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오늘은 홍천 화촌면 공작산 수태골과 작은골 사이로 514봉에서 성지사까지 아이어진 능선과

약수봉을 지나 작은골과 큰골사이로 554봉에서 굴은저수지 중앙으로 내려간 능선 산행에 나선다

08:25 홍천터미널을 출발한 와동행 버스편으로 굴운저수지 정류장에서 내려 성지시 방향으로 걷는다

 

굴운저수지를 바라보니 짙게 안개가 무겁게 내려앉아 있다

  

ㅇ 산행일자 : 2020.10.10(토), 산행 4명(강태공, 박도영, 박태신, 타잔)                                                 

ㅇ 산행코스 : 성지사-465봉-514봉-약수봉-작은골고개-554봉-471봉-228봉-작은골 삼거리-굴운저수지-송정

ㅇ 산행기록 : 거리(13.21km), 소요시간(06시간 4분, 08:40~14:45), 평균속도(2.6km/h), 고도(192m~566m)    

 

산행기록(트랭글)

 

버스에서 내려 와동방향으로 가다가 좌측으로 성지사로 이어지는 길로 가야 했는대

굴운저수지 방향으로 가다가 오른쪽으로 성지사 방향으로 갔더니 성지사로 막혀 되돌아 나왔다

 

능선으로 오르자 성지사가 나와 성지사길에서 능선을 막고있는 낡은 철조망을 넘어 오르기 시작한다

 

잠시 오르자 514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은넓은 등산로가 능선으로 이어진다

 

아침에 무겁게 내러앚아 있던 안개도 걷혀 하늘은 푸르고 살랑살랑 바람까지 불어오니 완연한 가을이다

 

전망좋은곳에서 잠시 쉬면서 뒤를 돌아보니 가리산이 손에 잡힐 듯

 

가리산을 배경으로 이증샷

 

역광이라 얼굴이 안보인다

 

인증샷

 

인증샷

 

능선은 소나무 숲길로 이어진다

 

군 벙커가 나타난다

 

465봉 삼각점

 

능산로 주변으로 하늘을 향해 높게 자라고 있는 소나무들이 빼곡하게 자라고 있다

 

우뚝 솟아있는 공작산 좌측으로는 664봉을지나 고사리봉으로 능선이 이어지고

오른쪽으로는 안공작개를 지나 수리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시원스럽게 조망된다

 

암릉이 나타난다

 

암릉을 따라 조심스럽게 오른다

 

바위에 뿌리를 내리고 반쯤 드러누워 살아있는 소나무 한그루가 애처롭다

 

514봉에 올라선다

 

514봉에서 약수봉 방향으로 내려간다

 

수타사에서 오르는 등산로와 합류하는 지점에서 잠시 휴식

 

소나무에 메달려 본다

 

인증샷

 

소나무 3그로가 삼형제처럼 자리하고 있다

 

구절초꽃

 

약수봉 정상 인증샷

 

참취꽃도 이제 시들어 간다

 

작은골 고개를 지난다

 

작은골 고개에서 554봉을 향해 가픈숨을 몰아쉬며 오른다

 

소나무와 참나무의 공생

 

머리를 땅에 박고 물구나무 서기를 하고 있는 소나무 한그루

 

554봉에서 굴운저수지 중앙으로 이어진 능선길로 넓고 좋다

 

471봉을 향한다

 

한송이의 진달래꽃이 게절도 잊은 채 피어있다

 

471봉을 지나면서는 암릉으로 이어진다

 

오른쪽으로 큰골너머 공작산 정상이 노송사이로 조망된다

 

큰골주변의 마을이 한가롭게 느껴진다

 

굴운저수지가 눈앞으로 보인다

 

누워있는 소나무 사이로 공작산 정상도 조망된다

 

능선의 끝자락에서 큰골에서 나오는 도로로 내려선다

 

굴운저수지를 배경으로

 

작은골고개 약수봉이 조망된 굴운저수지가 한 폭의 수채화 같다

 

