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021.12.21.(화) 09:00경 도봉산역 2번 출구 서울창포원 입구에 비치된 스탬프북과 지도를 들고

창포원 앞 수탬프 우편함에서 수탬프북 첫번째칸에 스탬프를 찍고 서울둘레길 트레킹을 시작한다

 

ㅇ 일자 : 2021. 12.21(화) 홀로 서울둘레길 1코스 시작

ㅇ 코스 : 도병산역 2번출구-창포원-덕릉고개-철쭉동산-화랑대역

ㅇ 기록 : 거리(19.79km), 소요시간(5시간 30분, 09:00~14:30), 평균속도(3.6km/h), 고도(16m~242m)

 

서울둘레길_1코스(서울창포원-옥수당근린공원-공릉동근린공원)_20211221_090622.gpx
0.30MB

 

트래킹 기록(트랭글)

 

낙엽이 떨어져 있는 계곡에는 간밤의 추위로 얼음이 얼어있다

 

잘 정비된 계단길과 코코넛매트길을 따라 오른다

 

도봉산역에서 1,8km 통과 지점

 

노란 소나무 낙엽이 깔려있는 평평한 소나무 숲길은 너무 아름답다

 

수락산갈림길

 

도봉산역 2,7km 통과 지점

 

서울둘레길 안내 리본

 

인증샷

 

오르 내리막 길은 꾸준히 이어자나 평탄한 길을 걷기에는 너무 편하다

 

멀리 수락산을 바라본다

 

미세먼지가 많은 관계로 시내가 뿌연 먼지로 회색빛이어서 안타깝다

 

당고개길 갈림길

 

덕릉고개를 지나 철쭉동산 방향으로

 

서울둘레길 리본 뒤로 수락산 정상이 보인다

 

덕릉고개 입구에 서 있는 이정표

 

덕릉고개를 지나 진행하다 보면 길 없에 연인바위가 자리하고 있다

 

수락산 터널위를 지난다

 

당고개역 갈림길

 

두번째 스탬프를 찍어야 하는 철쭉동산 스탬프 찍는 곳

 

공룡바위

 

공릉산 백세문을 지나면 좌측으로 대로를 따라 사거리까지 진행한 후

사거리에서 우측으로 가면 1코스 도착지점인 화랑대역에 도착하여 마친디

728x90
728x90
728x90
728x90

마구산에서 지나 온 미역산과 태화산을 바라본다

 

추곡리 갈림길

 

일단은 대대리 방향으로 진행

 

보평역(영화마을 방향)으로 향하는 능선길

 

대대리 갈림길

 

쉼터가 여러군데 조성되어 있다

 

소나무와 참나무 숲길이 예쁘다

 

금어리 갈림길

 

쉼터

 

주북마을 갈림길(금어리터널위)

 

쉼터2

 

완만한 리키다 소나무 숲길

 

영화마을 방향으로

 

여기에서 보평마을 방향으로 갔으나 출구 길이 막혀있어 되돌아 온다

 

보평마을 방향의 크렌시아 빌리지 모습

 

비슷 비스비슷한 클렌시아 빌리지에서 등산로를 막아놓아 되돌아 갈 수 밖에

 

용인선 전철 보평역(용인선은 열차 1냥만 운행된다)

 

항아리 쭈꾸미 식당에서 쭈꾸미 항아리 직화볶음에 들께칼국수로(1인 10,000원)

 

식사를 마치고 귀경

728x90
728x90

08:32경 경강선 곤지암역(양재-판교-곤지암)에 도착한다

 

곤지암역 1번출구로 나와 횡단보도를 건너 곤지암천을 건너는 안개낀 다리를 건너 터미널로 이동한다

 

곤지암터미널에서 09시에 출발하는 추곡리행 37-32번버스편으로 곤지암터미널 출발

 

09:17경 태화산 미역산 들머리인 작은 안나의 집 정류장에 하차하여 산행을 시작한다

 

ㅇ 산행일자 : 2021. 12.11(토) 짙은안개와 잔뜩 흐린 날 2명 (타잔, 박태신과 함께 )

