로 탁월하다.

43. 양파는 비타민(특히 비타민B1)의 흡수를 촉진시키기 때문에, 다른 채소, 과일과 섞어 먹으면 피부미용은 물론 스태미나에 더욱 좋다.

44. 양파는 마늘과 함께 동식물체를 구성하는 중요 성분인 유지(油脂)의 산화를 억제하는 작용도 있다는 것이 밝혀졌다. 피부노화나 인체의 노화가 산화작용에 기인하는 것으로 보아, 결국 양파가 장수에도 기여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45. 양파는 단것보다는 매운 스트롱 계열의 것에 약리효과가 뛰어난 유효성분이 많다고 밝혀졌다.

46. 양파의 요리법은 매우 많은데, 어떠한 찌개와 반찬에도 향미료로 곁들일 수 있다.

47. 양파는 지방의 산패를 막기 때문에, 사용한 튀김기름에 양파 몇 쪽을 튀겨 내면 비린 내가 감쪽 같이 사라지며 오래 보관할 수 있다.

48. 양파의 독특한 향과 자극적인 냄새는 육류나 생선요리의 비린내를 없애 주기 때문에
조미료로도 없어서는 안 될 중요한 야채이다.

49. 육류와 궁합이 잘 맞는다.

50. 양파는 비타민의 흡수를 도와 주는 역할도 하기 때문에

과일과도 궁합이 아주 잘 맞는다.

51. 양파는 날것과, 굽거나 튀기거나 삶거나 말리거나 한 것과

그 약용효과에 있어서 하등 변화가 없다

52. 양파의 뛰어난 점은 아무리 많이 먹어도 부작용이 없다는 것이다.

53. 양파의 유효성분은 안정되어 있어서 장기간 보존을 해도 변화하지 않는다

54. 새로 이사한 집에 페인트 냄새등 잡냄새가 날 때에도 생양파를 한공간에3~4개 생양파를 껍질을 벗겨서 칼로 열십과 가로 세로로 잘라서 방바닥 등에 신문지를 깔아 놓고서 양파를 널어 두면은 페인트나 잡 냄새를 없앨 수가 있습니다.

출처 : 워니의방입니다 어서오세요!
글쓴이 : 시이저 원글보기
메모 :
728x90
728x90

 산나물, 들나물 사진모음

개망초

대황

방아풀

엉겅퀴

참나리

개미취

더덕

배초향

연꽃

참죽나물

개박하

도라지

뱀딸기

오가피

참질경이

개발나물

독활

별꽃

오이풀

참취

갯기름나물

돌나물

비름

왕원추리

천궁(궁궁이나물)

꼬들빼기

돌미나리

비비추

우산나물

초롱꽃

고사리

두릅

산마늘

우엉

치커리

곤드레

두메부추

산부추

원추리

큰까치수염

골잎원추리

둥굴레

산비장이

유채꽃

큰애기나리

곰취

들깨

산옥잠화

윤판나물

큰앵초

구릿대

땅두릅

새모시

자주방아풀

털여뀌

금낭화

만삼

섬초롱

잔대

털장구채

기린초

머위

솔나물

장구채

토란

무릇

메꽃

쇠뜨기

절굿대

톱풀

까살쑥부쟁이

며느리배꼽

쇠무릅

제비꽃

피마자

까치수염

멸가치

쇠비름

조개나물

화살나무

꿀풀

명아주

수리취

좀개미취

활나물

꿩의다리

무늬둥굴레

좁쌀풀

흰제비꽃

녹양박하

물레나물

애기나리

종지나물

참나물

단풍취

미역취

애기수영

지치

죽순

닭의장풀(달개비)

민들레

큰앵초

진득찰

갈퀴나물

당귀

바디나물

양지꽃

질경이

바보여뀌

대나물

바위취

얼레지

집신나물

등골나물

대청

박하

엄나무

차즈기

쑥부쟁이

고마리

솜나물

앵초

모시풀

 

고추나물

뱀무

쥐오줌풀

소리쟁이

벌개미취

봄맞이꽃

달래

씀바귀

냉이

보리

두메부추

노랑원추리

흰제비꽃

 

 

 독초(주의해야 할 식물)

동의나물

은방울꽃

박새

삿갓나물

진범

피나물

애기똥풀

미치광이풀

꽈리

요강나물

꿩의바람꽃

박새

 

 

 

 

출처 : 워니의방입니다 어서오세요!
글쓴이 : 시이저 원글보기
메모 :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