도로를 따라 작은골이 갈라지는 삼거리를 향한다

 

굴운저수지

 

황금빛 황국(노란 들국화)꽃이 화려하게 피어있다

 

쑥부쟁이꽃

 

굴운저수지를 지나 노랗게 물들어가는 가을 들녁 사이로 이어진 도로를 따라 송정까지 가서 산행을 마친다

 

728x90
728x90

동서울터미널에서 07시 출발한 버스가 08:05경 홍천터미널에 도착하여 17번 탑승장소에서 기다리니 버스가 도착

 

홍천터미널에서 08:30 출발하여 소니고개에는 09시경 도착하여 하차하니 날씨가 쌀쌀

 

ㅇ 산행일자 : 2020.10.6(화) 맑음...나혼자                                                                                                      

ㅇ 산행코스 : 소니고개(노현승강장)-노천1교-논현들-능선-공작산 수리봉-원점회기                                             

ㅇ 산행기록 : 거리(11.57km), 소요시간(4시간45분, 09:00~13:45), 평균속도(2.9km/h), 고도(284m~832m)

 

산행기록(트랭글)

 

소니고개(노현승강장)에서 하차하여 노천1교방향으로 진입하여 뒤돌아 본다

 

공작산 능선에서 대학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과 그 뒤로 응봉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겹겹이 자리하고 있다

 

공작산 주변의 아침풍경은 정말 멋지다

 

가야 할 수리봉 방향으로 이어지는 능선을 바라본다

 

길을 따라가면 노천1교

 

길가 들판에는 쑥부쟁이가 만발

 

노천1교를 건너자마자 좌측으로 진행

 

노천1교를 건너면서 덕구산을 바라본다

 

덕구산에서 응곡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아름답다

 

노천1교를 건너면 좌측으로 수타사 산소길

 

노천1교에서 좌측으로 난 도로를 따라 가면 우측 사과나무농장이 논현들이라고 되어있다

 

코스모스가 한창이다

 

사과도 익어가고 있다

 

수타사 산봉마을 갈림길에서 오른쪽 마을로 접어들자 개 한마리가 나를 반긴다

지도상에는 마을의 민가를 끼고 오르는 등산로가 있어 갔더니 보이질 않아

민가 주인에게 문의했더니 집 뒤로는 등산로가 없고 수타사길 신봉마을 방향으로 가다보면

등산로가 보인다고 하여 다시 돌아나와 수타사길로 이어지는 비포장길을 따라간다

 

여름철 성수기에 음식점을 했건 것으로 보이는 집 옆으로 그네가 혼자 덩그러니 자리하고 있다

 

잠시지나 길이 좁아지더니 오른쪽으로 등산로가 보여 올라사는데 구절초꽃이 그늘속에 수줍은 듯 숨어있다

 

능선을 따라 오르자 보면 새로생긴 임도가 능선을 잘라놓았기에 급경사면을 따라 올라야 한다

 

지도상에는 없지만 능선을 따라 이어지는 등산로는 너무 좋다

 

숲길 능선 등산로는 힐링분위기

 

오래된 노송들이 능선 곳곳에 산재하고 있다

 

참나무껍질을 벗겨간 흔적

 

하늘을 향해 팔을 벌리고 의연하게 서 있는 노송 한그루

 

등산로는 육산이지만 오르막으로 이어진다

 

노송가지 사이로 공작산 정상이 조망된다

 

바람에 떨어진 도토리는 한데 몰려 있기도 한다

 

고사목

 

수리봉이 가까워지자 주먹모양의 바위가 자리하고 있다

 

소니고개에서 2시간 18분만에 수리봉 정상 도착(5.6km)

수리봉 정상 능선에는 이제 단풍이 하나씩 물들기 시작한다

 

하산하는 길

 

코스코스가 예쁘다

 

논현들 사과나무 농장 담장에 풍선덩굴이 탐스럽다

 

픙선덩굴

 

쑥부쟁이

 

쑥부쟁이꽃

 

소니고개(노현승강장)

 

소니고개

 

