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무더운 여름날 청우산에서 대금산까지 2010. 7. 31. 토요일. 무덥고 흐린 날씨 오늘 산행지는 경기 가평의 청우산에서 대금산까지 아침 7시경 청량리 버스환승센터에서 바위님과 합류 아침 7:15. 현등사행 1330-44번 좌석버스에 오른다 버스이동 경로를 보니 버스에서 한참은 자도 되겠다 버스는 마석-대성리-청평을 지나 현리방향으로 좌회전 도로 좌측으로 흐르는 조종천에는 피서객들로 붐빈다 버스가 조종천 다리를 건넌 후 광성교회에서 하차 버스에서 내리자 찌는 듯한 무더위가 온 몸을 휘감는다 우리는 조가터를 따라 청우산으로 오르는 코스를 선택 조가터교를 지나자 계곡에는 피서객 물놀이가 시작되고 산 중턱은 이미 깎인 채 전원주택지 개발이 한창이다 조가터 마을을 지나자 전원주택지 공사장으로 막혀 있다 등산로가 보이질 않아 일단 산 능선으로 오르기로 한다 무성한 잣나무 숲속으로 들어서니 잣나무 향이 신선하다 등산로는 없으나 잣나무 숲 속은 탁 틔여 쉽게 오를수 있다 10여분 후 능선에 다다르니 등산로가 시원스럽게 이어진다 등산로는 잣나무와 참나무가 하늘을 가린 숲 길로 이어진다 넓은 능선길에 도착하니 노랗게 자란 영지버섯이 신비스럽다 우리는 오르막 넓은 등산로를 느린 걸음으로 오르기 시작한다 등산로 주변 낙엽사이로는 수많은 버섯들의 향연이 펼쳐진다 우산 모양의 희고 노란 버섯들, 노른자 같이 둥근 노란버섯들 동화책에서 삽화로 나오던 그런 둥그런 초가집 모양의 버섯들 바위님은 온갖 버섯들을 카메라에 담느라 온통 정신이 팔려 있다 느릿느릿 봉우리를 하나씩 오르다 보니 11:00경 청우산 정상 정상에는 깃대봉 하나와 화강석 표지석이 외로이 서 있다 청우산까지 오르는 동안 산행객은 단 1명 밖에 볼 수 없었다 정상석 옆으로 헬기장이 있으나 헬기가 내릴 수 있을련지 청우산에서 대금산으로 이어지는 능선은 내리막부터 시작 내리막길이 계속되어 길을 잘 못 들지 않았나 의심도 된다 한없이 내려오던 등산로는 이제 방화로 숲 속으로 이어진다 방화로는 풀들이 사람의 키를 넘을 정도로 무성히 자라있다 키보다 큰 풀섶을 헤치며 등산로를 찾아기가 무척 힘들다 풀잎 이슬로 옷이 흠뻑 젖어버려 걷기 조차 힘이 든다 그러나 풀 섶을 헤치며 하는 등산도 짜릿함이 느껴진다 방화로 숲을 헤쳐 한봉우리를 지나면 또 한봉우리가 나타난다 스틱으로 풀 섶을 헤치다 보면 살모사가 웅크리고 앉아 있다 살모사가 자리를 뜰 때까지 기다렸다 산행을 진행하기를 몇 번 처음은 소름이 끼쳤으나, 자리를 뜰 때까지 기다리는 여유.. 숲 섶아래 등산로는 짐승들이 파헤친 자국들이 수두룩하다 불기산 갈림길부터는 산모퉁이를 돌며 임도가 잘 정돈되어 있다 우리는 임도를 벗어나 방화로길로 힘겹게 두 봉으리를 넘는다 넘을 때마다 임도는 만나곤 하여 세 번째는 임도를 따라 진행 임도를 따라 가다보니 좌측으로 대금산 오르는 등산로가 나온다 등산로 옆으로 차가운 물줄기가 졸졸 흐르는 작은 계곡에 쉼터 오후 1시가 되어 쉼터에서 허기진 배를 채우고자 요기를 한다 점심을 먹고 대금산으로 오르는 급경사 오르막을 따라 오른다 30여분지나 능선에 오르자 다시 숲으로 무성한 방화로 등산길 방화로 위로는 정상이 보였지만 경사가 무척 급하게 이어진다 산행객 한 사람이 대금산 정상에서 뛰는 듯이 내려 온다. 둘이만 산행하다가 모처럼 보는 산행객이 무척 반갑게 느껴진다 오후 3시경 대금산 정상에 도착하여 보니 조망이 시원스럽다 동쪽으로는 청우산에서 대금산까지의 산줄기가 희미하게 이어지고 서쪽으로는 깃대봉과 매봉 너머로 연인산이 희미하게 조망된다 정상에는 윗두밀에서 올라온 산행객 한사람이 바위에서 쉬고 있다 남쪽의 바위에 오르니 앞이 탁 틔여 불어오는 바람이 시원하다 우리는 대금산 정상에서 윗두밀 방향으로 하산하기 시작한다 등산로 오른쪽은 두밀리가 절벽아래로 한가롭게 자리하고 있다 넓은 바위와 소나무 군락지에 이르자 불어오는 바람이 시원하다 오후 3시경이 되어서야 윗두밀에 도착하여 산행을 종료한다 <타잔..바위 번개산행>
      728x90
      728x90

       

      ▼경춘선 하행선 시간표(청량리역→가평역) 

       

       

       

      ▼경춘선 하행선 시간표(성북역→가평역) 

       

      ▼경춘선 상행선(가평역→성북역) 

       

       

      ▼경춘선 가평 군내버스 시간표 

      728x90
      728x90

       

       

      [내집마련] 전원주택지 물색하기

       

      아파트 애물단지 시대가 계속되는 가운데 전원주택지를 알아보러 다니는 분이 늘고 있다.