ㅇ 산행코스 : 작은 안나의집 입구-유정리 갈림길-미역산-시어골고개-태화산-정락봉-마구산-정락봉-금어리 갈림길-

                  추곡리 갈림길-대대리갈림길-금어리터널위-보평역

ㅇ 산행기록 : 거리(15.31km), 소요시간(5시간 19분, 09:17~14:36), 평균속도(3.1km/h), 고도(98m~669m)

ㅇ 교통편 : (갈 때) 양재역(신분당선)-판교(경강선)-곤지암역, (올 때) 보평역(용인선)-기흥역(신분당선)-양재역

 

산행기록(트랭글)

광주 미역산-태화산-연지봉-말아가리산-보평역_20211211_091726.gpx
0.24MB

 

작은안나의집 입구에서 사진의 태화산 입구를 지나면 보이는 좌측 포장임도를 따라  오른다

 

봉분있는 묘지 1기의 면적보다 작은 면적에 10여기의 전주이씨 평장 묘지가 묘지가 깔끔하게 되어있다

 

우정리갈림길 이정표를 지난다

 

유정리이정표를 지나면 설치된 전망대크

 

짙은 안개때문이 조망이 어려워 안타깝다

 

미역산으로 오르는 길

 

미역산으로 오르는 안개 자욱한 능선길

 

무명돌탑봉

 

인증

 

인증

 

무명돌탑봉에서 상림방향으로 이어진 능선은 길은 등산로 없다고 되어 있으나 능선길은 희미하게 보인다

 

마역산 인증

 

미역산 인증

 

미역산에서 태화산으로 가는 길

 

미역산을 뒤돌아 보고

 

시어골 고개

 

삼지송 갈림길

 

시어골 쉼터

 

철쭉 군락지 쉼터

 

시어골에서 급경사 오르막으로 오르다가 정상에 이르러 데크계잔으로 따라 오르면 태화산 정상이다

 

인증삿

 

정상 전망대 옆에 서 있는 이정표

 

정상석과 쉼터 정자

 

태화산 유래

 

마구산까지는 1.71km

 

연지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을 따라서

 

헬기장이 있는 연지봉

 

연지봉 인증

 

연지봉 인증

 

연지봉에서 지나 온 태화산 조망

 

정락봉에 서 있는 이정표에서 마구산을 다녀와야 한다

 

마구산 입구

 

용인에서 가장 높은 마구산(말아가리산)

 

인증

 

마구산 유래

 

마구산에서 백마산까지 이어지는 광주알프스(태화산~백마산 구간, 들머리에 따라 20~24km) 능선 조망

 

마구산 정상석 뒷 모습

 

마구산에서 되돌아가야 할 지나 온 정락봉 조망

 

마구산 아래로 내려 다 본 금어리 방향

 

금어리 방향

 

728x90
728x90

728x90
728x90

조각공원 입구

 

입구의 익살스런 조각상

 

입구의 익살스런 조각상

 

가장 멋있는 조각상

 

월곶초등학교옆을 지나면 교회가 보이고

 

몇백년된 노령의 보호수들이 보인다

 

1982년 기준 450년된 느티나무

 

그냥 갈 수 없어서

 

군하리 숲길을 나와서

 

식사

 

맥소 한잔

728x90
728x90

08:00시경 송정역에서 강화행 3000번 버스로 09:00경 김포 성동검문소에 하차하여

보구곶리 방향으로 가다가 성동검문소 정류장을 뒤돌아 본다

 

문수산성 서문앞

 

서문앞 이정표

 

위로 보이는 문수산성 서문을 조망

 

ㅇ 산행일자 : 2021.12. 5(일) 맑은날 4명(월악개, 박태신, 명성, 그리거 타잔)

ㅇ 산행코스 : 성동검문소-문수산성 서문입구-성동저수지-문수산성-유격장-문수사-전망대-정상-홍예문-

                        구름다리-국제조각공원-군하리(월곶면행복지원센타)