소니고개에 자리한 노천1리 장승

 

728x90
728x90

"셈법 복잡해진 '1세대1주택 비과세'..보유기간 꼼꼼히 확인해야"

[부동산세금의 모든 것]취득일 기준 사라지고 실질 1주택자 기간 따져

뉴스1 | 박기락 기자 | 입력2020.10.04 06:00 | 수정2020.10.04 06:00

22일 오후 서울 송파구 아파트단지 밀집지역에 위치한 부동산. 2020.9.22/뉴스1 © News1 이동해 기자

(세종=뉴스1) 박기락 기자 = 정부가 다주택자에게 무거운 세금을 부과하자 보유하고 있던 3채의 집을 하나, 둘 처분한 A씨. 정당하게 양도소득세도 납부하면서 비로소 1주택자가 된 A씨는 내년 쯤 이사를 알아봤지만 "1세대 1주택자에 해당되는 주택양도세 비과세 혜택을 받기 힘들다"는 말을 부동산 업소로부터 들었다.

내년부터 1세대 1주택에 대한 주택양도세 비과세를 적용하는 보유기간이 '주택 취득일 기준'에서 '실질적으로 1주택이 된 날을 기준'으로 바뀌기 때문이다. 올해까지는 1세대1주택자의 보유 기간을 계산할 때 주택의 취득일을 기산일로 봤다. 다주택자가 몇 개의 주택이 있었는지 상관없이 양도일 기준으로 1세대1주택자이면서 해당 주택의 보유 기간이 2년이 지났다면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내년 이후 주택을 사고팔때 최종 1주택에 대한 비과세 요건이 최종적으로 1주택이 된 시점 및 직전 주택의 양도세 과세 여부 등이 판단 기준이 된다. 세법 개정으로 다소 복잡해진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을 알아보자.

◇마지막 남은 1주택 보유기간 2년 지나야 혜택

양도소득세 비과세는 1세대가 1주택을 보유한 기간이 2년 이상이고 그 주택의 양도가액 9억원 이하일 경우 발생한 양도차익에 과세하지 않는 것을 뜻한다. 여기에 2017년 8월 3일 이후 조정대상지역에서 주택을 취득했을 경우 2년 이상의 거주요건이 추가된다.

내년 양도분부터 적용되는 1세대 1주택 비과세 요건은 마지막 남은 1주택의 보유 기간을 기준으로 계산된다. 2년 이상 보유 요건을 모두 충족하는 2주택을 보유한 1세대가 내년 A주택을 양도하고 남은 B주택 양도에 따른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실질적으로 1주택자가 된 A주택의 양도일로부터 2년 이상이 지나야 가능하다는 것이다.

하지만 여기에 일시적 2주택 비과세 혜택 요건이 포함되면 셈법이 복잡해진다. 정부는 이사 등을 목적으로 일시적 2주택자가 되는 경우에도 양도세를 과세하지 않는다. 1세대 2주택에 대한 비과세 요건은 Δ기존 주택을 취득하고 1년 이후 이사갈 주택을 취득할 것 Δ기존 주택은 2년 이상 보유할 것 Δ이사갈 주택을 취득하고 3년 이내 기존 주택을 매도할 것 등이다.

일시적 1세대2주택자의 비과세 적용요건 예시© 뉴스1

일례로 A(2015년 10월 취득), B(2019년 1월 취득), C(2019년 3월 취득)까지 3주택을 보유한 한 세대가 C주택을 올해 안에 양도(과세)하고 남은 A, B주택이 일시적 2주택에 해당하는 경우 A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은 A주택의 취득일인 2015년 10월부터가 된다. 따라서 1세대 2주택 비과세 요건 중 '이사갈 주택을 취득하고 3년 이내 기존 주택을 매도'해야 하는 2021년 2월까지 A주택을 양도할 경우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다.

새로운 주택을 취득해 일시적 1세대 2주택이 된 경우에는 실질적으로 1주택자가 된 날부터 보유기간이 산정된다.