      전원주택지는 전원생활을 꿈꾸는 분들의 땅으로서 기본 바탕이다. 바탕화면이다. 아주 중요하다. 기본이다. 그렇지만 자칫 잘못하다간 유령도시에서 유령과 함께 전원생활을 할 수 있어 주의에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전원주택지 물색을 잘 해야한다. 구체적으로 말이다.

      관리지역과 농림지역의 전, 답이나 임야를 사서 농지전용이 가능한지를 알아봐야 한다. 관리지역 주위가 농림지역으로 둘러싸여 있다면 주택지로 전용하기 힘들다. 농업진흥구역이나 보전임지도 주택지로의 전용허가가 나기 힘드니 시, 군청에 들러 자세히 알아보자. 또 부지가 4미터 이상의 도로와 붙어 있는지 알아봐야 한다.

      전용허가를 받기 위해서는 매매계약서(토지영구사용승낙서 포함)를 해당 농지관리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허가권이 있는 단체장에게 통보된 후, 허가의 가부가 결정된다. 허가가 나왔다면 농지조성비, 전용부담금 납입고지서가 발부된다. 통지서에 나온 납입금을 농협 등에 납부하고 영수증을 시장이나 군수에게 제시하면 허가증이 나온다.

      땅 사기 전에 현장을 직접 방문해 용도지역과 진입도로와 인접도로 등 도로현황을 살피고 건축 가능 여부와 각종 제한(규제) 사항들을 점검해야 한다. 또한 지상권(물권의 한 가지로, 남의 땅에서 공작물이나 수목 따위를 소유하기 위해 그 땅을 사용하는 권리) 등 용익물권이 설정되어 있는지도 잘 살펴야 한다. 땅을 소유했다 하더라도 지상권이 설정되어 있으면 20년 동안 그 땅 위를 이용할 수 없으므로 재산권을 행사를 할 수 없다.

       

      □ 공시지가와 시가 등도 알아두라.

       

      내 땅을 다른 용도로 이용하고자 할 때는, 전용허가를 받아야 한다. 전용절차는 도시계획구역일 경우는 시, 군, 구청장에게,

      도시계획구역이 아닌 농지의 경우는 농지 소재지의 농지관리위원회에 농업경영계획서를 제출해 농지취득증명서를 발급 받아야 한다. 규모별로 시장이나 도지사, 농림부장관으로부터 전용허가를 받으면 사업이나 기타 건축이 가능하다.

       

      전용비용(2008기준)

      농지조성비 - 경지정리가 안 된 전답은 제곱미터당 3,600원

      전용부담금 - 공시지가의 20%

      임야의 경우, 대체조림비가 제곱미터당 883원, 산림전용부담금으로 공시지가의 20%가 소요된다.

       

      * 그린벨트 싸게 사서 전원주택 짓기 -

       

      그린벨트 내의 취락지구에는 4층 이하의 연립주택 신축이 가능하다.

      건교부(지금의 국토부)는 난개발 방지를 위해 그린벨트 내에서는 단독주택만 허용했다(2002).

      결국, 그린벨트도 잘 알아보고 미래성이 있으면 건축이 가능하다는 말이다.

      그렇지만 미래가 없다면 가치가 없으므로 무턱대고 구입하지 말고 입지조건과 건축 용도와 허용범위 등을 세밀히 따져야 할 것이다.

       

      □ 전원주택 선정 방법

       

      전원주택은 전원(도시의 郊外)에 기초한 주택이다. 전원주택을 지을 땅은 생땅(生地)과 다르지만, 법령이 정한 까다로운 절차는 없다. 그렇다고 아무 곳에 지을 수 없는 노릇이다. 전원주택을 지을 곳이 대지라면 전용허가, 형질변경 등의 인허가 절차가 필요 없기 때문에 비교적 수월하다. 농림지역의 토지보다 구입이 쉬워 발품만 잘 팔면 좋은 가격에 매입할 수 있다.(경기 광주의 경우, 토지거래허가구역 외 지역인 경우, 대지가 평당 6,70만원 선에 거래되고 있다. 도시지역 내 자연녹지)

      농가가 딸린 대지인 경우는 1가구 2주택이 적용되니 읍면동사무소에 건축멸실 신고를 해 철거명령을 받도록 한다.

      대지 구입 시, 토지소유주와 건물소유주의 일치 여부도 확인 대상이다. 건물소유주가 별도로 있다면 땅을 소유하더라도 집을 짓기가 힘들다. 또 500제곱미터를 초과하면 시, 군청의 허가를 받아야 한다.

      ㅇ 관리지역의 임야나 전, 답을 대지로 형질변경 할 수도 있다.

       

      지역설정과 면적선정은 선택의 여지가 많지만, 부지 구입 등에 따르는 제반절차와 전용허가 등 인허가 받는 절차를 밟는 동안 많은 비용과 시간이 소요된다.

      주변 풍광에 일시 혹하지 말고 인근 마을과의 접근성과 각종 편의시설 등 생활여건을 고려한 입지선택을 하기 바란다.

       

      ㅇ 택지를 분양받는 것도 가능하다.