ㅇ 산행기록 : 거리(7.44km), 소요시간(3시간 22분(09:00~12:22), 평균속도(2.3km/h), 고도(27m~403m)

ㅇ 교통

     (갈때) 5호선 송정역 1번출구 강화행 3000번-성동검문소 하차

     (올때) 군하리 항누마을 정류장(300번)-송정역

 

산행기록(트랭글)

 

김포_문수산_20211205_085934.gpx
0.12MB

 

성동저수지를 지나고 문수산장을 지나면 해병대 유격장 입구가 가로 막았으나

다행히 유격장 철조망 담장을 따라 등산로가 안내되어 있어 유경장을 통과하여 계곡을 따라 신속히 통과

 

유격장을 지나고 나면 계곡으로 흐르는 물줄기는 간 밤의 추위에 고드름으로 변해 버렸다

 

꽁꽁얼어있는 고드름 무리

 

수북하게 쌓여있는 낙엽을 밟으며 너덜길을 따라 오른다

 

오르명 급경사는 암릉으로 조심스럽게 지그재그로 오른다

 

전망좋은 곳에서 지나 온 계곡을 바라본다

 

문수사에서 말들어 놓은 듯한 이정표가 눈에 들어온다

 

문수사 입구에 도착하지 이정표에는 유격장이 표시되어 있다

 

문수사 해우소는 자물쇄로 잠겨있다

 

비로자나불상이 있다는 문수사 대웅전은 암벽에 자리하고 있다

 

전망대에서 한강 건너편으로 북한 개풍군이 조망된다

 

인증

 

인증

 

인증

 

강화대교 건너 강화도 방향으로 별립산, 고려산, 혈구산, 덕정산, 진강산 마니산까지 조망된다

 

혈구산과 덕정산 사이로 석모도 해명산까지 조망

 

한강하구 조망

 

서쪽을 바라보니 멀리 북한산까지 조망된다

 

인증

 

인증

 

인증

 

인증

 

지나 온 송정저수지가 발 아래로 보이고,  강화대교 건너편으로 강화도 조망

 

북녁땅을 바라본다

 

한강과 임진강이 합수되는 지점좌측은 북한 도수 우측은 애기봉 전망대

 

인증

 

북한땅을 배경으로

 

북한땅을 배경으로

 

서쪽으로 북한산 조망

 

한강이 서해바다와 만나는 지점에서 강화 해협으로 이어지는 물길은 염하강 또는 염하해협이라고도 한다

 

정상 인증

 

정상 인증

 

정상 인증

 

정상 인증

 

정상에서 강화도 조망

 

정상에서 북한땅을 배경으로

 

문수산 정상너머로 초지대교 방향 조망

 

문수산성 성곽길을 따라서

 

횽예문을 통과한다

 

문수산성길

 

김포대학교옆 구름다리를 지나 국제조각공원길로 들어와 조각공원 입구

 

728x90
728x90

부부공동명의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기준과 절세 .. : 네이버블로그 (naver.com)

 

부부공동명의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기준과 절세 방법

부부공동명의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기준과 절세 방법 새로이 신설된 부부 공동명의 과세특례 신청 기간이 ...

blog.naver.com

 

부부공동명의 종부세

종합부동산세 기준과 절세 방법

 

새로이 신설된 부부 공동명의 과세특례 신청 기간이 다가 왔습니다.

부부공동명의 과세 특례 법령의 내용은 부부 공동명의로 보유중인 1주택 세대에 대해서

ㅇ 부부 공동명의 1주택 과세 특례 신청을 하게 되면

공동명의인 상태, 1/2씩 보유한 걸로 보지 않고 합쳐서 1주택을 보유한 것으로 보아

종합부동산세 기본공제 11억(1세대 1주택자, 기존 +3억 추가 공제한 금액인 9억에 이어 11억 원으로 상향 됨)원을 공제해 주게 됩니다.

근데 공동명의인 주택은 1인 6억 씩, 합 12억(6억 + 6억)을 받을 수 있는데, 과연 과세 특례 신청으로 종부세 기본공제 11억을 받는다고 절세가 될지? 궁금해 하실 분들이 계실텐데요.