2016년 9월 A주택을 취득하고 같은 해 12월 B주택을 취득한 2주택자가 2019년 8월 B주택을 양도하는 동시에 C주택을 취득하는 사례다. 연내 A주택을 매각할 경우 1세대 2주택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지만 내년 이후 매각시 2021년 1~8월까지는 B주택 양도 이후 2년이 경과하지 않아 양도세를 내야 한다.

비과세가 적용되지 않는 조합원입주권을 내년 이후 양도할 경우 남은 1주택의 비과세 보유기간은 입주권을 양도한 날로부터 계산된다. 2017년 11월 취득한 A주택이 이듬해 11월 주택관리처분계획 인가에 따른 조합원입주권으로 바뀌고 올해 2월 B주택을 취득한 사례다. 내년 이후 입주권을 양도할 경우 B주택 양도에 따른 비과세 혜택을 받기 위해서는 입주권 양도일로부터 2년 이상이 경과해야 가능하다.

kirocker@news1.kr

728x90
728x90

추석(10/1/목)이 지나고 나서 양평군 용면 곰산 산행에 나선다

용문역에 09:50경 도착하여 곰산들머리를 향해 용문읍내 도로를 따라 가면

"천년 은행나무의 고향 용문" 이라는 아치가 도로위로 세워져 있다

아마도 용문사 은행나무를 의미하여 은행나무의 고향이라고 해 놓은 것 같다

 

용문면 다문리 다문초등학교를 지난다

 

도로를 벗어나 마을딜로 접이드니 담장 아래에는 구절초가 새벽에 내린 빗물을 머금은 채 수줍은 듯 앉아있다

 

벼도 이제 조금 지나면 수확을 해야 할 정도로 익어기고 있다

 

새벿에 내린 비에 젖은 들길을 따라 앞으로 보이는 곰산을 행한다

 

곰산 들머리는 용문소빙서 앞이고, 홍천으로 이어지는자동차 도로 아래에 있다

 

ㅇ 산행일자 : 20202.10.3(토) 흐림,  산행 4명(강태공, 박태신, 명성, 그리고 타잔)                                          

ㅇ 산행코스 : 용문역- 용문소방서-곰산-곰바위-깃대봉-사금봉-연수1리                                                            

ㅇ 산행기록 :  거리(8.9km), 소요시간(4시간 18분, 09:52~13:11), 평균속도(2.4km/h), 고도(104m~418m)

 

산행기록(트랭글)

 

소방서 앞 고가도로 아래에서 들머리가 시작된다

 

곰산 안내도

 

용문휴게소

 

쑥부쟁이꽃

 

 

 

들머리에서 시멘트도로를 벗어나 나무계단길을 따라 오르면 곰산 이정표가 나타난다

 

잠시 흙길 평평한 도로를 따라가게 된다

 

벌써 생강나무잎은 노랗게 물들어 있다

 

안개가 자욱한 등산로를 따라 오른다

 

걷기 좋은 소나무 숲길

 

오늘 산행은 완전 힐링산행

 

1시간여를 오르면 자리하고 있는 곰산 쉼터에 도착한다

 

쉼터에서 잠시 휴식후 정상을 향한다

 

곰산 정상 인증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곰산 정상에서 용문산 정상 방향으로 잠시 가다보면 곰바위가 나타난다

 

새벽에 내린 비가 싸리나무 잎에  롱한 물방을로 남아있다

 

 

산부추꽃

 

전망좋은 곳에서 용문산 정상을 바라보았지만 짙은 안개속에 숨어 버렸다

 

무명봉 삼각점

 

길 없는 사금봉을 이리저리 돌고돌아 찾았다

 

사금봉 정상

 

연수리로 내려서자 길가에 코스모스가 예쁘게 피어있다

 

은행나무잎이 낙엽으로 떨어져 있다

 

노랗게 물든 은행나무

 

연수1리 마을길

 

담장아래에 예쁘게 피어있는 쑥부쟁이꽃

 

연수1리 도로에 도착

 