       

      택지는 한국토지주택공사나 지방자치단체에서 개발한 필지를 분양 받을 수 있어 안전한 방법이긴 하지만, 가격이 만만치 않아 부담이 크겠다. 택지분양도 대지로 바뀌기 전엔 명의변경이 되지 않은 상태라 필히 대지로 지목변경이 된 필지인지 확인해야 한다.

       

      ㅇ 농가를 구입해 개조할 수도 있다.

       

      전남이나 강원지역 농촌에는 빈집이 의외로 많다. 대부분 농가다. 싼 값에 구입해 개조할 수 있다. 농가는 대지이기 때문에 전원주택 짓기가 수월하다. 형질변경 등 인허가 비용이 안 든다. 별다른 주의사항은 없지만, 토지소유주와 실제 명의자가 동일인인지 확인해야 한다. 특히, 젊은이들이 도심으로 많이 빠져 나간 강원 오지나 전남 오지에 빈집, 농가가 많이 포진해 있으니 발품을 팔면서 잘 알아보면 상상을 초월하는 싼 가격에도 구입할 수 있다.

      건물 값을 뺀 아주 저렴한 땅값만 지불하면 그만이다. 어느 곳은 주민(대부분 노인)들이 대환영, 지원(지자체에서 지원하는 곳도 있음)을 해주는 곳도 있으니 발품을 열심히 팔기 바란다.

       

      ㅇ 그린벨트를 싸게 매입해 움직여 볼 수도 있다.

       

      도시계획구역 내에 있는 주거 여건이 뛰어난 그린벨트는 자연환경이 뛰어나 친환경적이라 할 수 있다. 한 차례에 한하여 기존 건축물을 증축 또는 개축할 수 있다. 구옥을 구입해 증축 또는 개축하거나 이축권(移築權-주택의 주변환경이 안 좋아지면서 타 지역으로 이전할 수 있는 권리)을 구입할 수도 있다. 낡은 주택을 구입해 철거할 수 있고 증축이나 개축할 수도 있다.

      그린벨트 지정 이전부터 살고 있는 원주민은 기존 주택을 3층 이하에 건물 연면적 300제곱미터까지 증축 또는 개축이 가능하고, 300제곱미터 중에 100제곱미터는 분할등기(구분)도 가능하다. 5년 이상 거주한 주민은 230제곱미터까지 주택을 지을 수 있다.

      이와 달리, 그린벨트를 매입해 처음 집을 지으려는 사람은, 기존주택을 구입했을 경우 200제곱미터까지 집을 지을 수 있다.

       

      * 이축권 구입해 주택 짓기

       

      □ 이축권의 대상

       

      1. 도로개설 등 공공개발사업에 따라 철거해야 하거나 자연재해로 이전이 불가피한 경우

       

      2. 그린벨트 지정 전에 땅을 임대해 주택을 지었으나 땅 소유주의 재계약 거부로 집을 이전해야 할 경우

       

      이 경우, 이축 전에 구입해 원주민 이름으로 증, 개축하거나 이축한 후 본인 명의로 소유권을 이전해 주택을 소유할 수 있다.

       

      **시행업체가 부지를 매입한 후 전용허가를 받아 필지별로 분양하는 경우도 있다.

       

      인허가 과정은 끝난 상태다.

       

      기본 편의시설 및 도로시설도 갖추어져 있어 거주가 수월하나, 가격이 비싼 게 좀 흠이다.

       

      완공 후 세대별 분양등기 여부, 토지소유권 이전 가능시기, 전용면적과 공유면적의 구성, 소유권 관계는 기본적으로 확인해야 한다.

      □ 전원주택의 설계 및 건축 비용

       

      설계를 의뢰할 때 정확한 대지의 위치와 면적, 토지이용계획확인원, 토지대장이나 임야대장, 현장사진 등을 준비한다.

       

      절차를 줄이기 위한 기본적인 노력이다. 설계비용은 평균적으로 평당 15~20만원 정도로 책정한다.

       

      10만원 미만인 경우도 있는데, 건축사가 직접 돌아다니면서 공격적으로 영업하는 경우다. 설계기간은 보통 7일 정도로 잡는다.

       

      설계도면이 완성되면 건축허가 신청에 들어간다.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를 이용하면 가격이 저렴하고 편리하다(시간적, 경제적 부담을 줄이기 위해 농어촌진흥공사<농업기반공사>에서 미리 준비해 둔 설계도가 '농어촌주택 표준설계도'이다)

       

      이 설계도를 이용하면 83제곱미터 기준으로 설계비는 370만원, 건축공사비는 최고 12%까지 절감할 수 있다. 건축허가 기간은 단독주택은 3일, 기타 건축물은 40일 정도 걸린다. 표준설계도는 시, 군, 구청이나 농어촌진흥공사 지사 및 군 지사에서 구입할 수 있다. 복사비만 주면 되고 열람도 가능하다. 이 설계도를 사용하면, 소요되는 건축자재의 수량 확인이 가능하고 감리비도 절반 정도로 줄일 수 있다.

       

      눈높이를 낮춘 상태에서 전원주택 건축에 소요되는 비용을 최소비용으로 따져보자.

       

      땅은 20만원 안팎의 거품이 안 들어간 가격으로 매입하라

      만약 330제곱미터를 20만원에 매입한다면, 2,000만원이 소요된다.

      건축면적을 약66제곱미터로 잡고 건축비를 평당 300만원으로 계산하면 6,000만원 정도 들겠다.