오늘 제가 부부 공동명의로 1주택을 보유중인 세대가 과세 특례 신청을 해야 하는지? 종부세 절세 효과를 볼 수 있는지? 그 기준을 세워 드리겠습니다.

부부 공동명의 종부세 계산

(Ex). 공시가격 21억 주택을
A 부부가 공동명의로 보유
보유기간 11년, 연령 66세

 

예를 들어 위와 같이 공시가격 21억 주택을 11년 보유, 부부 공동명의로 보유하고 있다고 가정해 봅시다.

우선 공동명의니 부부 각각 주택의 지분을 1/2씩 보유하고 있어서 종부세 부과 시점에서는

1세대 2주택이라 1세대 1주택 공제 혜택은 못 받고요. 기본공제를 6억 씩 받을 수 있습니다.

10억 5,000만 - 종부세 기본공제 6억 = 4억 5,000만

4억 5,000만 X 공정비율 95% = 4억 2,750만

4억 2,750만 X 세율 0.8% - 누진공제 60만 = 282만

종부세 282만 원 * 2명 =564만원

(재산세 중복과표, 세부담상한, 농어촌특별세를 제외한 단순계산)

1인 종부세 282만 원씩, 합 564만 원(282 X 2)이 나오네요.

이번에는 부부 공동명의 과세 특례를 신청했다는 가정하에 위의 사례 주택 종부세를 계산해보겠습니다.

21억 - 종부세 기본공제 11억 = 10억

10억 X 공정비율 95% = 9억 5,000만

9억 5,000만 X 1.2% - 누진공제 300만 = 840만 원

840만 - 보유, 연령공제 70% = 252만 원

종부세 252만 원

(재산세 중복과표, 세부담상한, 농어촌특별세를 제외한 단순계산)

 

부부 공동명의 1주택 과세 특례를 신청했다는 가정하에 종부세를 계산하니 252만 원이 나오네요.

특례 신청으로 1인에게 종부세를 부과했으니 특례 신청을 안 한 사례보다

신청한 사례가 2배 가량 종부세를 절세할 수 있네요.

 

부부 공동명의 과세 특례 신청해야 될까?

결론

공시가격이 12억(13억 ~ 14억 정도?)에 근접하거나 공시가격은 높은데 보유기간, 연령별 공제를 적용받지 못 하는 부부 공동명의 1주택 세대는 과세 특례 신청을 안

하는 게 낫고, 공시가격이 높고 보유기간, 연령별 공제를 일부 적용 받을 수 있는 부부 공동명의 1주택 세대는 과세 특례 신청을 하는 게 절세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역시 제일 정확하게 절세가 되는지? 안 되는지? 알 수 있는 방법은 종부세 계산기를 돌려서 직접 계산해 보는 방법밖엔 없으니 참고만 하시길 바랍니다.

종부세 계산기 사용 방법에 대한 포스팅은 아래에 올렸으니 한 번 돌려 보세요.

다 주택자 종부세 계산 사례

종부세가 부과되는 12월이 이제 얼마 남지 않았습니다. 종부세가 부과되기 전, 다주택자는 종부세를 어떻게...

m.blog.naver.com

-----------------------------------------------------------------------------------------

 

종합부동산세

- 2005년 6월부터 시행

- 과세기준일(매년 6월 1일)

- 납부기간(12월 1일~12월 15일)

 

- 인별로 합산(공시가격 합계액)

  공동명의 기본공제: 인별 6억원 (부부 합산 12억원)

  단독명의 기본공제: 1세대 1주택자는 11억원 공제 (2021.8.25 종부세법 개정)

 

모의 세금 계산으로 공동명의와 단독명의, 무엇이 더 세금이 절약되는지 알아보자.

종합부동산세 부부공동명의 1주택 특례는

1주택을 부부공동명의로 소유하고 있으면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없어

12억원 초과하는 주택의 경우 단독명의로 변경해서 종부세 납부할 수 있게 해주는 제도입니다.