용문산 백운봉을 바라보며 계곡을 향해 가서 계곡 맑은물로 땀을 앁어내고

택시편으로 용문역으로 나와 용문의 맛집 능이버섯전골/약초밥으로 식사를 마친다

 

연수리 입구에도 기와 모양의 아치형 문이 세워져 있다

728x90
728x90

 

09시경 공작교에서 하차하여 공작삼거리를 지나 휴양림방향 길가에 쑥부쟁이꽃이 예쁘게 피어 있다

 

노천저수지의 초가울 풍경

 

노천저수지 뒤로 공작산에서공작현으로 이어지는 능선

 

공작산 팬션 통과

 

 

ㅇ 산행코스 : 공작교-공작삼거리-안부사거리-뜨매기골-공작폭포-안말계곡-군업2리(나분들 정류장)

ㅇ 산행기록 : 거리(10.28km), 소요시간(4시간 30분, 09:00~13:30), 평균속도(2.5km/h), 고도(206m~714m)

 

이슬을 머금고 있는 구절초꽃

 

구절초꽃

 

공작릉, 안골, 문바위골 입구

 

안골 갈림길

 

안골방향으로 가면 안골계곡을 따라 능산로는 이어진다

 

어수리꽃

 

안골

 

까실 쑥부쟁이꽃

 

안부사거리 도착

 

안부사거리는 낙엽송군락지로 정상, 군업리, 안골, 공작현 갈림길

 

공작현 방향

 

군업리 방향으로 내려서면 뜨메기골 계곡으로 들어가면 천연 오지 게곡느낌으로 작은폭포

 

뜨메기골은  사람의 손이 닿지 않은 듯  이끼들이 제세상인 듯 진을 치고 있다

 

공작폭포

 

어수리꽃은 만성염증을 억제하는 탁월한 효과가 입증되었다고 한다

 

로마병정의 투구를 닮았다고 하여 투구꽃

 

계곡은 예쁘기만 하다

 

요즘 보기 힘든 천혜의 계곡

 

마타리

 

씀바귀 꽃

 

세잎종 덩굴

 

마타리

 

군업리 날머리

 

드룹 열매

 

공작산 정상부

 

들녁에 코스모스는 하늘하늘

 

하늘거리는 코스모스 무리

 

공작산 정상부 줌인

 

코스모스꽃

 

율무

 

고개숙이고 익어가는 벼

 

페튜니아꽃

 

천일홍

 

미국 쑥부쟁이

 

공작산을 멀리 바라보니 유순해 보이는데 직접오르면 까칠하다

 

날머리 도착

 

공작산을 배경으로 한 폭의 수채화를 그려 보았다

 

서석, 창촌방향

 

군업2이 나분들 정류장에 도착하여 산행을 마친다

728x90
728x90

황금비단 그물버섯

 

공작삼거리를 지나 노천저수지 옆으로 만들어 놓은 물빛공원길

 

물빛공원길을 따라서

 

도로를 따라서

 

공작산 정상을 뒤돌아 보면서 오늘 산행을 정리하고

 

버스를 기다리는데 그 옆으로 억새가 하늘 하늘

728x90
728x90

 

오늘은 공작산에서 북서방향으로 고사리봉을 지나 굴운저수지까지 이어진 일명 고사리능선 오지산행에 나선다

07시 동서울터미널을 출발하는 버스는 교통혼잡으로 홍천에 도착하는 시간이 많이 지체됨에 따라

간발의 차이로 굴운저스지행 버스를 놓치고  송정행 버스편으로 송정(홍천강쉼터)에서 내려 들머리까지 걷는다

  

 

ㅇ 산행일자 ; 2020.9.19(토), 날씨 흐리고 갬,  산행 5명(강수복, 강태공, 박도영, 박태신, 타잔)

ㅇ 산행코스 : 송정(홍천강쉼터)-논골교-굴운저수지-고사리봉-고사리능선-공작산-공작릉-공작삼거리-공작교

ㅇ 산행기록 : 거리(약 10km), 소요시간(약 6시간, 09:00~15:00), 평균속도(1.8km/h), 고도(176m~898m)\

 