      이외에 인허가에 드는 잡비도 2,000만원 정도로 잡아야 한다.

      이렇게 계산하면 총 투자액이 대략 1억원이 된다.

      하지만 잘 수소문해보면 아주 저렴한 땅도 많이 만날 수 있다.

      □ 문제는 접근성.

       

      전원주택지는 접근성이 뛰어나야 하기 때문에 도로상황이 매우 중요하다.

      건축에 관한 허가사항이 까다롭지 않아야 하기에 접근성이나 도로현황을 보는 것이다. 농림지역 내의 땅이나 관리지역 내의 임야를 선택해 움직여봐라.

       

      전원주택의 종류로는 단독형 전원주택, 별장형 전원주택, 단지형 전원주택, 동호형 전원주택으로 나눌 수 있다.

       

      별장형은 자가식과 임대식으로 또 나뉜다.

      단지형은 회원의 회비로 조성된다. 단지형은 각종 편의시설이 들어서서 전원생활의 고립감으로부터 벗어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동호형식은 직업과 취미 등이 같은 사람들을 공개적으로 모집하는 형태로, 택지와 함께 분양하는 단지형과 구분된다.

       

      단지형 전원주택에 투자할 때는 시공, 시행업체의 자금력을 주의 깊게 알아봐야 한다. 100% 입주자의 분양대금으로 시행한다면 대단히 위험하다. 지주와 시공사가 불일치하는 경우도 있어 잘 살피자.

      33제곱미터 규모의 소형 전원주택은 인허가가 덜 까다롭고 세금 부담도 적다.

       

      □ 단지형 전원주택 부지 분양 시 주의사항

       

      단지형 전원주택 부지는 민간업체가 인허가는 물론 기초적인 기반시설까지 조성해 일반인에게 분양하는 택지라 실수요자는 분양 받은 후 즉시 전원주택을 지을 수 있다. 하지만 주의사항도 만만치 않게 나타나 있다. 분양대금을 받아 개발 등에 필요한 비용을 충당하는 개발업자들이 있기 때문.

       

      1. 단지형 전원주택 부지를 고를 땐 분양가격을 상세히 알아봐야 한다.

      땅값에 인허가 대행비용과 개발업체 이윤 등이 추가돼서 인근의 맨땅 보다는 30% 정도 더 비싸다.

      분양가가 이보다 더 비싸다면 투자 매력이 떨어진다.

       

      2. 토목공사가 완료된 곳을 고르는 게 좋다.

      산림훼손이나 농지전용허가가 난 땅이어야 한다. 허가받지 않은 평지에 필지경계 석축만 쌓아 놓고 쪼개 파는 땅은 피하라.

       

      3. 필지 확정분할이 난 부지인지 알아봐라.

      가분할도만 그려놓은 땅은 노우! 접근금지다. 지적도를 통해 알아봐라. 확정분할이 났더라도 도로용 부지가 분할되지 않은 상태라면 역시 노우!

       

      4. 분양계약서보다 토지매매계약서를 작성해야 한다.

      완공된 단지형 전원주택을 분양받을 때, 땅 주인, 건축주, 시공사, 분양업체가 모두 다르면 소유권 이전에 문제가 발생할 우려가 크다. 땅 주인이 따로 있는 상태에서 개발업체와 분양계약서만 썼다가는 큰 낭패를 겪는다.

       

      5. 토지거래허가구역 내서는 단지형 전원주택 부지의 분양을 피해야 한다.

      다른 사람의 명의로 허가받은 땅을 본인 명의로 바꾸는 행위는 불법이다. 개발허가를 받은 단지형 전원주택 부지를 분양 받을 때는 최초 허가서류를 직접 확인하고, 시, 군청에 자신의 건축계획이 기존 허가조건에 합당한지를 알아봐야 한다.

      6. 추가비용에 신경 써야 한다.

      땅을 분양받고 전원주택을 지을 때 암반 등이 발견되면 공사비부담이 추가로 발생하게 된다. 계약 시에 계약서에 단서조항을 넣어 손해배상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

       

      7. 분양업자가 단지를 조성해 분양하는 곳은 근저당, 가압류, 가등기, 가처분 등 권리제한이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

       

      728x90
      728x90

      양평시외버스터미널 시간표홈페이지

      양평시외버스터미널   경기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 484-2 [Tel:031)772-2341]  홈페이지바로가기
      동서울 부천 상봉 서울 서울남부 성남 센트럴 여주 의정부 인천 원주 화천 강릉 속초 동해 삼척 춘천 양양 충주 공주 서산 청주 천안 유성 제천 목포 광양 광주 군산 전주 정읍 여수 완도 해남 상주 포항 동대구 전주 서대구 구미 김천 경주 부산 창원 마산 동부산 울산 서부산 진주 김해 가평 청평 현리 고양 안산 안성 안양 양평 용문 오산 용인 이천 강화 문산 광탄 적성 금촌 평택 운천 ,시외버스 노선 행선지 배차간격 거리(Km) 운임 소요시간 주요경유지 직행 통근 심야 요금 목적지 출발 소요시간 도착 예약