 

아래의 세액공제되는 부분을 참고하여 절세에 무리한 쪽으로 선택하시면 됩니다.

단독명의변경은 매년 9월16일~30일이며 관할 세무서에서 하시면 됩니다.

 

장기 보유를 해야 부부 1주택이 유리하네요.

고령이나 엄청나게 오래 보유할때 혜택이 커진다고 볼 수 있습니다.

젊은 층에게는 큰 도움이 되지 않아 보입니다.

 

 

국세청홈텍스에 들어가서 오른쪽 빨간줄의 세금모의계산을 누릅니다.

 

종합 부동산세 간이세액계산에서 2021년 간이세액계산을 누릅니다.

 

주택부분 외에도 토지도 가능하네요.

주택의 계산하기를 누릅니다.

공시가격을 조회하고 조정대상지역인지 아닌지를 확인합니다.

재산세 감면여부를 확인하면 나오네요.

대략적인 비교를 위해 모의로 진행했습니다.

 

 

이렇게 자세히 재산세 간이세엑계산을 할 수 있다는게 좋네요.

각자 자신의 주택 상황에 맞게 계산기를 두드려 보아요.

 

 

이렇게 부부 공동명의일때도 계산을 할 수 있어서 비교해서 계산해보고 세금을 덜 내는 쪽으로 결정하면 되겠습니다.

 

이렇게 비교해보면 더 쉽게 결정할 수 있을 것 같습니다.

종합부동산세 부부공동명의 1주택 특례 과연 세금 절약될까?

 

 

728x90
728x90

능선 오른쪽으로는 관음봉과 사향산이 함께한다

 

관음봉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암릉이 자주 등장한다

 

커다란 바위는 우회하기도 하고

 

쪼개진 바위는 그 틈 사이를 통과한다

 

바위에 뿌리를 내린 참나무 한그루는 바위와 사투끝에 바위는 부서지고 참나무는 기어이 사망했구나

 

급경사 암릉 정상을 돌고 돌아 올라서니 관모봉 정상이다

 

관모봉 정상은 폐 군시설지 끝에 표시되어 있을 뿐

 

버려진 초소

 

지하 로 이어지는 환기구인가?

 

정상 이정표

 

지하통로를 바라보다가 들어가 보기로 한다

 

부서진 문으로 드렁가니 침상이 그대로인 군 내무반이다

 

조금 손만 보면 금방이라도 사용이 가능할 것 같은 내무반으로

그동안 얼마나 많은 병사들이 이곳에서 전우들과 동고동락했을까?

 

관모봉에서 북쪽으로 이어진 능선을 따라가면 보이는 이정표에서 파주골 방향으로

 

풍혈산 인증

 

풍혈산 인증

 

누군가 매달아 놓은 풍혈산 석판이 나무가지에 메달려 있다

 

풍혈산에서 삼산으로 이어지는 능선길

 

쌓인 낙엽으로 푹신한 능선을 걷고 또 걷는다

 

관모봉부터는 즐비라게 자리한 군시설을 피해 내려가다 보니 드디어 삼산도착

 

삼산 인증

 

선답자가 메달아 놓은 삼산 표식

 

관모봉부터는 코고 작은 벙커와 벙커사이를 연결하는 교통호들로 이루어져 있는 군사지역

 

폐 타이어 계단을 따라 내려온다

 

산자락끝으로는 영평천이 흐르고 영평천위를 지나는 삼산대교로 올라서면서 산행은 끝이난다

 

삼산대교를 지나면 자리한 맛집 항아리 칼국수집에서 해물칼국수로 식사를 마치고

 

버스정류장이 있는 아리짬봉집앞까지 잠시 걸어간다

 

아리짬봉집 앞 버스정류장에서 1386번 버스로 귀경

728x90
728x90

아침 7시경 도봉산역 환승센타에서 1386번 직행버스에 탑승하여 08:05분경 포천 만세교삼거리에서 하차한다

 

만세교 삼거리에서 금용사 입구까지 걷는데 새벽기온이 무척 차가워 손과 귀가 시려온다

 