홍천 화촌면 윗송정 승강장에서 하차하여 굴운교를 지 굴운저수지까지 걸어간다

 

홍천강 쉼터에서 막걸리를 구입 보충하고

 

벼가 익어가는 들판 길 옆으로 예쁘게 핀 코소모스가 하늘거리고

 

선선한 가을 바람을 맞으며 길따라 걷는다

 

굴운저수지가 가까워지고 바로 앞 왼쪽으로 들어가는 다리를 건너야 한다

 

논골교를 건너 오른쪽으로 굴운저수지 수로 옆으로 이어진 길을 따라간다

 

고사리봉 등산로 안내판

 

도로 끝부분에서 안내판을 따라 저수지 수로 옆능선으로 오른다

 

우거진 숲 사이로 등산로는 잘 보인다

 

쑥부쟁이꽃

 

??

참취꽃

 

등산로는 노송지대를 따라 이어진다

 

등산로는 오르막이지만 무난한 편

 

능선 중앙에 묘지가 자리하고 있다

 

묘지를 지나 급경사를 따라 오르면 고사리봉(420m)에 도착한다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고사리봉을 지나 안부까지 내려가면 고사리봉 하산 갈림길 이정표에는 공작산까지 2시간이라고 되어있다

 

공작산을 향해 능선을 따라 오르자 벙커봉이 나타난다

 

등산로는 완만하고 걷기좋은 길이다

 

등산로 주변으로는 노송들이 군락을 이루고 있다

 

노송지대

 

삼각점처럼 보이는 측량 표지가 가끝 나타난다

 

벙커 환기구도 보인다

 

벙커 출입구

 

노송줄기껍질

 

구멍 파인 참나무

 

노랑다발버섯(독버섯)

 

 

도토리

 

기름나물꽃

 

먼지버섯

 

소나무

 

며느리밥풀꽃

 

껄껄이 그물버섯

 

가야 할 공작산 정상을 조망해 본다

 

구절초꽃

 

길도 없는 공작산까지 급경사면을 따라 겨우 오른다

 

정상에 올라 휴식

 

공작산 정상에서 바라본 가리산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오늘의 오지번개팀 인증샷

 

공작릉을 따라 하산

 

황금비단 그물버섯(식용)이라 하는데 더 알아 봐야 겠음

728x90
728x90

오늘은 홍천 공작산의 수타사 약수봉에 다녀오기로 한다

08:50경 홍천터미널에 도착하여 09:10 수타사로 출발하는 버스를 기다린다

 

홍촌터미널을 출발한 버스는 09:35경 수타사입구 대형주차장 버스종점에 하차하여 산행을 시작한다

 

ㅇ 산행일지 : 2020.9.15(화). 흐린날 나홀로

ㅇ 산행코스 : 수타사 버스종점-샘골교-샘골-와동고개-약수봉-귕소출렁다라-수타사-버스종점(원점회기)

ㅇ 산행기록 : 거리(7.3km), 소요시간(3시간 10분, 09:40~12:50), 평균속도(2.5km/h), 고도(196m~588m)

 

산행기록(트랭글)

 

주차장을 지나 왼쪽에 있는 샘골교를 건너 비포장 임시 주차장을 지나면서

여름내내 풀들이 무성하게 자라 희미해진 등산로를 따라오르기 시작한다

 

계곡옆이라 습해서인지 버섯들이 향연을 벌인다

 

목도리 방귀버섯

 

샘골을 따라 희미한 등산로를 따라샘골을 지나면서 능선을 치고 오른다

 

잠시 후 와동고개에 도착하자 주차장에서 여기까지 1.2km이고 약수봉까지는 2.9km 남았다고 되어 있다

 

와동고개에서부터는 능선길이다

 

여기에서부터는 걔단을 따라 이어지는 내리막길이다

 

수타사(용담) 갈림길)

 

능선은 노송지대로 되어있다

 