      시외터미널 주소(전화번호) 홈페이지바로가기
      서울,경기지역    
      서울남부터미널  서울 서초구 서초동 1446-1 [Tel:02)521-8550]  홈페이지바로가기
      서울상봉터미널 서울 중랑구 상봉2동 83-1 [Tel:02)435-2122]  홈페이지바로가기
      인천시외버스터미널  인천 남구 관교동 15 [Tel:032)430-7114]  홈페이지바로가기
      광명시외버스터미널  경기 광명시 일직동 267-21 [Tel:02)898-6897]  홈페이지바로가기
      고양시외버스터미널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974 [Tel:031)978-8881]  홈페이지바로가기
      운천시외버스터미널  경기 포천시 영북면 운천리 510 [Tel:031)532-5217]  홈페이지바로가기
      부천시외버스터미널(공용)  경기 부천시 원미구 중동 1151 [Tel:032)325-8212]  홈페이지바로가기
      광주시외버스터미널   경기 광주시 경안동 30 [Tel:031)765-2625]  홈페이지바로가기
      포천시외버스터미널   경기 포천시 신읍동 43 [Tel:031)532-5217]  홈페이지바로가기
      송탄공용버스터미널   경기 평택시 지산동 770-6 [Tel:031)662-5330]  홈페이지바로가기
      광탄터미널(신성교통)   경기 파주시 광탄면 신산2리 575-20 [Tel:031)947-8241]  홈페이지바로가기
      적성버스공용터미널  경기 파주시 적성면 마지리 63 [Tel:031)959-4188]  홈페이지바로가기
      금촌탄현버스터미널  경기 파주시 금촌동 361-3 [Tel:031)349-6541]  홈페이지바로가기
      금촌서부터미널(평안) 경기 파주시 금촌동 360-3 [Tel:031)943-7315]  홈페이지바로가기
      이천시외버스터미널 경기 이천시 중리동 219-1 [Tel:031)635-5831]  홈페이지바로가기
      오산시외버스터미널   경기 오산시 오산동 881-1 [Tel:031)373-3355]  홈페이지바로가기
      여주시외버스터미널(종합)   경기 여주군 여주읍 홍문리 269-4 [Tel:031)882-6202]  홈페이지바로가기
      양평시외버스터미널   경기 양평군 양평읍 공흥리 484-2 [Tel:031)772-2341]  홈페이지바로가기
      안성시외버스터미널(공용)  경기 안성시 서인동 344 [Tel:031)675-2175]  홈페이지바로가기
      안산종합여객자동차터미널  경기 안산시 상록구 성포동 590 [Tel:031)403-8251]  홈페이지바로가기
      동두천시외버스터미널   경기 동두천시 생연동 657 [Tel:031)865-2901]  홈페이지바로가기
      가평시외버스터미널   경기 가평군 가평읍 대곡리 168-9 [Tel:031)582-2308]  홈페이지바로가기
      수원시외버스터미널  경기 수원시 팔달구 매산로1가 23 [Tel:031)251-1861]  홈페이지바로가기
      서수원시외버스터미널    홈페이지바로가기
      화정시외버스터미널  경기 고양시 덕양구 화정동 974 [Tel:031)978-8881]  홈페이지바로가기
      용인시외버스정류장(공용) 경기 용인시 김량장동 23-1 [Tel:031)338-3181]  홈페이지바로가기
      평택시외버스터미널(공용)  경기 평택시 평택동 185-245 [Tel:031)600-2665]  홈페이지바로가기
      파주문산시외버스터미널 경기 파주시 문산읍 문산리 17-122 [Tel:031)952-2657]  홈페이지바로가기
      성남버스종합터미널  경기 성남시 중원구 성남동 24-7 [Tel:031)704-2186]  홈페이지바로가기
      의정부시외버스터미널(공용) 경기 의정부시 금오동 369-5 [Tel:031)844-1374]  홈페이지바로가기
      강원지역    
      원주 시외버스터미널  강원 원주시 우산동 87 [Tel:033)746-5223]  홈페이지바로가기
      속초시외버스터미널   강원 속초시 동명동 261-16 [Tel:033)633-2328] 홈페이지바로가기
      양구시외버스터미널  강원 양구군 양구읍 상리 327-2 [Tel:033)481-3456]  홈페이지바로가기
      춘천시외버스터미널  강원 춘천시 온의동 511 [Tel:033)241-0285] 홈페이지바로가기
      고성간성시외버스터미널   강원 고성군 간성읍 신안리 28 [Tel:033)681-2233]  홈페이지바로가기
      동해시외버스터미널  강원 동해시 천곡동 485-10 [Tel:033)533-2020]  홈페이지바로가기
      횡성시외버스터미널  강원 횡성군 횡성읍 읍하리 419-1 [Tel:033)343-2450]  홈페이지바로가기
      화천사창리터미널(공용)  강원 화천군 화천읍 하리 43-55 [Tel:033)441-4080]  홈페이지바로가기
      홍천시외버스터미널   강원 홍천군 홍천읍 희망리 393 [Tel:033)432-7891]  홈페이지바로가기
      평창시외버스터미널  강원 평창군 평창읍 하리 57-1 [Tel:033)332-2407]  홈페이지바로가기
      태백시외버스터미널  강원 태백시 황지동 270-1 [Tel:033)552-3100]  홈페이지바로가기
      정선시외버스터미널   강원 정선군 정선읍 북실리 757-3 [Tel:033)563-9265]  홈페이지바로가기
      삼척시외버스터미널(종합)  강원 삼척시 남양동 341 [Tel:033)573-6601]  홈페이지바로가기
      인제시외버스터미널  강원 인제군 인제읍 상동리 257-1 [Tel:033)463-2231]  홈페이지바로가기
      영월시외버스터미널   강원 영월군 영월읍 하송리 187-1 [Tel:033)374-2450]  홈페이지바로가기
      양양시외버스터미널  강원 양양군 양양읍 남문리 3-52 [Tel:033)671-4411]  홈페이지바로가기
      강릉시외버스터미널 강원 강릉시 홍제동 992-1 [Tel:033)643-6092]  홈페이지바로가기
      충북지역    
      진천시외버스터미널   충북 진천군 진천읍 벽암리 569 [Tel:043)533-1502]  홈페이지바로가기
      제천시외버스터미널   충북 제천시 의림동 8-21 [Tel:043)644-5533]  홈페이지바로가기
      음성시외버스터미널   충북 음성군 음성읍 읍내리 483 [Tel:043)872-2448]  홈페이지바로가기
      옥천시외버스터미널   충북 옥천군 옥천읍 삼양리 232-20 [Tel:043)733-2263]  홈페이지바로가기
      영동시외버스터미널   충북 영동군 영동읍 계산리 664-11 [Tel:043)744-1700]  홈페이지바로가기
      보은시외버스터미널  충북 보은군 보은읍 삼산리 17 [Tel:043)543-1580]  홈페이지바로가기
      단양시외버스터미널   충북 단양군 단양읍 별곡리 569 [Tel:043)422-2239]  홈페이지바로가기
      충주시외버스터미널(공용)   충북 충주시 칠금동 849 [Tel:043)853-0114]  홈페이지바로가기