ㅇ 산행일자 : 2021. 11.28(일), 맑은 날 명성과 둘이서

ㅇ 산행코스 : 만세교삼거리-금룡사 입구- 금룡사-미륵전-금주산-촛대봉-희망봉-곰넘어봉-

                        폐광지-관모봉-풍혈산-삼산-삼산대교

ㅇ 산행기록 : 거리(16.74km), 소요시간(7시간 40분, 08:35~15:50), 평균속도(2.3km/h), 고도(94m~623m)

ㅇ 교통편 : (갈때) 도봉산역 환승센타(포천교통 1386번 직행)-만세교삼거리 하차

                     (올때) 성동5리 정류장(1386번)-도봉산역 환승센터

 

산행기록(트랭글)

포천 금주산-촛대봉-희망봉-곰너머봉-관모봉-풍월산-삼산_20211128_080633.gpx
0.27MB

 

금주산 금룡사 입구에 도착

 

금룡사 입구에 있는 금주산 안내도

 

금룡사 유래

 

금룡사에서 미륵전으로 으로는 돌계단

 

미륵전으로 오르는 돌계단에서 금룡사의 모습을 뒤돌아 본다

 

계단을 따라 오르면 바위절벽에 자리한 금룡사 미륵전과 미륵 불상이 우뚝 서 있다

 

미륵전 전경

 

미륵전 앞에 자리한 금룡사 유래 안내문

 

미륵전앞

 

미륵전 앞에서 바라보면 보개산에서 종자산으로 이어지는 보개능선이 아스라히 조망된다

 

미를전 뒤의 미륵불상이 옆의 바위벽에 암벽감실을 만들어 각양각색 형상의 불상들이 안치되어 있다

 

각약각색의 불상들

 

발 아래를 굽어보고 있는 미륵불

 

미륵불

 

미륵불 바로 뒤에는 금주산 이정표가 있고

 

그 옆으로는 바위로 오르는 밧줄이 늘어져 있다

 

밧줄을 잡고 올라 전망좋은 곳에 이르니 우리가 가야할 관모봉까지의 능선이 한 눈에 들어 온다

 

관모봉으로 이어지는 능선뒤로는 관음봉과 명성산이 오른쪽으로는 각흘산이 조망된다

 

왼쪽으로는 불무산과 그 뒤로 보개능선까지 조망된다

오른쪽으로는 희망봉 너머로 한북정맥 국망봉 주변이 조망된다

 

금주산 정상 도착

 

정상 인증

 

정상석 옆에 자리한 이정표에는 관모봉까지 9.8km

 

금주산 정상에서 포천시내를 바라보니 그 뒤로 왕방산과 국사봉을 지나 소요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이 조망된다

 

 

소요산 너머로는 파주 감악산까지 조망된다

 

남쪽으로는 도봉산이 구름위로 고개를 내밀고 있다

 

먼산 바라기

 

금주산을 지나 촛대봉가는 길목 전망대에서 동쪽을 바라보니 한북정맥 원통산과 운악산이 구름에 갇혀있다

 

촛대봉

 

촛대봉 인증

 

촛대봉 표지석

 

희망봉으로 이어지는 능선길에는 푹신푹신한 낙엽이 수북하게 쌓여있다

 

일동 갈림길

 

희망봉에서

 

희망봉에서

 

헬기장 일동 갈림길

 

헬기장에서

 

곰넘어봉으로 표시되어 있으나 지도상에는 다음의 봉우리가 곰넘어봉으로 되어있다

 

곰넘어봉

 

선답자가 메달아 놓은 곰넘어봉 표식

 

지도상 표시된 곰넘어봉 위치에서

 

지도상 곰넘어봉에서

 

곰넘어봉에서 관모봉까지는 길게 이어지는 능선을 따라 폐광지를 지나 걷다보면 관모봉이 보인다

 

금주산까지 7938m라니 이정표 거리가 불일치

 

지난 가을 갑작스런 한파 영향인지 낙엽이 채 들기도 전에 말라버린 단풍나무가 애처롭다

 

728x90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