평상 쉼터

 

수타사 갈림길

 

참나무 지대

 

수타사 삼거리

 

쉼터

 

뻥 뚤린 참나무 한그루

 

약수봉 정상 도착

 

약수봉 등산 안내문

 

공작산 정상으로 이어지는 수리봉 능선을 조망해 본다

 

잠시 암릉구간 통과

 

귕소 출렁다리

(귕소 :  통나무를 파서 만든 소 여물통의 강원도 말)

 

수타계곡을 끼소 수타사로 이어지는 숲길

 

수타계곡

 

수타계곡

 

수타계곡

 

수타계곡

 

태봉 안내판

 

치유쉼터 안내도

 

종합안내도

 

수타사

 

월인쉼터

 

갈림길

 

수타사입구 안내소

 

수타사 입구 식당가

 

식당안내판

 

주차장 버스종점에 도착하여 산행을 종료하고 13:20 홍천너미널로 가는 버스편으로 귀가

 

728x90
728x90

전망대에서 호명산 방향으로

 

보납산, 곡달산, 삼태봉이 조망

 

암릉구간

 

기차봉 도착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호명산을 향하여

 

슬슬 지쳐오나보다

 

옹이가 감싸고 있는 참나무

 

호명산이 가깝다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건너편으로 청우산 수리봉 대금산 연인산 명지산이 조망된다

 

운악산도 보이고

 

켜켜이 이어진 산마루 위로는 뭉게구름이 줄지어 가고있다

 

화악산

 

명지산

 

운악산 명지산

 

운악산

 

청평댐

 

나무계단 내리막길

 

마지막 하산왼료

 

조종천 다리 아래에는 마지막 피서하러 온 사람들이 낙도 하고, 다슬기 잡으며 시간을 보낸다

 

조종천 물은 너무 맑다

드림잣닭갈비 식당에서 식사를 마치고 귀경

728x90
728x90

 

모처럼 쾌청해진 초가을 가까이 청평 호명호수,호명산 산행에 나선다

07:17. 청량리역을 출발하는 경춘선으로 상천역에서 내려 산행을 시작한다

 

상천역 입구

 

ㅇ 산행일자 : 2020.9.13(일), 맑음. 산행 3명(박도영, 박태산, 타잔)

ㅇ 산행코스 : 상천역-큰골능선-호명호수-호명정-기차봉-호명산-청평역

ㅇ 산행기록 : 거리(약11km), 소요시간(약5시간, 08:20~13:20), 평균속도(2.5km/h), 고도(97m~647m)

 

산행기록(트랭글)

 

상천역에서 호명호수 방향으로

 

철길아래 굴다리 통과

 

여기에서 오른쪽 큰골방향으로 들어간다

 

인증샷

 

인증샷

 

고마리꽃

 

 

여귀

잣나무 숲길

 

돌탑

 

큰골능선을 오르는 동안 돌탑들이 많이 쌓아져 있다

 

나무 숲 그늘길을 따라 계속 오른다

 

돌탑

 

호명호수가 가까워 온다

 

호명호수까지 650미터

 

호명호수 뚝

 

전망좋은 곳에서 구름속으로 숨어버린 화악산을 바라본다

 

까실 쑥부쟁이꽃이 예쁘다

 

호명호수가 가까워 진다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호명호수 표지석 인증샷

 

호명호수 표지석 인증샷

 

호명호수 표지석 인증샷

 

호명호숫가에 노랗게 피어있는 루드베키아꽃

 

인증샷

 

마루금과 구름이 멋지다

 

화악산과 화악고개 응봉이 한 눈에 들어온다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호명호수 호랑이

 

인증샷

 

인증샷

 

인증샷

 

호명호수 버스정류장

 

자원개발의 새기원 탑

 

호원정

 

인증샷

 

가슴이 펑 뚤리는 풍광

 

운악산도 조망된다

 

호명산 방향으로

 

물봉선의 자태

 

중봉, 화악산 줌인

 

호명호수 전망대에서 바라본 호수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