      청주시외버스터미널남부매표소  충북 청주시 흥덕구 분평동 335-3 [Tel:043)296-3979]  홈페이지바로가기
      청주시외버스터미널북부매표소 충북 청주시 상당구 우암동 323-7 [Tel:043)256-7649]  홈페이지바로가기
      청주여객터미널(청주시외버스) 충북 청주시 흥덕구 가경동 1449 [Tel:043)235-8841]  홈페이지바로가기
      대전,충남지역    
      대전유성간이정류장(유성시외)  대전 유성구 봉명동 561-13 [Tel:042)823-2240]  홈페이지바로가기
      대전서부시외버스터미널  대전 중구 유천동 465-1 [Tel:042)584-1616]  홈페이지바로가기
      대전둔산간이정류장(둔산시외)  대전 서구 둔산2동 920 [Tel:042)486-7788]  홈페이지바로가기
      대전동부시외버스터미널  대전 동구 용전동 68 [Tel:042)624-4452]  홈페이지바로가기
      홍성시외버스터미널   충남 홍성군 홍성읍 고암리 1042 [Tel:041)632-2425]  홈페이지바로가기
      청양시외버스터미널   충남 청양군 청양읍 읍내리 208-4 [Tel:041)943-2681]  홈페이지바로가기
      아산시외버스터미널  충남 아산시 모종동 555-9 [Tel:041)542-6848]  홈페이지바로가기
      서천시외버스터미널  충남 서천군 서천읍 군사리 184-21 [Tel:041)953-0776]  홈페이지바로가기
      서산시외버스터미널   충남 서산시 동문동 309-3 [Tel:041)665-4808]  홈페이지바로가기
      부여시외버스터미널   충남 부여군 부여읍 구아리 324-1 [Tel:041)835-3535]  홈페이지바로가기
      당진시외버스터미널   충남 당진군 당진읍 읍내리 224-4 [Tel:041)355-2665]  홈페이지바로가기
      논산시외버스터미널   충남 논산시 취암동 1045-1 [Tel:041)735-2372]  홈페이지바로가기
      금산시외버스터미널   충남 금산군 금산읍 상리 34-10 [Tel:041)754-2759]  홈페이지바로가기
      공주시외버스터미널   충남 공주시 신관동 464-6 [Tel:041)858-5114]  홈페이지바로가기
      대천시외버스터미널 충남 보령시 대천동 343-6 [Tel:041)935-3645]  홈페이지바로가기
      천안종합터미널  충남 천안시 신부동 354-1 [Tel:041)551-4933] 홈페이지바로가기
      태안시외버스터미널   충남 태안군 태안읍 남문리 701 [Tel:041)674-2009] 홈페이지바로가기
      전북지역    
      진안시외버스터미널  전북 진안군 진안읍 군상리 403-19 [Tel:063)433-2508]  홈페이지바로가기
      정읍시외버스터미널   전북 정읍시 연지동 312-12 [Tel:063)535-6011]  홈페이지바로가기
      전주시외버스터미널   전북 전주시 덕진구 금암동 767-2 [Tel:063)272-0107]  홈페이지바로가기
      장수시외버스터미널   전북 장수군 장수읍 장수리 472-1 [Tel:063)351-8889]  홈페이지바로가기
      익산시외버스터미널   전북 익산시 평화동 247-3 [Tel:063)843-5100]  홈페이지바로가기
      순창시외버스터미널   전북 순창군 순창읍 순화리 114-9 [Tel:063)653-2186]  홈페이지바로가기
      부안시외버스터미널   전북 부안군 부안읍 봉덕리 574-13 [Tel:063)584-2098]  홈페이지바로가기
      무주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북 무주군 무주읍 당산리 1229 [Tel:063)322-2245]  홈페이지바로가기
      남원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북 남원시 동충동 37-1 [Tel:063)633-1001]  홈페이지바로가기
      김제공용버스터미널  전북 김제시 요촌동 47-24 [Tel:063)547-6341]  홈페이지바로가기
      군산시외버스터미널   전북 군산시 경암동 614-2 [Tel:063)442-3747]  홈페이지바로가기
      고창시외버스터미널   전북 고창군 고창읍 읍내리 629 [Tel:063)563-3388]  홈페이지바로가기
      광주,전남지역    
      광주시외버스터미널(종합)  광주 서구 광천동 49-1 [Tel:062)360-8114]  홈페이지바로가기
      해남시외버스터미널   전남 해남군 해남읍 해리 401 [Tel:061)534-0882]  홈페이지바로가기
      진도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남 진도군 진도읍 남동리 782-1 [Tel:061)544-2141]  홈페이지바로가기
      장흥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남 장흥군 장흥읍 건산리 382 [Tel:061)863-9036]  홈페이지바로가기
      장성시외버스터미널   전남 장성군 장성읍 영천리 931 [Tel:061)393-2660]  홈페이지바로가기
      완도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남 완도군 완도읍 군내리 1230 [Tel:061)552-1500]  홈페이지바로가기
      여수시외버스터미널   전남 여수시 오림동 390 [Tel:061)652-6877]  홈페이지바로가기
      순천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남 순천시 장천동 18-22 [Tel:061)744-6565]  홈페이지바로가기
      보성시외버스정류장   전남 보성군 보성읍 원봉리 5-1 [Tel:061)852-2777]  홈페이지바로가기
      목포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남 목포시 상동 200 [Tel:061)276-1400]  홈페이지바로가기
      담양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남 담양군 담양읍 지침리 132-17 [Tel:061)381-3233]  홈페이지바로가기
      나주시외버스터미널   전남 나주시 중앙동 95-2 [Tel:061)333-3228]  홈페이지바로가기
      구례버스종합터미널   전남 구례군 구례읍 봉남리 1 [Tel:061)782-3941]  홈페이지바로가기
      광양시외버스터미널   전남 광양시 광양읍 인동리 413 [Tel:061)762-3030]  홈페이지바로가기
      곡성시외버스터미널   전남 곡성군 곡성읍 읍내리 244-4 [Tel:061)363-3919]  홈페이지바로가기
      강진시외버스터미널(공용)   전남 강진군 강진읍 평동리 167-1 [Tel:061)432-9777]  홈페이지바로가기
      대구,경북지역   홈페이지바로가기
      대구북부시외버스정류장  대구 서구 비산7동 1856-3 [Tel:053)355-1234]  홈페이지바로가기
      대구남부시외버스정류장  대구 수성구 만촌2동 1041-1 [Tel:053)743-4464]  홈페이지바로가기
      대구서부시외버스정류장  대구 남구 대명11동 1135 [Tel:053)656-2824]  홈페이지바로가기
      대구동부시외버스정류장  대구 동구 신천4동 481 [Tel:053)756-0017]  홈페이지바로가기
      왜관시외버스터미널(북부)  경북 칠곡군 왜관읍 왜관리 197-2 [Tel:054)975-2333]  홈페이지바로가기
      청송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청송군 청송읍 월막리 484-40 [Tel:054)873-2036]  홈페이지바로가기
      의성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의성군 의성읍 후죽리 837-1 [Tel:054)832-1080]  홈페이지바로가기
      예천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예천군 예천읍 대심리 64 [Tel:054)654-3798]  홈페이지바로가기
      영천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영천시 금로동 584-3 [Tel:054)334-2556]  홈페이지바로가기
      영주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영주시 영주동 497 [Tel:054)631-5844]  홈페이지바로가기
      영덕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영덕군 영덕읍 덕곡리 248-3 [Tel:054)732-7673]  홈페이지바로가기
      안동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안동시 운흥동 247-32 [Tel:054)857-8298]  홈페이지바로가기
      성주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597-2 [Tel:054)933-1208]  홈페이지바로가기
      상주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상주시 무양동 291 [Tel:054)534-9002]  홈페이지바로가기
      봉화시외버스터미널  경북 봉화군 봉화읍 해저리 421-13 [Tel:054)673-4400]  홈페이지바로가기
      문경시외버스터미널  경북 문경시 문경읍 하리 207-1 [Tel:054)553-2231]  홈페이지바로가기
      김천시외버스터미널   경북 김천시 성내동 38-1 [Tel:054)432-7601]  홈페이지바로가기
      군위공용버스정류장  경북 군위군 군위읍 동부리 670-8 [Tel:054)383-2158]  홈페이지바로가기
      구미시외버스터미널   경북 구미시 원평1동 1073-1 [Tel:054)452-5655]  홈페이지바로가기
      고령시외버스터미널  경북 고령군 고령읍 헌문리 50-3 [Tel:054)954-4455]  홈페이지바로가기
      경산시외버스터미널   경북 경산시 중방동 863-11 [Tel:053)815-0248]  홈페이지바로가기
      진보시외버스터미널  경북 청송군 부남면 구천리 100 [Tel:054)874-2555]  홈페이지바로가기
      영덕강구버스터미널 경북 영덕군 강구면 오포리 555 [Tel:054)733-9613]  홈페이지바로가기
      포항시외버스터미널 경북 포항시 남구 상도동 579-13 [Tel:054)274-2313]  홈페이지바로가기
      경주시외버스터미널  경북 경주시 노서동 160-2 [Tel:054)743-5599]  홈페이지바로가기
      부산,경남지역    
      부산종합버스터미널   홈페이지바로가기
      부산동부시외버스터미널  부산 금정구 노포동 133 [Tel:051)508-9966] 홈페이지바로가기
      부산서부시외버스터미널   홈페이지바로가기
      울산시외버스터미널 울산 남구 삼산동 1481-1 [Tel:052)275-8087]  홈페이지바로가기
      언양시외버스터미널   울산 울주군 언양읍 남부리 130 [Tel:052)262-1007]  홈페이지바로가기
      방어진시외버스터미널  울산 동구 방어동 130 [Tel:052)232-3723]  홈페이지바로가기
      합천시외버스터미널   경남 합천군 합천읍 합천리 404-11 [Tel:055)931-4456]  홈페이지바로가기
      함양시외버스터미널  경남 함양군 함양읍 용평리 681 [Tel:055)963-3282]  홈페이지바로가기
      함안시외버스터미널   경남 함안군 가야읍 말산리 58-27 [Tel:055)583-2812]  홈페이지바로가기
      하동시외버스터미널  경남 하동군 하동읍 읍내리 333-14 [Tel:055)883-2662]  홈페이지바로가기
      창녕시외버스터미널   경남 창녕군 창녕읍 교리 1073-1 [Tel:055)533-4000]  홈페이지바로가기
      진해시외버스터미널  경남 진해시 인의동 24-3 [Tel:055)547-8423]  홈페이지바로가기
      의령시외버스터미널   경남 의령군 의령읍 서동리 31-1 [Tel:055)573-2112]  홈페이지바로가기
      산청시외버스정류장  경남 산청군 산청읍 산청리 225 [Tel:055)973-2207]  홈페이지바로가기
      밀양시외버스터미널   경남 밀양시 내이동 1187-2 [Tel:055)354-3959]  홈페이지바로가기
      남해시외버스터미널  경남 남해군 남해읍 북변리 317 [Tel:055)864-7081]  홈페이지바로가기
      거창시외버스터미널  경남 거창군 거창읍 대평리 1005 [Tel:055)942-3601]  홈페이지바로가기
      거제시외버스터미널(고현) 경남 거제시 신현읍 고현리 979-2 [Tel:055)632-1920]  홈페이지바로가기
      통영시외버스터미널  경남 통영시 무전동 986 [Tel:055)644-0017]  홈페이지바로가기
      양산시외버스터미널(공용)  경남 양산시 중부동 402 [Tel:055)384-6612]  홈페이지바로가기
      김해여객터미널   경남 김해시 외동 1264 [Tel:055)336-2869]  홈페이지바로가기
      창원시외버스터미널 경남 창원시 사화동 111 [Tel:055)288-5090]  홈페이지바로가기
      사천시외버스터미널  경남 사천시 사천읍 수석리 270-1 [Tel:055)853-4407]  홈페이지바로가기
      고성시외버스터미널(공용) 경남 고성군 고성읍 송학리 416-2 [Tel:055)674-0081]  홈페이지바로가기
      장승포시외버스터미널(거제시외)  경남 거제시 능포동 688-1 [Tel:055)681-8619]  홈페이지바로가기
      통영시외버스터미널(공용) 경남 통영시 무전동 986 [Tel:055)644-0017]  홈페이지바로가기
      마산시외버스터미널 경남 마산시 합성동 267 [Tel:055)256-1623]  홈페이지바로가기
      진주시외버스터미널 경남 진주시 장대동 96-1 [Tel:055)741-6039]  홈페이지바로가기

      저작자 표시
      728x90
      728x90

       

       

      ㅇ 산행일자 : 2010.5.22.토.흐린날씨

      산행코스 : 보구곳리-전망대-동막골 갈림길-정상-고막리-조강1리-조강저수지-애기봉

      ㅇ 소요간 : 6시간(10:00~16:00)

       

       

       

       

       

       

       

       

       

       

       

       

       

       

       

       

       

       

      728x90
      728x90

      ㅇ 산행일자 : 2010.5.8.토요일. 날씨 무척 맑음

      ㅇ 산행코스 : 석수역-한우물-호암산-삼막사입구-국기봉-서울대입구(3시간)

      일정상 일요산행은 부담되고 할수없이 혼자 가벼운 홀로산행

      석수역에서 5분여 오르면 평탄한 육산 등산로...콧노래가 절로 나온다...

      하하!     초보산행꾼들에게는 안성마춤 등산로 같다

      힘들지 않는 오르막길이라서 쉽고 짧은 시간내에 오른다(50분쯤?)

      호맘정상에서 삼막사 방향 능선 내리막과 오르막을 지나니 갈림길

      삼막사 못미쳐 왼쪽 국기봉 능선으로 하산코스를 잡는다

      연록색으로 물들기 시작한 수목들이 너무도 싱그럽구다

      5월이건만 철쭉은 아직 꽃을 피우기 전...이고

       

       

       철 늦은 진달래는 이제 지려하고 있구나

       

       진달래 아래로 서울대 입구방향으로 능선들은 시원스레 내려 앉아 있구나...

       

       

       오른쪽으로는 관악 정상이 싱그런 나무숲 사이로 드러나고...

       

       등산로 바위밑에 피어있는 철쭉은 너무 아름다워...

       

       

       

       

      하산도중 인적이 드문 길로 내려오다 보니 바위형상이 오묘하다

      바위의 형상은 상상에 맡깁니다...........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728x90

       

       

       

       

       

       

       

       

       

       

       

       

      >
      728x90
      728x90

       

       

       

       

       

       

       

       

       

       

       

       

       

       

       

       

      >
      728x90

      + Recent posts